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김선미 기자 = 미국 월가에서 금융시장 안정을 위해 미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통화스와프를 한국 등 다른 나라로 확대할 필요가 있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확산에 따른 수요와 공급 이중 쇼크를 받은 세계 경제가 사우디아라비아와 러시아의 경쟁적 증산에 따른 석유 전쟁으로 급격한 경기하강 조짐을 보이는 가운데 각국 정부와 중앙은행의 경기부양책에 시장의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이 가운데 미국 월스트리트저널(WSJ)은 10일(현지시간)자 사설에서 연준은 유동성 투입 외에 더 많은 조치에 나서야 한다며 통화스와프 확대를 우선적 방안으로 꼽았다.
미국 연방준비제도 본부 [사진=로이터 뉴스핌] |
WSJ는 연준이 환매조건부채권((Repo·레포) 거래를 통한 유동성 투입으로 금융시스템 위기 방지에 나섰으나 추가 조치가 필요하다고 지적했다.
하지만 국채 매입에 의한 양적완화는 시기상조인 데다, 위험자산 투자를 촉진하려는 양적완화가 오히려 신용 왜곡을 초래한 부작용이 있을뿐더러 시장의 양적완화 의존도를 끊어내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고 지적했다.
이에 따라 미국과 무역이 활발한 국가들과 통화스와프를 체결해 국제 금융시장에서 달러 수요를 안정시키는 것이 좋은 방안이 될 수 있다고 WSJ는 조언했다.
WSJ는 한국과 중국, 대만, 홍콩, 호주와의 통화스와프 체결을 제안하며, "스와프 계약을 다른 시장경제 국가로 확장해 필요한 경우 이들 국가의 중앙은행이 자국 은행들에 달러를 공급하도록 여건을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통화스와프는 외환위기와 같은 비상시에 상대국에 자국 통화를 맡기고 상대국의 통화를 빌려 쓸 수 있도록 하는 계약으로, 미국은 현재 캐나다, 영국, 유럽연합(EU), 일본과만 협정을 맺고 있다.
연준은 지난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를 계기로 한국을 포함한 14개국과 통화스와프 계약을 맺어 글로벌 금융시장 안정을 위한 중앙은행들의 공조 대응을 이끌었다. 연준이 맺은 300억달러 규모의 통화스와프는 글로벌 금융위기를 극복하는 데 큰 도움이 됐다.
하지만 위기 국면이 지나가자 연준은 2010년 2월 14개국과의 계약을 모두 종료하고, 같은 해 5월 5개국과만 계약을 다시 체결했다.
go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