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아이오닉5 첫 공개①] '실내 놀이터' 같은 넓은 공간감에 '엄지 척'

기사입력 : 2021년03월19일 08:00

최종수정 : 2021년03월19일 08:00

SUV 투싼만큼 커...편평한 공간감에 움직임 자유로워
속 훤히 들여다 보이는 '디지털 사이드 미러'...운전에 도움
1열·2열 움직이며 공간감 확보...누워보니 '비전루프' 환상
넓은 공간·다양한 수납공간 만족...가벼운 소재는 아쉬워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현대자동차 첫 전용 전기차 아이오닉5는 이동수단 그 이상이다. 누군가 아이오닉5의 별명을 묻는다면 '실내 놀이터'라고 대답할 수 있을 정도로 넓어서다. 누가 어떻게 쓰느냐에 따라 아이오닉5에서 느끼는 매력은 달라질 것으로 분석된다. 

18일 서울 용산구에 위치한 현대차 원효로 서비스센터에서 만난 아이오닉5는 파라메트릭 픽셀(Parametric Pixel) 헤드램프를 깜빡이며 세련된 첫인상을 뽐냈다. 핵심 디자인 요소인 픽셀이 다소 딱딱하게 느껴질 거라 생각했으나 오히려 똑똑한 느낌을 줬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지난 18일 오전 서울 용산구 현대자동차 원효로사옥에서 아이오닉5가 전시되어 있다. 2021.03.19 pangbin@newspim.com

"승용차 같다"고 생각하면서 측면으로 돌아서는데, 바로 SUV 같은 길이감이 기다리고 있었다. '투싼(전장 4630x 전폭 1865x높이 1665mm)'보다 길고 넓고 높지만, 체감상 높이(1695mm)는 친근하게 느껴져 키 163cm인 기자에게도 부담 없었다. 아이오닉5 차체는 전장 4635×전폭 1890×높이1650다.

아이오닉5 공개 당시 눈길을 끌었던 '디지털 사이드 미러'를 살펴봤다. 사이드 미러 몸체의 절반은 투명 소재로 마감돼 속 안이 훤히 들여다 보였다. 깜빡이를 켜자 픽셀이 안에서 빛났다. 거울이 있어야 하는 전면부엔 카메라가 위치했다. 비나 눈이 올 경우를 대비해 카메라는 내부에 자리했는데, 차량에서 돌출된 부분이나 단단해 보이진 않았다.

동반석에 설치된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디스플레이는 생각보다 선명하고 화면을 빠르게 담아냈다. 거울 사이드 미러에 익숙한 운전자라면 디스플레이 적응에 시간이 걸리겠지만, 안전한 운행에는 확실히 도움이 될 것으로 보였다.

아이오닉5 티저 영상에서 공개된 캠핑, 안락함의 분위기가 실내에서 느껴지는지 확인했다.

실내로 들어서자 내연기관 차량과 다른 공간감이 펼쳐졌다. 마치 오래된 아파트의 가짜 벽을 터버린 확장감이었다. 내연기관 차량에서 볼 수 있었던 뒷좌석의 센터 터널이 사라진 덕분인데, 현대차 전용 플랫폼 E-GMP가 바닥에 편평하게 위치했기에 가능한 구조다.

운전석과 동반석 사이에 있는 '유니버설 아일랜드'를 뒤로 옮기니 숨어있는 공간이 드러났다. 대략 책가방 두 개 정도를 놓을 수 있는 크기였으나 운전석으로 이동할 가능성이 있어 주의가 필요해 보였다. 유니버설 아일랜드엔 15W 수준의 고속 스마트폰 무선 충전 시스템이 있어 편리함을 더했다. 2열시트 아랫 부분엔 가정용 콘센트도 자리했다.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2021.03.18 giveit90@newspim.com

아이오닉5 티저처럼 캠핑이 가능한지 뒷좌석으로 이동했다. 좌석 옆 부분의 버튼을 누르자 등받이가 130도 정도 젖혀졌다. 조수석을 움직이지 않고서도 발을 쭉 뻗을 수 있었다. 조수석에선 컴포트 시트, 무중력 체어로 편안함을 느낄 수 있었다. 

여기에 운전석과 동반석 위치를 앞으로 최대한 조절하고, 유니버설 아일랜드도 밀어올리니 넓은 간이침대를 놓을 수 있는 공간이 드러났다. 만약 트렁크부터 공간을 확보한다면 평상 크기 공간을 마련할 수 있다. 성인 두 명이 누울 수 있는 트렁크 공간에 뒷좌석 등받이를 앞으로 조정하고 운전석·동반석 부분을 앞으로 쭉 빼는 식이다. 

이렇게 마련한 공간에 눕는다면, 비전루프가 환상적인 뷰를 제공한다. 답답하게만 여겨졌던 실내 천장이 개방감을 갖춰 캠핑카로도 손색없는 느낌을 줬다.

비전루프. [서울=뉴스핌] 조정한 기자 = 2021.03.18 giveit90@newspim.com

친환경 및 재활용 소재의 시트는 의외로 가죽 시트와 차이점이 없어 부드러웠다. 엔진이 빠진 공간에 수납공간을 마련한 것도 획기적이었다. 다만 아쉬운 부분도 발견됐다. 각종 버튼과 수납공간이 가벼운 소재로 제작돼 사용에 주의가 필요해 보였다. 그리 고급스러운 느낌은 받지 못했다. 

