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재계·경영

속보

더보기

시총 TOP 100 기업, 3분기 130조 ↓…삼성전자 39조 증발

기사입력 : 2021년10월13일 11:28

최종수정 : 2021년10월13일 11:28

카카오, SK하이닉스 각각 19조, 17조 감소
2차 전지 관련 종목에서 시총 상승폭 높아
9월 말, 시총 상위 100곳서 92곳 순위 교체

[서울=뉴스핌] 김정수 기자 = 올해 3분기 시가총액 상위 100곳 중 59곳의 규모가 2분기에 비해 130조원 이상 줄어든 것으로 나타났다.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기업분석 전문 한국CXO연구소는 '2021년 3분기 국내 주식시장 시가총액 변동 현황 분석 결과'를 통해 13일 이같이 밝혔다. 연구소에 따르면 최근 3개월 사이 주식종목 2300곳의 시총이 167조원 넘게 줄었는데 이중 시총 상위 100위권 종목에서만 130조원 넘게 감소했다.

연구소의 조사 결과에 따르면 2300곳이 넘는 주식종목의 시총은 올해 3월 말 2411조원에서 6월 말 2604조원으로 193조원 증가했다. 하지만 9월 말에는 2437조원으로 6월말보다 167조원 감소했다. 최근 3개월 사이 시총은 6.4% 감소해 3월 말 수준으로 돌아섰다.

[자료 제공 = 한국CXO연구소]

◆삼성전자 시총 39조 증발…카카오·SK하이닉스도 각각 10조 이상 하락

조사 대상 주식종목 중 올 3분기(6월 말 대비 9월 말) 시총이 감소한 곳은 2300여곳 중 67.2%에 해당하는 1572곳이었다.

시총 규모가 가장 크게 감소한 곳은 삼성전자로 나타났다. 삼성전자의 올해 1월 초 시총 규모는 495조원이었다. 이후 3월 말과 6월 말 각각 485조원, 481조원으로 연초보다 소폭 감소했다.

다만 9월 말에는 442조원으로 하락세를 이어갔다.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시총은 39조4000억원으로 8.2% 줄었다. 올해 초와 비교하면 최근 9개월 사이 삼성전자 시총은 53조원 감소했다. 올해 초 8만3000원이던 삼성전자 종가가 9월 말 7만4100원으로 하락한 것이 시총 감소의 주요 요인으로 꼽힌다.

특히 지난 12일 삼성전자 종가는 6만9000원까지 내려앉으며 시총 규모도 411조원 수준으로 9월 말보다 더 하락했다. 올해 시총이 가장 높았던 지난 1월 11일(종가 9만1000원)과 비교하면 무려 130조원 이상 시총 차이를 보였다. 향후 삼성전자 주가가 6만7000원 이하로 떨어질 경우 시총 400조원대도 붕괴될 수 있다.

2분기 시총 3위를 기록했던 카카오도 3분기에만 19조8500억원이 넘는 시총이 증발했다. 6월 말 72조3600억원에서 9월 말 52조5000억원 수준으로 내려앉았다.

국내 시총 2위 SK하이닉스는 6월 말 92조8200억원에서 9월 말 74조9800억원으로 3개월 사이 17조8300억 원 넘게 하락했다.

[자료 제공 = 한국CXO연구소]

지난 2분기 국내 시총 3위권에 이름을 올렸던 삼성전자, SK하이닉스, 카카오에서만 줄어든 시총 금액만 77조원이다.

현대차도 최근 3개월 사이 시총이 16.5% 수준인 8조4300억원 증발했다(6월 말 51조 1700억원→9월 말 42조7300억원). 이어 LG계열사 3곳도 각 종목별로 시총이 5조 원 넘게 주저앉았다. LG생활건강 6조 6300억원(27조5100억원→20조8800억원), LG전자 5조8900억원(26조7500억원→20조 8600억원), LG화학 5조 2200억원(60조원→54조7700억원) 등이다.

3분기에만 시총이 1조원 넘게 사라진 곳은 삼성전자 등을 포함해 모두 34곳이었다. 반면 시총이 1조원 넘게 증가한 곳은 18곳으로 절반 수준에 그쳤다.

6월 말 대비 9월 말 기준 시총이 가장 크게 증가한 곳은 충북 청주에 법인 주소지를 두고 있는 2차 전지 관련주 '에코프로비엠'으로 확인됐다. 시총은 6월 말 4조6400억원대에서 9월 말 10조2300억원으로 최근 3개월 사이 시총이 5조5800억원 넘게 뛰었다. 시총 10조 클럽에도 올해 처음 가입했다.

