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글로벌 일본

속보

더보기

침상 부족한 中우한, 확진자도 입원 못해…병원 증설도 역부족

기사입력 : 2020년02월05일 11:29

최종수정 : 2020년02월05일 13:37

우한시 하루 1000명씩 환자 늘어…병원 건설도 "언 발에 오줌누기"
치사율도 4.9%로 타지역보다 높아

[서울=뉴스핌] 김은빈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진원지' 중국 우한(武漢)시에서 감염 환자가 급증하고 있지만 의료 체계가 이를 따라가지 못하는 탓에 환자들이 치료를 못받는 상황이 이어지고 있다. 

5일 아사히신문은 후베이(湖北)성 우한시에 거주하는 30대 여성을 전화취재했다. 여성이 처음 증상을 느꼈던 건 지난달 25일 이었다. 중국 정부가 감염 확산을 막기 위해 우한시민의 시외 이동을 봉쇄한 다음날이었다. 여성은 바로 병원을 찾았지만 검사 장비가 없어 확진판정을 받지 못했다. 

여성은 31일이 돼서야 겨우 확진판정을 받았지만 의사는 "원래라면 입원해야 하지만 침상이 없습니다"고 말했다. 결국 여성은 통원치료를 받고 있지만 심한 기침과 호흡곤란은 여전하다. 걷거나 말하는 것도 힘든 상태다.

여성은 "치료가 필요한데 의사는 집에 있으라고만 한다"며 "죽기를 기다리라는 말이냐"고 호소했다. 

[우한 로이터=뉴스핌] 오영상 전문기자 = 보호복을 입은 의료진이 우한대학교 중난병원에서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에 의한 폐렴 환자를 치료하고 있다. 2020.01.29 goldendog@newspim.com

문제는 이 같은 상황이 여성에게만 일어난 게 아니라는 점이다. 여성은 전화에서 자신의 친척인 50대 남성도 감염 확진 판정을 받았지만 병상 문제 때문에 4일이 지나도록 입원하지 못하고 있다고 밝혔다. 여성은 "병원에 갈 때마다 사람들이 많이 있는 걸 볼 수 있다"고 말했다. 

​가족들이 잇따라 감염됐다는 우한시 거주 20대 남성도 신문과의 전화취재에서 "병원 로비엔 산소통을 떼지 못하는 수준의 환자들이 넘쳐난다"고 말했다. 

남성의 할머니는 지난달 27일 사망했다. 이후 어머니가 확진 판정을 받았으며 아버지와 누나도 기침·무기력증 등 의심 증세를 보이고 있다. 하지만 침상 부족으로 입원은 할 수 없었다. 그의 부모님은 병원 로비에서 수액과 산소통을 받고 빈 자리가 나기만을 기다리고 있다. 남성은 병원에 이런 환자가 20명 가까이 있다고 했다.

남성은 병원에 대기하고 있는 부모에게 매일 죽과 면 등의 음식을 갖다주고 있기 때문에 자신도 감염되지 않을까 불안하다고 밝혔다. 방호복을 사고 싶지만 물품이 부족해 그럴 수도 없다. 그는 "뭐든 어떻게 하고 싶지만 할 수가 없다"고 한탄했다. 

[우한 로이터=뉴스핌] 김선미 기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 발원지인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서 넘쳐나는 환자를 수용할 의료시설이 부족해지자 스타디움과 컨벤션센터 등을 임시 병원으로 전용하고 있다. 2020.02.04 China Daily via REUTERS gong@newspim.com

◆ 병원 증설해도 '언 발에 오줌누기'

이처럼 주민들 사이에서 동요와 불안이 퍼지자 중국 정부는 10일 만에 우한 시내에 병원 두 곳을 설립했다. 지난 2일엔 1000개 병상을 가진 훠선산(火神山)병원이 완성됐고 5일엔 1600개 병상이 있는 레이선산(雷神山)병원이 완공된다. 

하지만 병원 증설도 감염확산 속도 앞에선 속수무책이다. 우한시 당국이 3일 새로 확인한 감염자는 1242명이었다. 전날에는 1033명의 감염이 확인됐다. 매일 1000명 규모씩 환자가 늘어나고 있는 셈이다. 

