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숙혜의 월가 이야기
[뉴욕=뉴스핌] 황숙혜 특파원 = 신종 코로나바이러스(코로나19) 팬데믹 사태에 대응하기 위해 제로금리 정책을 부활시켰던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첫 금리인상 시기로 3월이 유력시되는 가운데 인상 폭이 월가의 기존 예상치를 크게 웃돌 것이라는 전망이 번지고 있다.
연준의 일회 금리인상 폭은 25bp(1bp=0.01%포인트)라는 지난 20년간의 불문율이 이번에 깨질 것이라는 관측이다.
월가의 채권 트레이더와 구루들 사이에 매파 전망이 꼬리를 물면서 뉴욕증시는 물론이고 주요국 채권 금리까지 크게 들썩거리는 상황이다.
18일(현지시각) 업계에 따르면 미국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장중 7bp 치솟으며 1.862%에 거래됐다. 이는 2년래 최고치에 해당한다.
정책 금리에 가장 민감한 2년 만기 국채 수익률 역시 9bp 치솟으며 1.06%를 기록, 1% 선을 뚫고 올랐다. 장단기 국채 수익률이 일제히 크게 뛴 가운데 30년물과 5년물 국채 수익률 스프레드는 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 50bp 이내로 좁혀졌다.
이와 관련, 이날 블룸버그는 채권시장 트레이더들이 3월 25bp를 웃도는 금리인상이 가능성에 베팅한 결과라는 해석을 내놓았다.
제롬 파월 연준 의장 [사진=로이터 뉴스핌] |
12월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가 연율 기준 7.0% 폭등하며 40년래 최고치를 기록하자 인플레이션 통제에 이미 한 발 늦은 정책자들이 긴축의 고삐를 예상보다 강하게 조일 가능성에 힘이 실렸다는 설명이다.
지난 20여년간 연준은 일회 금리인상 폭을 25bp로 유지했다. 정책자들이 50bp의 금리인상을 강행했던 것은 닷컴 버블 당시인 2000년 3월이 마지막이었다.
미국 국채 수익률의 급등은 IT 섹터를 중심으로 주식시장에 직접적인 타격을 가했고, 주요국 시장금리의 도미노 상승을 일으켰다.
독일 10년 만기 국채 수익률이 0%와 거리를 1bp 이내로 좁혔고, 같은 만기의 영국 국채 수익률이 3bp 오르며 1.224%에 거래됐다. 일본 10년물 수익률도 0.5bp 상승하며 0.152%를 나타냈다.
IT 성장주로 구성된 나스닥 지수가 2% 이상 폭락했고, 다우존스 지수와 S&P500 지수 역시 각각 1.6%와 1.8% 동반 하락했다.
뿐만 아니라 소형주로 구성된 러셀2000 지수가 장중 2.3% 후퇴하며 2112.21에 거래, 지난해 1월29일 이후 최저치를 나타냈다. 지수는 11월8일 고점 대비 13.6% 떨어지며 2020년 3월 이후 처음으로 200일 이동평균선이 50일 이평선을 뚫고 내리는 데드 크로스가 발생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앞 월가 표지판 [사진=로이터 뉴스핌] |
캐나다 CI 파이낸셜의 스티븐 밀러 투자 자문관은 블룸버그와 인터뷰에서 "인플레이션 상승이 일시적 현상이 아니라는 데 더 이상 논란의 여지가 없다"며 "채권시장은 이를 적극적으로 반영하는 상황이고, 정책자들은 뒤늦게 물가를 따라잡으려는 움직임"이라고 전했다.
매파 목소리는 연준 안팎에서 쏟아지고 있다. 올해 25bp씩 네 차례라는 월가의 공감대보다 공격적인 긴축이 단행될 수 있다는 얘기다.
크리스토퍼 월러 연준 이사는 인플레이션 향방에 따라 연내 다섯 차례의 금리인상이 이뤄질 수 있다고 주장했다.
제이미 다이먼 JP모간 최고경영자(CEO)는 연말까지 6~7 차례에 걸쳐 기준금리가 인상될 가능성을 열어 두고 있다고 밝혔다.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 따르면 이날 장중 채권 선물시장은 올해 4~5 차례의 금리인상을 점치고 있다. 지난주 3~4 차례에서 상향 조정된 셈이다.
아베르딘 스탠더드 인베스트먼트의 제임스 애디 포트폴리오 매니저는 파이낸셜타임스(FT)와 인터뷰에서 "다이먼 최고경영자의 발언이 연준의 매파 기조에 대한 시장의 추측을 크게 부추겼다"고 전했다.
영국 투자은행(IB) 브룩스 맥도날드의 에드워드 박 최고투자책임자는 월스트리트저널(WSJ)과 인터뷰에서 "금융시장은 여전히 금리인상 폭을 가늠하는 데 안간힘을 쓰고 있다"며 "지난해 10월까지만 해도 올해 한 차례의 금리인상이 예상됐지만 시장 상황이 급변한 것은 그만큼 통화 정책을 둘러싼 불확실성이 크다는 의미"라고 설명했다.
higrace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