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증권·금융 주식

속보

더보기

[GAM] 전기차 배터리 투자 급증…해외 애널들 "SK이노·LG엔솔 등 매력적"

기사입력 : 2021년05월20일 13:55

최종수정 : 2021년05월20일 13:55

[편집자] 이 기사는 5월 20일 오후 1시12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시드니=뉴스핌] 권지언 특파원 = 전기차 판매 급증과 더불어 전기차 배터리에 대한 투자도 빠르게 늘고 있는 가운데, 해외 애널리스트들 사이에서 매력적인 배터리 관련주에 SK이노베이션과 LG에너지솔루션 등이 이름을 올려 눈길을 끈다.

피치 솔루션에 따르면 올 1분기 중에만 전기차 배터리와 관련해 267억달러어치의 글로벌 투자합의가 발표돼 지난 한 해 투자 규모를 50억달러 이상 앞질렀다.

투자금 급증으로 전기차 배터리 가격이 저렴해지면 전기차 가격이 내려오고, 이는 전기차와 배터리 수요 증가라는 선순환을 일으킬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상황에서 19일(현지시각) CNBC 프로는 투자은행(IB) 세 곳의 애널리스트들이 주목한 매력적인 배터리 관련주로 ▲컨템포러리암페렉스테크놀로지(종목명:CATL) ▲SK이노베이션(096770) ▲LG에너지솔루션(051910) ▲창신신소재(002812) ▲푸타이라이(603659) ▲선도지능(300450) ▲탁보그룹(601689)을 소개했다.

피치는 선전증시에 상장된 중국 최대 전기차 배터리 제조사인 CATL이 1분기 중 가장 많은 투자 프로젝트를 체결했다면서, 중국 내 7개 프로젝트 중 5개가 CATL 관련이라고 밝혔다.

지난달 말 UBS 애널리스트들은 투자 보고서에서 "중국과 유럽 전기차 시장이 빠르게 성장하면서 CATL이 수혜를 입기 좋은 여건을 갖추고 있다"고 평가했다. 그러면서 CATL에 대한 투자의견을 '매수(Buy)'로 제시했고, 목표가는 475위안으로 19일 종가 대비 27%의 상승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 내다봤다.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SK이노베이션이 미국 조지아주 잭슨 카운티 커머스시에 건설 중인 전기차배터리 공장. [제공=SK이노베이션] 2020.01.16 yunyun@newspim.com

지난 1분기 중 동유럽 지역에 30억달러 이상의 투자를 발표한 SK이노베이션에 대해 다이와 캐피탈 마켓츠는 올해 중 SK이노의 배터리 사업 매출이 3조5000억달러로 두 배 이상 성장할 것으로 전ㅁ쳤다.

지난주 리포트에서 다이와는 "임원진이 확인해주지는 않았지만 SK이노가 미국 내 3·4 공장까지 증설하고, 해외 주요 자동차 제조업체들과의 합작벤처도 검토 중인 것으로 판단된다"면서 '매수'의견과 함께 목표가를 종전의 38만4000원에서 40만원으로 상향 조정했다. 19일 종가 대비 44% 정도 높은 수준이다.

LG엔솔은 지난달 말 모간스탠리가 시장 예상을 크게 웃돈 1분기 실적 발표가 "결정적 순간(defining moment)"이었다면서 '비중확대(overweight)'의견과 함께 목표가로 150만원을 제시한 바 있다. 이는 19일 종가 대비 무려 70%가 높은 가격이다.

JP모간 애널리스트들은 지난 12일 투자자 노트에서 배터리 관련 원자재 및 컴포넌트 제공업체에 주목하면서 "창신신소재, 푸타이라이, CATL, 선도지능을 비롯해 테슬라 컴포넌트 공급업체인 탁보그룹"을 계속 선호한다고 밝혔다.