실제 훠선산병원 개원 후에도 병상 부족은 해결되지 않고 있다. 지난 3일 기준 우한 시내에서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 환자를 받는 병원은 28곳으로 훠선산병원을 포함한 통계상 병상 수는 8199개였다. 반면 사용 중인 병상 수는 8279개였다. 복도·로비에 간이침대를 두는 병원이 다수 있기 때문이다.

우한시 상황에 시진핑(習近平) 지도부가 갖는 위기감이 상당하다. 중국 공산당은 3일 열린 당 최고지도부 회의에서 우한시는 감염 대책의 중점이라며 우한 국면을 호전시키는 것이 추가 확대를 막는 열쇠라고 강조했다. 

이에 우한시 측은 이날 밤 시내 국제회의전람센터나 체육관에 약 3000개의 침상을 옮겨 비교적 증상이 가벼운 환자를 받아들이겠다는 계획을 밝혔다. 

[우한 로이터=뉴스핌] 김은빈 기자 = 중국 후베이(湖北)성 우한(武漢)시에 위치한 진인탄(金銀谭) 병원에서 의료스테프들이 상자를 나르고 있다. 진인탄 병원에선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에 따른 '우한 폐렴' 환자들이 치료받고 있다. 2020.01.22 kebjun@newspim.com

◆ 우한 내 치사율 4.9%…"의료시스템 붕괴"

현재 우한시는 감염자 수 뿐만 아니라 치사율도 다른 지역과 비교해 압도적으로 높다. 4일 0시 기준 우한시 감염자는 6384명으로 중국 전역 감염자의 약 31%다. 반면 사명자 수는 313명으로 전국 사망자(425명)의 74%를 차지하고 있다. 

치사율도 우한시는 4.9%로 ▲우한을 제외한 후베이성(1.4%) ▲후베이성 외 중국 본토(0.2%)에 비해 압도적으로 높다. 

저장(浙江)성과 광둥(広東)성도 감염자가 각각 829명, 797명으로 후베이성에 이어 많은 감염자가 나왔지만 아직 사망자는 나오지 않았다. 후베이성 외에도 8개성과 직할시에서 사망자가 나왔지만 모두 2명 이하였다. 

감염제어학을 전공한 가쿠 미쓰오(賀来満夫) 도호쿠(東北)대 의약과대학 특임교수는 "환자가 너무 많은 탓에 의료시스템이 붕괴돼 증상이 악화된 사람을 충분히 치료할 수 없기 때문인 것 같다"고 말했다. 치료지연 외에도 감염자 격리가 불충분해 다른 병으로 입원·통원한 환자가 감염된 사례도 있을 것으로 보인다. 

중국 의사들도 비슷한 견해를 보이고 있다. 중국 국가위생건강위원회 전문가팀에 소속된 리란쥐안(李蘭娟) 중국공정원 원사는 3일 우한시를 포함한 후베이성의 높은 치사율 원인으로 감염자 급증에 비해 의사나 설비, 기재가 충분하지 않은 점을 꼽았다. 

리씨는 "중국 전역에서 의료관계자들에 대한 지원이 늘어 현장 의사의 부담이 줄어든다면 중증환자에 대한 대처력이 높아져 치사율을 낮출 수 있을 것"이라며 지원을 서둘러야 한다고 당부했다. 

