브라운 교수 "中, 대북정책 지렛대로 송유관 활용"
[서울=뉴스핌] 이영태 기자 = 중국이 유엔 대북제재 완화를 주장하는 가운데 대북 원유 공급을 위해 송유관 보수 공사를 진행 중인 것으로 밝혀졌다.
자유아시아방송(RFA)은 17일 북한 전문 매체 데일리NK를 인용해 중국 랴오닝(遼寧)성 단둥(丹東)시에 위치한 단둥송유기지에서 대북 송유관 건설 공사가 진행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원유 저장 시설로 연결된 송유관 [사진= 로이터 뉴스핌] |
단둥송유기지의 송유관은 1975년 완공됐는데 노후화가 진행돼 원유의 질이 떨어지고 열처리를 하지 않으면 막히기 때문에 지난 6월부터 송유관 교체 공사가 시작됐다는 설명이다.
데일리NK는 "중국이 북한에 공급하는 헤이룽장(黑龍江)성 다칭(大慶)유전의 원유는 파라핀계 탄화수소의 함량이 높아 낮은 기온에서 쉽게 응고되기 때문에 고온의 열처리를 하지 않으면 송유관이 막혀버리기 쉽다"고 설명했다.
송유관은 압록강 지하를 통해 북한에서 유일하게 운영 중인 평안북도 피현군에 위치한 정유시설 백마 봉화화학공장으로 연결된다.
북한 경제 전문가 윌리엄 브라운 미 조지타운대 교수는 이 송유관이 북한 경제에 미치는 엄청난 영향력 때문에 송유관 보수 공사를 진행하는 것이라고 전했다.
브라운 교수는 RFA와의 통화에서 북한이 핵폭발로 지역을 뒤흔들거나 미국에 대륙간탄도미사일(ICBM)을 쏘는 등 심각한 도발을 한다면 중국이 송유관을 폐쇄해 북한을 압박할 수 있을 것이라고 평가했다.
북한은 중국에서 공급받은 원유의 3분 2에서 정제품을 얻는다며 추가로 필요한 정제품은 시장 가격을 지불해 수입해야 하는데 송유관이 폐쇄되면 북한에 엄청난 부담이라는 지적이다.
브라운 교수는 "중국이 (송유관을) 북한에 지렛대로 활용하는 것 같다"며 "북한이 도발을 자제하는 것을 보면 꽤 이 방법이 효과적인 것 같다. 북한은 현재 중국이 반발할 만한 행동을 하지 않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그는 다만 최근에도 국제사회에 대북제재완화를 촉구한 중국의 압박성 행보일 수 있다는 추측과는 무관한 것으로 보인다며, 제한된 원유 수출은 유엔 대북제재 결의 위반이 아니기 때문에 제재완화와 관련짓기보다는 송유관에 대한 기술적인 문제인 것 같다고 언급했다.
북한은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으로 인해 중국과 러시아로부터 정제유를 반입하지 않는 것으로 알려졌지만 올해 3월부터 반입을 재개했다.
지난달 21일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대북제재위원회 홈페이지에 따르면 지난 6월 중국에서 북한으로 반입된 정제유는 1만725배럴로 12개월 만에 가장 큰 규모다.
medialy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