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영기 기자 = 전 공직자 재산신고 및 소급입법 등 국내에서 연일 부동산이 화두인 가운데 유럽, 아시아, 북미 등 전 세계에 걸쳐 주택가격이 과열되고 있다는 경고가 나왔다.
28일(현지시간_ 월스트리트저널(WSJ)은 글로벌 주택가격 상승이 잠재적 거품 우려를 키우고 있으며, 몇몇 국가 정부들의 시장 개입을 촉발하고 있다고 보도했다.
WSJ은 초저금리 수준이 장기화되는 가운데 코로나 팬데믹으로 재택근무가 늘어나면서 주택수요가 증가한 것을 그 배경으로 꼽았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에 따르면 37개 회원국 집값은 지난해 3분기 역대 최고 수준을 기록했고 지난해에는 연간 상승률도 5%로 20년래 최대폭이다.
보도에 따르면 각국의 정책결정권자들은 '포스트팬데믹' 경기회복을 위해 초저금리 유지를 원하면서도, 향후 가격이 내릴 수 있는 집을 사느라 국민들이 과도한 부채를 지는 것을 우려해야 하는 진퇴양난에 처했다.
실제 덴마크 중앙은행은 최근 낮은 자금조달 비용이 집값 상승으로 이어진다는 경고성 보고서를 냈다. 카스텐 빌토프트 덴마크 중앙은행 부총재는 "연 5∼10%의 집값 상승이 장기적으로 지속 불가능하다는 것은 명백하다"고 우려했다. 덴마크는 주택담보대출이 '마이너스 금리'여서 대출을 받아 집을 사는 게 오히려 이익이다.
또 중국 금융당국이 자산시장을 "거품"이라고 언급하며 시장 안정을 위한 규제 노력을 기울이고 있지만 효과가 없는 상태다. 지난해 중국 선전 부동산 가격 상승률은 16%에 이르렀다.
캐나다 중앙은행의 티프 맥클럼 총재는 캐나다 주택가격이 지난달 연율기준 17% 급등하자 자국 주택시장이 '과잉 상태' 초기 신호를 보여준다고 염려하기도 했다.
유럽은 미국, 중국보다 경제 전망이 좋지 않음에도 평균 1.35%에 불과한 주택담보대출 금리와 각국 정부 급여 보조, 대출 상환 유예 조치가 주택가격 상승을 견인한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WSJ은 지난해 15% 가까이 주택가격이 오른 서울에서 일부 부부들은 저금리 대출을 많이 받기 위해 혼인신고를 늦추고 집을 사는 사례가 있다는 점도 소개했다.
비행기 창으로 보이는 뉴욕 맨해튼 [사진=로이터 뉴스핌] |
00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