kebj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명태균, 오늘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김영은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김건희 특별검사(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명씨 측 관계자는 전날 "뇌물공여 및 정치자금법 위반 혐의 등 피의자로 소환됐다"며 "출석하기 앞서 현장에서 기자회견을 진행할 예정이다"고 밝혔다. 윤석열 전 대통령 부부의 공천개입 의혹 등에 연루된 '정치브로커' 명태균 씨가 특검 소환조사에 31일부터 이틀간 출석한다. 사진은 지난 4월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으로 출석하며 취재진 질문에 답하고 있는 명씨 모습. [사진=정일구 기자] 앞서 특검팀은 지난 21일 명씨에게 지난 28일 출석하라고 통보했지만 명씨 측은 불응했다. 당시 명씨 측은 개인 일정 등을 이유로 출석 요구서 수령을 거부했다. 공천개입 의혹은 윤 전 대통령 부부가 2022년 20대 대통령선거 과정에서 명씨로부터 여론조사를 무상으로 받은 대가로 같은 해 6월 치러진 국회의원 재보궐선거에서 김영선 전 국민의힘 의원이 공천받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이다.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측이 여론조사 비용을 지불하지 않는 방식으로 금전적 이득을 취했다고 본다. 이에 특검팀은 윤 전 대통령 부부에겐 뇌물 수수를, 명씨에겐 뇌물 공여 혐의 등을 적용했다. 특검팀은 이와 함께 2024년 22대 총선을 앞두고 김 여사가 김상민 전 부장검사를 김 전 의원 선거구였던 경남 창원 의창에 공천되도록 영향력을 행사했다는 의혹을 수사하고 있다. 명씨 측은 지난 2월 입장문을 통해 김 여사가 당시 김 전 의원에게 김 전 검사의 당선을 지원하라는 말을 했다고 주장했다. 한편, 특검팀은 전날 2022년 6월 지방선거 및 재보궐선거 당시 국민의힘 대표였던 이준석 개혁신당 대표에 대한 2차 압수수색까지 단행하며 해당 의혹 관련 자료 확보에 착수했다. 지난 27일에는 해당 의혹 당시 공천관리위원장이던 윤상현 의원을 소환조사하며 '김 전 의원 공천과 관련해 그가 윤 전 대통령과 통화했다'는 취지의 진술을 확보한 것으로 알려졌다. 지난 25일에는 윤 전 대통령 부부에 명씨를 처음 소개하고, 명씨와 공천개입 의혹 관련 문자를 주고받은 인물로 지목된 함성득 경기대 정치전문대학원장을 참고인 신분으로 소환해 조사했다. 특검팀은 이를 토대로 명씨에게 윤 전 대통령 부부가 공천 과정에 부당한 영향력을 행사했는지 등을 질의하며 구체적 진술을 확보할 예정이다. yek105@newspim.com 2025-07-31 07:24
사진
트럼프 "韓, 관세 15%...3500억달러 투자" [서울=뉴스핌] 최원진 기자=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미국과 한국이 포괄적인 무역합의를 도출했다며 한국에 대한 상호관세는 15%로 최종 타결됐다고 밝혔다. 지난 4월 초 미국이 발표했던, 그리고 이달 초 서한으로 통보했던 상호관세율 25%에서 10%포인트 낮아졌다. 그 대가로 한국은 3500억달러 규모의 대미 투자와 미국산 에너지 1000억달러 구매를 약속했고, 미국에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 시장 등을 완전 개방하기로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이날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단을 접견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Full and Complete) 무역합의를 이뤘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산 제품에는 한국 측이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알렸다. 그는 이번 합의를 통해 "한국은 미국이 소유하고 통제하는, 그리고 대통령인 내가 직접 선정한 투자 프로젝트에 총 3,500억 달러를 투자하기로 했다"고 밝혔다. 또한 한국은 "액화천연가스(LNG) 또는 기타 에너지 제품을 1,000억 달러어치 구매하기로 했으며, 또한 한국은 자국의 대미 투자 목적을 위한 대규모 투자도 약속했다"라고 말했다. 다만 이 투자금액은 구체적으로 공개되지 않았으며, 트럼프 대통령은 "이재명 한국 대통령이 향후 2주 이내 백악관에서 열릴 양자회담을 위해 미국을 방문할 때 발표할 예정"이라고 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또 "이재명 대통령의 당선을 축하한다"라며 "우리는 한국이 미국과의 무역에 완전히 개방되며, 자동차와 트럭, 농산물을 포함한 미국산 제품을 받아들이기로 합의했다"고 밝혔다. 마지막으로 그는 "오늘 참석한 무역 대표단에 감사를 전한다"며 "이들을 만나 그들의 나라의 위대한 성공에 대해 논의한 것은 영광이었다"고 덧붙였다. 지난 29일(현지시간) 영국 스코틀랜드에서 귀국행 에어포스원에 탑승하기 전 취재진을 향해 손 동작 하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사진=로이터 뉴스핌] wonjc6@newspim.com 2025-07-31 07:51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