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4일 오전 10시경 기준금리 결정 발표
인상하면 1.25%, 코로나 발생 이전 회귀
인플레‧연준 긴축‧가계부채 등 인상 요인
[서울=뉴스핌] 이정윤 기자= 한국은행 금융통화위원회 회의가 오늘(14일) 새해 처음으로 열리면서 기준금리 인상 여부에 관심이 쏠리고 있다. 지난해 두차례에 이어 1월에 추가 금리인상을 할 것이란 전망과 함께 일각에선 코로나19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동결될 것이란 의견이 혼재하고 있는 상황이다.
이날 오전 한은의 통화정책방향 결정회의가 열릴 예정이다. 현재 국내 기준금리는 연 1.00%로 지난해 8월과 11월, 두 차례에 걸쳐 각각 0.25%포인트(p) 인상이 이뤄졌다. 만약 이날 기준금리를 0.25%p 인상할 경우 코로나19 발생 이전(1.25%)으로 돌아가게 된다.
시장에선 이날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이 높은 것으로 보고 있다. 이주열 총재를 비롯해 대다수의 금통위원들이 지난해 11월 이후에도 1분기 추가 금리 인상을 시사했기 때문이다. 이 총재는 "연 1.0%의 기준금리는 여전히 완화적 수준"이라며 "내년(2022년) 1분기 경제 상황에 달려 있겠지만, 1분기 기준금리 인상을 배제할 필요는 없다고 본다"고 말한 바 있다. 금통위원도 6명 중 5명이 추가 인상 필요성을 언급했다.
또 물가가 여전히 높아 인플레이션 우려가 커지면서 금리인상으로 돈줄을 죄면서 물가 상승률을 억제할 것이라는 분석이다. 지난해 12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3.7%를 기록했다. 연간으로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2.5%로, 10년 만에 최고치를 기록했다. 이는 한은의 물가 안정 목표(2%)를 크게 상회하는 수준이다.
[서울=뉴스핌] 이주열 한국은행 총재가 25일 오전 서울 중구 한국은행에서 열린 금융통화위원회 본회의에서 회의를 주재하고 있다. 이날 회의에서 기준금리가 현재 연 0.75%에서 0.25% 오른 연 1%로 결정 되면서 지난해 3월부터 시작된 제로금리 시대가 1년 8개월만에 막을 내렸다.[사진=한국은행] 2021.11.25 photo@newspim.com |
아울러 가계부채 증가세가 주춤하고는 있지만 여전한 등 '금융불균형' 문제가 심각한 상황이다. 이에 올해도 가계부채 강화 기조가 이어지면서 금리인상으로 가계부채 증가속도를 더 끌어내릴 것으로 예측된다.
여기에 최근 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Fed·연준)가 인플레이션이 지속될 경우 예정보다 빨리 기준금리 인상에 나설 것을 예고한 것도 이날 금리 결정에 영향을 줄 것으로 보인다. 전문가들은 미 연준이 오는 25~26일 열리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해 오는 3월 금리 인상 시작을 언급할 것으로 보고 있다.
하지만 오미크론 변이 확산으로 인해 여전히 경기 상황이 불안하면서 기준금리를 동결할 것이란 의견도 있다. 채권시장에선 이번 금통위에서 금리 동결을 예상한 응답이 많았다. 금융투자협회에 따르면 채권보유 및 운용 관련 종사자를 대상으로 설문 조사한 결과, 응답자 100명의 57%(57명)는 금리 동결을 예상했고, 나머지 43명(43%)는 기준금리 인상을 전망했다.
실제로 지난해 3분기 실질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잠정치·전분기 대비)은 코로나19 4차 유행과 공급 병목현상 등의 여파로 0.3%까지 추락했다. 또 위드코로나(단계적 일상회복) 이후 확진자가 급증해 작년 12월 중순 이후 거리두기가 다시 강화되고 글로벌 공급 차질 현상이 여전한 만큼, 자칫 기준금리 인상이 민간소비와 투자를 더 위축시킬 가능성이 있다.
안예하 키움증권 연구원은 "이 총재는 Fed의 정책 금리 인상에 대해 한국이 선제적으로 인상해둔 부분이 있어 같이 따라가는 건 아니라고 비둘기적인 발언을 내놓았다"며 "양적 긴축까지 감안했을 때 한은이 여전히 같은 입장을 보이는 지가 이번 금통위에서의 관건"이라고 봤다.
jyoo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