같은 2차 전지 관련 종목인 '엘앤에프'도 2조5700억원에서 6조1800억원으로 3분기에만 시총이 3조6100억원 넘게 상승했다.

이외 시총이 2조원 넘게 증가한 곳은 4곳으로 포스코케미칼 2조 5562억 원(6월 말 11조1547억원→9월 말 13조7100억원), 에이치엘비 2조4806억원(3조5427억 원→6조234억원), 삼성바이오로직스 2조1834억원(55조6447억원→57조8282억원), 한국비엔씨 2조1071억원(4101억원→2조5173억원) 순이다.

[자료 제공 = 한국CXO연구소]

◆9월말 시총 TOP 100 중 92곳 순위 교체, 시총 증가율 100% 넘은 업종 6곳 

3분기 기준 시총 1조 클럽에 가입한 267곳 중 최근 3개월 사이 시총 증가율이 배 이상 되는 곳은 6곳이었다. 가장 높은 증가율을 보인 곳은 제약 관련 업종인 '한국비엔씨'로 나타났다. 해당 종목은 3분기에만 시총이 513.7% 상승해 1조 클럽 중 시총 증가율 1위를 기록했다. 한국비엔씨 최대주주인 최완규 대표이사의 주식재산도 6월 말 1036억원에서 9월 말 기준 6363억원으로 늘었다.

의료용품 제조사 '바이오니아'도 203.5% 수준으로 시총이 3개월 사이 크게 올랐다. 앞서 주식종목은 6월 말 5415억원에서 9월 말 1조6437억원으로 3분기에만 시총이 1조1000억원 넘게 상승했다. '엘앤에프'도 같은 기간 시총 증가율이 140.4%였다.

3분기 시총 금액이 가장 많이 오른 '에코프로비엠'도 시총 증가율은 120.2%으로 조사됐다. 에코프로비엠과 같은 계열사인 '에코프로' 시총 역시 8462억원에서 1조8476억원으로 118.3%(1조 14억원) 상승했다. 2차 전지 관련주인 '대주전자재료'도 7416억원에서 1조5666억원으로 최근 3개월 사이 시총이 112.2%(8249억원) 증가했다.

9월 말 기준 국내 시총 100위권 가운데 92곳에서 순위 변동이 있었다. 상위 10위권에서는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가 2분기 때와 마찬가지로 시총 1위, 2위를 유지했다. LG화학(5위)·셀트리온(9위)·기아(10위) 세 곳도 2분기 때와 같은 시총 순위를 3분기에서도 지켜냈다.

시총 상위 10곳 중에서는 삼성바이오로직스가 두 계단(6위→4위), 네이버(4위→3위)와 삼성SDI(8위→7위)는 각 한 계단씩 전진했다. 반면 카카오는 세 계단(3위→6위) 내려와 가장 많이 후퇴했고, 현대차도 한 계단(7위→8위) 뒷걸음질 쳤다.

9월 말 기준 시총 상위 10위권 중 삼성바이오로직스와 삼성SDI 두 곳을 제외하면 8곳 모두 시총 규모가 2분기 대비 줄었다. 이들 8곳에서 최근 3개월 사이 사라져버린 시총 금액만 100조원이 넘는다.

[자료 제공 = 한국CXO연구소]

최근 3개월 사이 상위 100위권에 새로 가입한 곳은 10곳이었다. 10곳 중 1곳 꼴로 시총 상위 100곳이 물갈이 된 셈이다. 6월 말 대비 9월 말 시총 순위가 크게 급등한 곳은 '엘앤에프'였다. 6월 말 시총 순위 137위에서 9월 말에는 54위로 뛰었다. 3분기에만 시총 순위가 83계단이나 앞섰다.

이어 ▲메리츠금융지주 51계단(6월 말 126위→9월 말 75위) ▲메리츠화재 47계단(141위→94위) ▲한솔케미칼 41계단(129위→88위) ▲OCI 36계단(128위→92위) ▲일진머티리얼즈 32계단(104위→72위) ▲KCC 26계단(119위→93위) ▲한국가스공사 26계단(103위→77위) ▲GS리테일 23계단(122위→99위) ▲두산퓨어셀 7계단(107위→100위) 순으로 올 3분기 시총 100위권에 신규 가입했다.

반면 휠라홀딩스는 6월 말 99위에서 9월 말 137위로 38계단 하락하며 올 3분기 시총 100위권에서 제외됐다. 이외 ▲신풍제약 41계단↓(73위→114위) ▲효성티앤씨 38계단↓(89위→127위) ▲현대오토에버 34계단↓(94위→128위) ▲씨젠 34계단↓(77위→111위) ▲대우조선해양 29계단↓(91위→120위) ▲한미약품 20계단↓(84위→104위) ▲CJ ENM 18계단↓(87위→105위) ▲알테오젠 13계단↓(100위→113위) ▲호텔신라 8계단↓(93위→101위) 등으로 밀려났다.