kwonjiu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서울이코노믹포럼]김현철"신남방정책 재건"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최수아 인턴기자 = 김현철 서울대학교 국제대학원 교수가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잘못된 경제 정책으로 초래된 대한민국 경제 위기를 극복하기 위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재수립해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8일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 출범 이후 계속된 경제 추락을 회복하기 위해서는 경제 전략적 안정성과 우월성 관점에서 글로벌 경제 전략을 다시 설정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그는 현재 대한민국의 가장 큰 경제 위기는 트럼프발 관세 전쟁이라고 진단했다. 김 교수는 "관세를 낮추는 자유무역협정(FTA)과 같은 기존의 통상 정책으로 극복할 수 없다"며 관세 협상뿐만 아니라 방위비, 조선업, 에너지 등을 총체적으로 트럼프 정부와 협상하는 신통상 정책을 제안했다. 대중국 전략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가 출범하며 '탈중국'을 선언했다. 당시 경제계와 학계는 경악하며 '탈중국은 절대 안 된다'고 경고했지만 사회는 침묵했고 결국 2023년 경제성장률 1.4%라는 수치를 기록하며 대한민국 경제를 무너뜨렸다"고 지적했다. 신남방 정책 재건의 필요성도 강조했다. 김 교수는 "윤석열 정부는 자주적 신남방 정책을 버리고 한국판 인태전략이라는 종속 정책을 채택했다"며 "이제는 공급망 발상이 아니라 판매망 발상으로 바꾸는 새로운 신남방 정책을 만들어야 한다"고 설명했다. 글로벌 경제 영토도 확장해야 한다고 지적했다. 김 교수는 신남방을 중심으로 아프리카와 중남미 지역을 포함해 유럽, 호주, 캐나다, 일본 등을 대한민국의 경제 파트너로 끌어들이는 'A+1,1,1'이라는 새로운 경제 전략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글로벌 정책 외에도 대한민국 지역 전략을 새롭게 설정해야 한다고 제언했다. 구체적으로 ▲제조업 재활성화 ▲AI를 중심으로 한 신산업 전략 설정 ▲신기술 전략 설정 및 육성 등이 필요하다고 했다. 김 교수는 기존의 수출 중심 경제 모델도 바꿔야 한다고 주장했다. 그는 "물론 수출은 대한민국 경쟁력의 원천이긴 하지만 그것만으로는 부족한 시대가 됐다"며 "새로운 글로벌 경제 전략을 수립하고 내수 경제도 활성화시키면서 대한민국을 다시 한번 글로벌 허브로 만들어야 한다"고 제언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김현철 서울대 국제대학원 교수가 8일 오전 서울 여의도 페어몬트호텔 그랜드볼룸에서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 주최로 열린 제13회 서울이코노믹포럼에서 '대한민국 글로벌 경제 전략'을 주제로 발표하고 있다. 'Make Korea Rising Again : 다시 뛰자! 대한민국'이라는 주제로 열린 이번 포럼은 보수와 진보로 나뉘어 극심한 분열 양상을 보이고 있는 우리 사회의 '통합'을 모색하기 위해 마련됐다. 2025.04.08 pangbin@newspim.com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12:47
사진
이완규 법제처장, 내란방조 피의자 신분 [서울=뉴스핌] 배정원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8일 경찰에 따르면 경찰 비상계엄 특별수사단은 지난해 12월 이 처장을 피의자 신분으로 한 차례 불러 조사했다. 이 처장은 12·3 비상계엄 선포 다음 날인 지난해 12월 4일 서울 종로구 삼청동의 대통령 안가(안전가옥)에서 김주현 대통령실 민정수석비서관과 박성재 법무부 장관, 이상민 당시 행정안전부 장관과 회동을 가졌다. 이후 휴대전화까지 교체한 사실이 알려지면서 시민단체는 이 처장을 내란방조 등 혐의로 경찰에 고발했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된 이완규 법제처장이 12·3 비상계엄 관련 내란방조 혐의로 수사대상에 올라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사진은 이완규 법제처장이 20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에서 열린 서울서부지방법원 소요사태 관련 긴급현안질의에서 의원 질문에 답변하고 있는 모습. 2025.01.20 pangbin@newspim.com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도 이 처장에 대한 내란방조·증거인멸 혐의 고발장을 접수하고 피의자로 입건해 조사하고 있다. 지난해 12월 11일 국회 법제사법위원회 전체회의에 출석한 이 처장은 당시 안가 회동에 대해 "저녁을 먹는 자리였다"며 "어쨌든 그 자리에 간 게 잘못이다. 죄송하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런 가운데 한덕수 대통령 권한대행이 이날 이 처장과 함상훈 서울고등법원 부장판사를 헌법재판관 후보자로 지명하면서 논란이 일고 있다. 우원식 국회의장은 "헌법재판관 지명을 통한 헌법기관 구성권은 대통령 고유권한으로 대통령 궐위 상태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권한대행이 국민이 직접 선출한 대통령에게 부여된 고유 권한을 행사하려고 드는 것은 용납할 수 없다"며 지명 철회를 촉구했다. jeongwon1026@newspim.com 2025-04-08 20:26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