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산업 제약·바이오

속보

더보기

지난해 가장 많이 받은 수술 '백내장'… 총 40만명

기사입력 : 2019년12월19일 15:44

최종수정 : 2019년12월19일 15:44

[서울=뉴스핌] 박다영 기자 = 지난해 우리나라 국민이 가장 많이 받은 수술은 백내장이었다. 치핵(치질), 일반척추, 제왕절개 등이 뒤를 이은 것으로 조사됐다.

국민건강보험공단은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8년 주요수술 통계연보'를 발간·배포한다고 19일 밝혔다. 건강보험공단은 경제협력개발기구(OECD)가 데이터를 수집하는 수술 15개와 환자 의료비 부담이 크거나 수술 인구가 증가하는 수술 18개 등 총 33개를 주요수술로 선정했다.

[그래프=국민건강보험공단] 2019.12.19 allzero@newspim.com

조사 결과, 주요 수술 33개의 건수는 2014년 171만건에서 2018년 187만 건으로 5년간 연 평균 2.3% 가량 늘어났다.

백내장 수술은 59만2191건으로 수술 건수가 가장 많았다. 치핵수술 17만9073건, 일반 척추수술 17만6522건, 제왕절개수술 15만5227건, 충수절제술 8만2545건, 담당절제술(복강경적 담당절제술 포함) 7만8489건, 슬관절 치환술 7만1769건, 스텐트 삽입술 6만6421건,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 6만5767건, 내시경 및 경피적 담도수술 5만1146건 등이 뒤를 이었다.

주요수술 33개 중 15개 수술을 가리키는 다빈도 수술 중에서 증가율이 가장 높은 수술은 유방 부분 절제술로, 연평균 증가율이 14.6%였다. 연평균 감소율이 가장 높은 수술은 치핵수술로 매년 평균 3.4%가 감소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33개 주요수술을 받은 환자는 158만명이었다. 이들 중 40만2371명이 백내장수술을 받았다. 치핵수술 17만4015명, 일반 척추수술 16만8353명, 제왕절개수술 15만4117명, 충수절제술 8만304명, 담낭절제술(복강경적 담낭절제술 포함) 7만8134명, 슬관절 치환술 6만8445명, 스텐트삽입술 6만4633명, 내시경하 부비동 수술 6만4027명, 자궁절제술 4만1707명 등이 뒤를 이었다.

연령대별로 많이 받은 수술도 다르게 나타났다. 9세 이하는 편도절제술, 10대는 충수절제술, 20~30대는 제왕절개수술, 40대는 치핵수술, 50대부터 80대 이상은 백내장 수술을 받은 환자가 가장 많았다.

지난해 주요수술 33개 진료비용은 5조8948억원이었다. 5년간 연평균 9.2% 증가했다. 진료비용이 높은 수술은 일반척추수술 6769억원, 스텐트 삽입술 6408억원, 백내장수술 6061억원 등이었다.

건당 진료비는 심장수술이 3214만원으로 가장 높았다. 관상동맥우회수술 2998만원, 뇌기저부수술 1713만원을 기록했다. 진료비가 낮은 수술은 치핵수술 102만원, 백내장수술 102만원, 편도절제술 119만원이었다.

입원기간이 긴 수술은 슬관절치환술 21.2일, 고관절치환술 20.0일, 뇌기저부수술19.6일 등이었고, 짧은 수술은 백내장수술 1.2일, 정맥류결찰·제거수술 2.3일, 치핵수술 2.7일이었다.

전체수술 187만 건 중 의원에서 진행된 수술은 64만4000건으로 36%를 차지했다. 종합병원 41만건(21.9%), 병원 40만1000건(21.5%), 상급종합병원 38만5000건(20.6%)으로 조사됐다. 

 

allzero@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