오일선 한국CXO연구소 소장은 "3분기에는 시총 상위 100곳 중 59곳이나 2분기 대비 시총이 감소하며 국내 주식시장은 다소 위기를 맞았다"며 "전반적으로 매출 등의 실적 지표는 나쁘지 않은 상황에서 주가는 실적과 반대로 움직이고 있는 것은 그만큼 국내외 투자자들이 포스트 코로나 이후에 미래 성장 동력에 대한 불안감 등이 반영된 것으로 풀이된다"고 말했다.

조사 대상은 9월 30일 기준 국내 전체 주식종목은 2584곳이으로 올해 초부터 상장된 곳과 우선주 등을 제외한 2336곳이었다. 조사는 올해 6월 30일과 9월 30일 시총 변동 현황 등을 비교해 이뤄졌다.

freshwater@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이정후, MLB 첫 2경기 연속 대포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이정후가 미국 진출 후 처음으로 2경기 연속 홈런포를 쏘아 올렸다. 샌프란시스코는 그동안 이정후가 홈런을 친 6경기(지난해 2경기)에서 100% 승률을 거뒀지만 처음으로 승리 공식이 깨졌다. 이정후는 15일(한국시간) 샌프란시스코 오라클파크에서 열린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4-8로 추격한 7회 투런 홈런을 날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샌프란시스코 이정후가 15일 애리조나와 홈경기에서 7회 2점 홈런을 날린 뒤 맷 윌리엄스 코치의 환영을 받으며 3루 베이스를 돌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전날 애리조나전 8회 3점 홈런에 이어 이틀 연속 아치를 그린 이정후는 시즌 6호 홈런을 기록했다. 그러나 샌프란시스코는 7-8로 아쉽게 졌다. 지난해 데뷔한 이정후가 2경기 연속 홈런을 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지난달 14일 뉴욕 양키스전에서 연타석 홈런을 쳐 한 경기 홈런 2개를 발사한 적은 있었다. 3번 7회 무사 1루에서 네 번째 타석에 선 이정후는 애리조나 세 번째 투수인 우완 라인 넬슨을 맞아 원볼 투스트라이크에서 4구째 시속 138㎞ 체인지업을 받아쳐 우중간 펜스를 넘겼다. 타구 속도는 시속 164㎞가 나왔고 비거리는 120m였다. 넬슨은 지난해 애리조나에서 선발로 뛰며 10승(6패 평균자책점 4.24)을 기록한 빅리그 4년차 유망주다. 3번 중견수로 출전한 이정후는 1회 3루수 파울 플라이, 3회 3루수 땅볼, 5회 좌익수 뜬공으로 물러났다. 5회 타구는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펜스 앞까지 달려가 잡아내는 호수비가 아니었으면 장타가 됐을 타구였다. 2점 차로 뒤진 9회에는 선두 타자로 나가 좌익수 뜬공으로 아웃됐다. 이날 범타로 물러난 네 타석에선 공이 모두 왼쪽으로 밀렸다. [샌프란시스코 로이터=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애리조나 좌익수 루어데스 구리엘 주니어가 15일 샌프란시스코와 원정경기에서 5회 이정후의 깊숙한 타구를 러닝 캐치로 잡아내고 있다. 2025.05.15 zangpabo@newspim.com 5타수 1안타 2타점 1득점을 기록한 이정후는 4경기 연속 안타 행진을 벌였지만 시즌 타율은 0.286로 약간 내려갔다. 2경기에서 5타점을 쓸어 담은 이정후의 타점은 29개로 늘어나 윌머 플로레스(33개)에 이어 팀 내 2위를 기록했다. 전날 애리조나를 10-6으로 꺾고 4연패에서 탈출했던 내셔널리그 서부지구 3위 샌프란시스코는 이날 패배로 4위 애리조나에 2경기 차로 쫓기게 됐다. 샌프란시스코는 9회 이정후가 아웃된 뒤 1사 만루 기회를 만들었다. 마이크 여스트렘스키의 삼진 후 라몬테 웨이드 주니어의 밀어내기 볼넷으로 1점 차까지 추격했으나 크리스천 코스가 중견수 뜬공으로 잡혀 역전에 실패했다. 샌프란시스코는 하루 휴식 후 17일 애슬레틱스와 홈 3연전을 시작한다. zangpabo@newspim.com 2025-05-15 08:58
사진