아이오닉5의 기본형인 익스클루시브 트림은 5200만~5250만원, 고급형인 프레스티지는 5700만~5750만원으로 책정됐다. 개별 소비세 3.5%를 반영한 가격으로, 여기에 전기차 보조금(서울시 기준)을 적용하면 익스클루시브 트림을 3700만원대에 구매 가능하다. 

giveit90@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단독] 日 여행객 'K-쌀' 사간다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일본 여행객이 한국을 방문, 한국 쌀을 직접 구매해 들고 나가는 사례가 급증하고 있다. 일본 내 쌀값이 고공행진을 이어가는 가운데 '밥맛 좋은 한국 쌀'이 대체제로 급부상하면서 벌어지는 현상이다. 3일 <뉴스핌>이 입수한 자료에 따르면, 올해 1월부터 6월까지 상반기 동안 일본 여행객이 한국에서 직접 구매해 일본으로 들고 간 국산 쌀은 3만3694kg로 집계됐다. 일본은 지난 2018년부터 휴대식물 반출 시 수출국 검역증을 의무화한 나라로, 병해충과 기생식물 등 식물위생 문제에 매우 엄격하다. 특히 쌀처럼 가공되지 않은 곡류는 검역 과정이 매우 까다롭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일본 여행객들의 한국산 쌀 열풍은 지속됐다. 지난해 한 해 동안 일본 여행객이 반출한 국산 쌀은 1310kg에 불과했지만, 올해는 상반기에만 무려 25배 이상 급증했다. 같은 기간(2024년 1~6월)으로 비교하면 작년 106kg에서 올해 3만3694kg로 약 318배 증가한 셈이다. 농식품부 관계자는 "일본 여행객들의 '쌀 쇼핑'이 열풍을 불면서 관련 문의가 급증했다"며 "한국쌀이 일본쌀에 비해 맛과 품질이 뒤떨어지지 않는다는 인식이 생기면서 반출되는 양도 많아지고 있다"고 설명했다. 쌀을 화물로 탁송하는 사례도 동반 상승했다. 올해 상반기 기준 화물검역을 통해 일본으로 수출된 국산 쌀은 43만1020kg에 달한다. 지난해 화물 검역 실적이 1.2kg에 그쳤던 것과 비교하면 폭증 상태다. 업계에서는 이번 흐름이 국산 쌀에 대한 일시적 특수로 끝나지 않고 국내에서 정체된 쌀 소비의 새로운 돌파구가 될 수 있을 것으로 내다보고 있다. 임정빈 서울대 농경제학과 교수는 "일본에서 쌀 가격이 두 배 이상 올랐으니 한국에 와서라도 쌀을 구매하는 여행객이 늘어난 것"이라고 짚었다. 이어 "다만 일본의 쌀 관세율이 매우 높기 때문에 한국 쌀의 가격만 보지는 않았을 것"이라며 "국산 쌀의 품질이 높기 때문에 이 부분에서도 합격점이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영종도=뉴스핌] 윤창빈 기자 = 11일 오전 인천국제공항 제1터미널에 중국발 여행객들이 입국하고 있다. 2023.03.11 pangbin@newspim.com 정부 역시 이같은 수요에 대응해 일본 관광객을 대상으로 검역제도 안내·홍보에 나서기로 했다. 현재는 농림축산검역본부를 통한 사전신청, 수출검역, 식물검역증 발급, 일본 통관까지 최소 3단계 이상이 요구된다. 다만 한국 쌀을 일본으로 반출할 때 한국에서 식물검역증을 발급받아야 한다는 사실을 모르는 일본 관광객이 일본에 돌아가 쌀을 폐기하는 일이 생기면서 홍보의 필요성이 대두됐다. 농식품부 고위 관계자는 "지난달 오사카 엑스포 현장 방문을 계기로 일본 농림수산성과 예방할 기회가 주어졌는데 그 자리에서 쌀 검역 문제가 논의됐다"며 "한국 정부는 일본 여행객이 애써 한국 쌀을 구매한 뒤 일본으로 돌아가 폐기하는 일이 없도록 제도 홍보에 만전을 기하겠다"고 전했다. plum@newspim.com 2025-07-03 11:10
사진
내란특검, 尹재판 증인 72명 신청 [서울=뉴스핌] 김신영 기자 =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 사건을 수사 중인 조은석 특별검사팀이 윤석열 전 대통령의 내란 우두머리 혐의 재판에서 증인 72명을 추가 신청했다. 서울중앙지법 형사합의25부(재판장 지귀연)는 3일 내란우두머리·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로 재판에 넘겨진 윤 전 대통령의 9차 공판기일을 열었다. 조은석 내란 특별검사. [사진=뉴스핌DB] 특검 측은 앞서 1차로 38명의 증인을 신청한 데 이어 이날 재판부에 증인 72명을 추가로 신청하겠다고 밝혔다.  재판부는 오는 10일 열릴 10차 공판에서는 이날 증인신문을 마치지 못한 고 전 처장에 이어 정성우 전 방첩사 1처장(준장), 김영권 방첩사 방첩부대장(대령)을 불러 신문할 예정이다. 정 전 처장은 여인형 전 방첩사령관으로부터 선관위 전산실 통제와 서버 확보를 지시받은 인물이며 김 부대장은 비상계엄 당일 곽종근 전 육군 특수전사령관이 윤 전 대통령으로부터 지시받을 당시 함께 합참 지휘통제실에 있었던 것으로 알려졌다.  한편 이날 재판에서 윤 전 대통령 측은 조은석 특검이 검찰로부터 사건을 이첩받은 절차가 위법해 무효라고 주장했으나, 특검은 "법과 상식에 비춰봤을 때 납득할 수 없는 주장"이라고 반박하며 신경전을 벌였다.  sykim@newspim.com 2025-07-03 20:4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