애브비, 휴미라 약가 10~80% 인하
"가격경쟁 우려"
삼성바이오, 임랄디 10국가 이상 출시
셀트리온 트룩시마 美 허가
[서울=뉴스핌] 김근희 기자 = 바이오시밀러(바이오의약품 복제약) 가격 경쟁이 치열해지면서 위기설이 떠오르고 있다. 원조의약품 회사들이 약값을 내리기 시작하면서, 바이오시밀러가 화학의약품 복제약(제네릭) 시장처럼 레드오션이 될 것이란 전망도 나온다. 그러나 업계에서는 이 같은 위기설은 시기상조라는 평가를 하고 있다.
삼성바이오에피스 연구소. [사진=삼성바이오에피스] |
◆ 애브비, 파격 가격인하…바이오시밀러 위기설
7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최근 다국적 제약사 애브비는 전 세계 판매 1위 자가면역질환 치료제 '휴미라'의 유럽 입찰가를 10~80% 인하하는 전략을 펼치고 있다.
지난 10월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임랄디' 등 4개의 휴미라의 바이오시밀러가 시장에 출시되자, 이를 방어하기 위해서 가격을 인하한 것이다. 실제로 애브비는 노르웨이의 국가의약품입찰에 휴미라 입찰가를 기존보다 80% 저렴한 가격으로 제출했다.
애브비가 약값을 파격적으로 인하했다는 소식에 일부에서는 바이오시밀러 위기설이 나오기 시작했다. 원조의약품 회사도 가격을 원가 수준으로 내리는 상황에서 바이오시밀러 업체 간의 출혈 경쟁이 일어날 수밖에 없기 때문이다. 통상적으로 바이오시밀러가 원조의약품보다 30~40% 정도 싼 것을 고려하면, 원조의약품의 가격이 내려갈수록 바이오시밀러 회사들도 손해를 볼 수밖에 없다.
셀트리온이 주요 바이오시밀러 가격 인하로 올 3분기 다소 실망스러운 실적을 기록하면서 위기설은 더욱 힘을 받았다. 셀트리온의 3분기 영업이익은 754억원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보다 41.3% 감소했고, 매출은 0.7% 줄어든 1993억원으로 집계됐다.
◆ "바이오시밀러 위기설은 시기상조"
그러나 업계에서는 '바이오시밀러 위기설'이 시기상조라고 보고 있다. 바이오시밀러 자체가 의약품 전체 시장에 아직 많이 퍼지지 않았기 때문이다.
이승규 한국바이오협회 부회장은 "경쟁이 치열해지고 있긴 하지만 아직 레드오션이라고 부를 상황은 아니다"라며 "국내 바이오시밀러 업체들은 고품질과 생산성을 앞세워 시장을 이끌고 있다"고 했다.
실제로 애브비가 80%나 가격을 내린 노르웨이 시장의 경우 전체 유럽 시장의 1%에 해당하는 작은 시장이다. 또 애브비는 최근 덴마크 수주에 실패했다. 반면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임랄디는 출시 약 2달 만에 유럽 주요 국가를 포함해 10개 이상에 출시됐다.
삼성바이오에피스 관계자는 "임랄디의 경우 앞서 유럽 시장에 출시했던 바이오시밀러 '베네팔리'보다 국가 입찰에서 좋은 성과를 더 빠르게 거두고 있다"고 말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트루잔트'(원조의약품 허셉틴)는 프랑스, 영국, 덴마크 등 주요 국가에서 선전하고 있다. 프랑스 입찰 기관(UniHA)에서 발주한 1270만유로(약 161억원) 규모의 입찰을 수주했다. 또 온트루잔트는 덴마크 바이오의약품 입찰기관 앰그로스 (Amgros)에서 발주한 국가 전체 입찰을 단독 수주해 지난 9월부터 판매 중이다.
셀트리온의 램시마는 국내 단일 의약품 가운데 최초로 전 세계 시장에서 연간 처방액 1조원을 돌파했다. 올 3분기까지 램시마의 미국 누적 매출은 2000억원을 넘어섰다. 이는 지난해 연간 매출액을 넘어서는 수치다.
[사진=셀트리온헬스케어] |
◆ 유럽·미국 등 바이오시밀러에 긍정적
바이오시밀러가 건강보험 재정 절감 효과가 있는 만큼 시장 성장 가능성도 높다는 관측도 나온다. 각 국가가 재정을 아끼기 위해 원조의약품보다 약값이 싼 바이오시밀러 유치를 적극적으로 확대한다는 것이다.
영국 국가보건서비스(NHS)가 지난 7월에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영국은 레미케이드와 리툭산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통해 건강보험 재정을 약 2200억원 절감했다.
서근희 삼성증권 연구원은 "유럽에서는 지속적인 의료 재정 절감을 위해 바이오시밀러에 대해 우호적인 태도를 유지할 수 밖에 없다"며 "원조의약품이 바이오시밀러와 가격 경쟁을 하더라도, 유럽은 국가적인 차원에서 바이오시밀러 처방을 권장하면서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을 유도할 것"이라고 내다봤다.
유럽보다 상대적으로 바이오시밀러 도입에 소극적이었던 미국도 최근 정책 방향을 바꾸고 있다. 미국은 지난 7월 바이오시밀러의 시장 진입을 촉진하는 '바이오시밀러 액션 플랜'(BAP)을 공개했다.
국산 바이오시밀러의 미국 진출도 이어지고 있다. 셀트리온의 혈액암 치료용 바이오시밀러 '트룩시마'(원조의약품 리툭산)는 지난달 말 미국 판매 허가를 획득했다. 삼성바이오에피스의 온트루잔트도 내년 하반기 중 허가를 받을 것으로 예상된다.
ke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