'서부지법 난동' 첫 선고 2명 모두 실형 [서울=뉴스핌] 조승진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의 구속영장 발부 전후인 지난 1월 18∼19일, 서부지법에서 발생한 난동 사건으로 구속기소된 95명 중 2명이 1심에서 실형을 선고받았다. 서울서부지법 형사6단독(재판장 김진성)은 14일 오전 특수건조물침입 등의 혐의로 기소된 김 모 씨와 소모 씨에 대한 선고 공판에서 김 모 씨에게 징역 1년 6개월, 소모 씨에게 징역 1년을 선고했다. 이날 선고는 서부지법 난동 사태 발생 4개월여 만에 나온 첫 선고다.  앞서 검찰은 김씨에게 징역 3년, 소씨에게 징역 2년을 구형했다. 지난 1월19일 오전 서울 마포구 서울서부지방법원 청사 유리창과 벽면이 파손되어 있다. 이날 윤석열 대통령 구속영장이 발부되자 윤 대통령 지지자들이 서울서부지법에 난입해 유리창을 깨고 집기를 훼손하는 등 난동을 부려 경찰이 강제진압에 나섰다. [사진=뉴스핌 DB] 선고는 김 씨부터 진행됐다. 재판부는 "이 사건은 특수건조물 침입, 공용 물건 손상, 특수 공무집행 방해"라며 "피고인이 증거에 관해서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가 있어서 유죄로 인정된다"고 했다. 이어 "이 사건은 다중위력을 보인 범행이고, 범행 대상은 법원"이라며 "피고인을 포함해서 많은 사람들이 하나의 사건에 연관되었고, 당시 발생한 전체 범행의 결과는 참혹하다"고 설명했다. 그러면서 "대한민국 사법부의 영장 발부 여부를 정치적 음모로 해석 규정하고, 그에 대한 즉각적인 응징, 보복을 이뤄야 한다는 집념과 집착이 이뤄낸 범행"이라고 했다. 재판부는 "다만 이 사건은 공동 범행이 아니라 단독 범행이기 때문에 피고인의 행위에 대해서만 평가한다"면서도 "다중의 위력을 보였다는 부분은 범죄사실에 포함되므로 고려한다"고 말했다. 이어 "피고인은 벽돌 등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깨뜨렸고, 법원 경내로 들어가 침입했다"며 "법원 내부 진입을 막고 있던 경찰관들을 몸으로 밀어 폭행했다"고 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 태도를 보이고, 우발적으로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 6개월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어진 소 씨의 선고에서 재판부는 "피고인이 자백하고 있고 보관 증거 있어 유죄"라고 했다. 그러면서 "피고인은 법원 경내로 들어간 다음 당직실 유리창을 통해 건물 1층 로비까지 들어가 침입했다"며 "화분 물받이로 창고 플라스틱 문을 긁히게 하고, 부서진 타일 조각을 던져 법원 건물 외벽 타일을 손괴했다"고 말했다. 다만 "피고인이 진지한 반성으로 보이고, 우발적 범행에 이르게 된 점, 초범인 점, 그밖에 양형 제반 사항을 고려해 징역 1년에 처한다"고 밝혔다. 이번 선고에 앞서 재판부는 "어제 딸에게 산책하며 '아빠가 어려운 사건을 선고한다'고 했더니 '이재명 사건이냐, 윤석열 사건이냐?'고 묻더라"며 "더 어려운 사건이 있겠구나 싶었지만, 결단과 선고 순간에는 어렵고 쉬운 사건이 없다고 생각한다"고 말했다. 이어 "이 판결문을 머릿속으로 썼다가 지웠다 수없이 반복했다. 오늘 선고를 할지 말지도 많이 고민했다"고 했다. 그러면서 "오늘 선고가 정답이라고 생각지 않는다. 다만 결정과 결단의 문제라고 생각한다"며 "이 선고가 피고인의 남은 인생을 좌우하지 않는다고 생각하고, 남은 생은 피고인 본인답게 살아달라"고 당부했다. 또 "이 사건과 같은 날 있던 전체 사건을 포함해 법원, 경찰 모두 피해자라고 생각한다"며 "그날 직접 피해를 본 법원, 경찰 구성원분들과 지금도 피해를 수습할 관계자분들 노고에 감사하다. 기자들을 포함해 지금도 피해를 수습하는 과정인 거 같다"고 덧붙였다. 이어 "마지막으로 대한민국 어려운 시기에 시민들께서 사법부뿐 아니라 경찰, 검찰, 법원 전체에 지속적으로 관심을 가져주시길 바란다"고 강조했다. chogiza@newspim.com 2025-05-14 11:05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