4조 결손금 해소여부가 재무상태 판단 주요 지표될 듯
단독관리 찬성하는 산은, 대주주 지위 유지…경영개입 지속 가능성
배재훈 사장 3월 임기 만료, 후임 CEO 선임 관건
CB 포함 정부 지분 70% 해소도 문제…"부처 공감대 형성할 것"
[서울=뉴스핌] 강명연 기자 = HMM이 산업은행과 한국해양진흥공사의 공동관리를 졸업할 수 있을지 관심이 쏠린다.
공동관리 종료 여부는 추가 금융지원이 필요한지에 달렸다. HMM은 올해 최소 6조원의 영업이익을 낼 예정이어서 자금여력은 충분하다는 평가가 지배적이지만, 연말까지 결손금을 완전히 털어낼 수 있을지 등이 관건이 될 전망이다.
다만 공동관리를 졸업해도 산은의 최대주주 지위는 유지되는 만큼 산은의 경영개입 가능성은 여전히 남아 있을 것으로 예상된다. 내년 3월 임기가 종료되는 배재훈 사장의 후임 선임에 산은의 입김이 작용할 가능성도 거론된다.
독일 함부르크항에서 하역 작업을 마치고 출항을 준비중인 2만4000TEU급 컨테이너선 'HMM 그단스크호'. [사진=HMM] |
◆ 공동관리 종료여부 조만간 결정…'4조' 결손금 해소 관건, 산은은 '찬성'
6일 정부와 업계 등에 따르면 해양수산부를 비롯한 관계부처와 산업은행, 한국해양진흥공사 등 관계기관들은 조만간 HMM 공동관리 종료 여부를 결정할 예정이다.
HMM은 2018년 하반기부터 산은과 해진공으로부터 공동관리를 받고 있다. 관리단은 HMM 사업 전반부터 자금관리까지 경영 전 분야를 관리감독한다. 양 기관의 전담조직에서 각각 3명이 파견근무를 하고 있다.
공동관리 체제에서 산은이 빠질지는 HMM의 자금상황을 고려해 결정한다는 방침이다. 추가적인 금융지원 필요성이 남아있다면 산은의 개입이 지속될 필요가 있는 반면, 재무 안정성이 확보됐다고 판단되면 산업 측면의 관리에 방점이 찍혀야 한다는 것이다.
특히 4조원에 달하는 누적 결손금을 털어내는지가 재무 안정성을 판단하는 중요 지표가 될 전망이다. HMM은 올해 6조원이 넘는 이익 달성이 예상돼 결손금을 없애고 배당가능이익으로 전환할 가능성이 높다. 다만 4분기 실적까지 확정돼야 결손금 상쇄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해수부 관계자는 "HMM은 당장 전환사채(CB)를 추가발행하거나 할 일은 없지만, 부채가 남아 있기 때문에 관리가 필요하다는 게 강조되거나 투자나 금융지원에 대한 추가 고민이 필요하다면 공동관리가 연장될 수도 있다"며 "누적 결손금을 갚으면 재무 안정성이 정착돼 산업과 운영 측면에서 단독관리가 강화될 필요가 있다"고 말했다.
공동관리 당사자인 산은은 단독관리 체제로 전환해야 한다는 입장이다. 앞서 지난달 30일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이동걸 산은 회장은 "올해 말 산은과 해진공의 공동관리가 끝나고 내년부터 해진공이 전담관리하기로 돼 있다"며 "최근 (HMM의) 경영상태가 좋아졌기 때문에 우리는 손을 뗄 떼가 됐다"고 말했다. 공동관리를 연장할 필요가 없다는 의견을 공개적으로 밝힌 것이다.
◆ 산은 대주주 지위는 유지, 배재훈 사장 후임 선임 관여 가능성…정부지분 해소도 문제
해진공 단독관리로 전환되면 감독 주체가 줄어드는 만큼 공동관리 체제보다 경영 개입은 줄어들 수 있다. 다만 산은은 여전히 대주주 지위를 유지하고 있어 실질적인 단독관리가 불가능하다는 우려도 나온다. 현재 산은과 해진공은 각각 20.69%, 19.96%의 HMM 지분을 갖고 있다.
특히 배재훈 사장 후임 선임이 관건이다. 배 사장의 연임 가능성이 낮아지면서 차기 사장을 뽑아야 하는데, 대주주의 책임을 다한다는 명분으로 사장 선임에 개입할 가능성이 높다는 전망이 나온다.
업계 관계자는 "산은이 관리체제에서 빠지더라도 대주주의 역할이 남아있을텐데 어디까지 관여할지 정해진 게 없다"며 "글로벌 선사와 본격적으로 경쟁할 시기에 CEO의 역할이 무엇보다 중요한 만큼 책임경영할 수 있는 업계 전문가가 와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장기적으로는 정부 측 지분을 어떻게 해소할지도 문제다. 현재 정부 측 지분은 50% 미만이지만 주식 전환 가능성이 있는 CB를 포함하면 지분의 70%가 넘는다. 남은 CB의 전환 시점은 2023년 이후지만, 이전에 민영화가 추진되더라도 정부 지분이 남아있는 부담 때문에 매각에 변수가 될 수 있어서다.
정부는 HMM 관리방안부터 지분정리까지 관계기관의 공감대를 형성하는 게 중요하다고 보고 내년부터 본격적으로 논의한다는 방침이다.
정부 관계자는 "정부 지분을 어떻게 정리할지나 HMM 관리방안 등에 대해 구체적으로 결정된 게 없는 만큼 큰 틀의 기준이 필요하다"며 "정부 내에서 큰 그림을 공유하기 위해 준비 중"이라고 말했다.
unsaid@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