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경제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재작년 공공 일자리 276.6만개…공무원 1년새 3.5만명 또 늘어

기사입력 : 2022년01월20일 12:00

최종수정 : 2022년01월20일 12:00

정부·공기업 일자리 각 237.5만·39.1만개
근속기간 평균 11.0년…전년비 0.4년 감소
취업자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 10.2%

[세종=뉴스핌] 정성훈 기자 = 공공부문 일자리 증가세가 가파르다. 특히 최근 몇 년간 지방자치단체 등에서 일하는 비공무원 숫자가 10만개 이상씩 늘고 있다. 비공무원 5명 중 3명은 근속 연수가 3년 미만으로 고용이 불안정한 상황이다.

특히 공공부문 일자리 중 1년 미만 단기 일자리가 빠르게 늘고 있다. 정부가 단기 일자리인 공공근로와 비정규직 일자리를 확대한데 따른 결과다. 현 정부의 공무원 확대 기조에 따라 공무원 수도 매년 3~4만명씩 늘고 있다. 

◆ 공공부문 일자리 276.6만개…전년 대비 16.4만개 증가  

20일 통계청이 발표한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에 따르면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는 276만6000개로, 전년 대비 16만4000개(6.3%) 증가했다. 

공공부문 일자리는 일반정부(공무원+비공무원) 일자리 237만5000개(85.9%), 공기업 일자리 39만1000개(14.1%)로 구분된다. 전년 대비 일반정부 일자리가 15만5000개(7.0%), 공기업 일자리는 9000개(2.3%) 증가했다.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자료=통계청] 2022.01.20 jsh@newspim.com

일반정부 일자리를 세부영역별로 보면 중앙정부는 85만개(30.7%), 지방정부는 147만7000개(53.4%), 사회보장기금은 4만8000개(1.7%)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과 비교해 중앙정부는 2만7000개(3.3%), 지방정부는 12만5000개(9.3%), 사회보장기금은 3000개(6.3%) 각각 증가한 수치다. 

공기업 일자리 중 비금융공기업은 36만3000개(13.1%), 금융공기업은 2만8000개(1.0%)다. 전년과 비교해 비금융기업 일자리는 9000개(2.4%), 금융공기업 일자리는 1000개(1.6%) 증가했다.  

총 취업자 수 대비 공공부문 일자리 비율은 10.2%로 전년(9.5%)과 비교해 0.7%p 상승했다. 

전체 공공부문 일자리를 성별로 보면, 남자 일자리는 147만3000개(53.3%)로 여자 일자리 129만3000개(46.7%)의 1.14배 수준이다. 공공부문을 포함한 전체 일자리 중 남자 일자리는 여자 일자리의 1.36배 수준으로, 공공부문의 남녀 성비가 보다 안정적이다. 

지속일자리 비중은 남자(54.5%)가 여자(45.5%)보다 9.0%p 높고, 신규채용일자리 비중은 여자(54.6%)가 남자(45.4%)보다 9.3%p 높았다. 

일반정부에 비해 공기업 일자리는 남자 일자리(64.6%)가 여자 일자리(35.4%)의 1.8배 수준으로 성별 격차가 크게 나타났다. 

연령별로는 40대가 26.8%로 가장 많았고, 이어 30대(24.7%), 50대(23.6%), 29세 이하(16.2%), 60세 이상(8.7%)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 대비 60세 이상(4만6000개), 50대(4만1000개), 29세 이하(3만3000개) 등 모든 연령층에서 일자리가 늘었다. 

근속기간별로는 3년 미만(30.6%), 20년 이상(21.2%), 10~20년 미만(21.0%), 5~10년 미만(15.8%) 순이다. 특히 전년과 비교해 3년 미만 일자리는 5만4000개 늘었는데, 1~2년 미만 일자리는 6만8000개 줄어든 반면, 1년 미만 단기 일자리는 8만7000개 늘었다. 

평균 근속기간은 11.0년으로, 전년(11.4년)보다 0.4년 감소했다. 

산업별로는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136만7000개(49.4%)로 가장 많고, 교육 서비스업 73만5000개(26.6%), 보건업 및 사회복지 서비스업 9만8000개(3.6%) 순이다. 전년 대비 공공행정, 국방 및 사회보장 행정이 11만7000개(9.4%), 교육 서비스업이 1만5000개(2.1%) 각각 증가했다. 

◆ 공무원 139.4만개·비공무원 73.3만개…평균 근속기간 11.3년

정부기관에서 공무원이 점유한 일자리는 139만4000개(65.6%)로, 비공무원이 점유한 73만3000개(34.4%)의 1.9배 수준이다. 전년 대비 정부기관에서 공무원 일자리는 3만5000개(2.6%), 비공무원 일자리는 9만5000개(15.0%) 증가했다. 

2020년 공공부문 일자리통계 [자료=통계청] 2022.01.20 jsh@newspim.com

정부기관 일자리 중 남자 일자리는 108만1000개(50.8%), 여자 일자리는 104만6000개(49.2%)를 차지한다. 전년과 비교해 남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4만7000개(4.5%), 여자가 점유한 일자리는 8만3000개(8.7%) 각각 증가했다. 

공무원 일자리는 남자(58.2%)가 여자(41.8%)의 1.4배 수준이며, 비공무원 일자리는 여자(63.3%)가 남자(36.7%)의 1.7배 수준으로 나타났다. 

정부기관 일자리를 연령별로 살펴보면 40대(58만2000개), 30대(50만1000개), 50대(50만5000개) 등 순으로 나타났다. 전년과 비교해 60세 이상(3만9000개), 50대(3만2000개) 등 모든 연령층에서 일자리가 증가했다. 

공무원 일자리는 40대, 30대, 50대 순으로 많이 점유하고, 비공무원 일자리는 60세 이상, 50대, 40대 순으로 많이 점유했다. 전년에 비해 공무원 일자리는 29세 이하(1만5000개)에서, 비공무원 일자리는 60세 이상(3만8000개)에서 가장 많이 증가했다. 

정부기관의 일자리는 근속기간 3년미만이 64만개(30.1%), 20년 이상은 47만4000개(22.3%), 10~20년 미만은 45만1000개(21.2%)순이다. 공무원은 근속기간 10년 이상이 전체의 60.2%, 비공무원은 3년 미만이 전체의 57.9%를 차지한다. 

평균 근속기간은 11.3년으로, 공무원은 15.0년, 비공무원은 4.2년이다. 전년에 비해 공무원과 비공무원 각각 0.2년, 0.1년 감소했다. 

jsh@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특검 "尹, 구속연장 없이 기소도 검토" [의왕=뉴스핌] 김학선 기자 = 윤석열 전 대통령이 재구속된 이후 조은석 특별검사팀의 출석 요구에 잇달아 불응한 가운데 15일 윤 전 대통령이 수감된 경기도 의왕시 서울구치소 앞의 모습. 특검은 이날 윤 전 대통령에 대해 구속기간 연장 없이 바로 기소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고 밝혔다. 2025.07.15 yooksa@newspim.com   2025-07-15 14:38
사진
'반구천의 암각화' 세계유산 등재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선사시대의 생활문화를 엿볼 수 있는 바위그림인 '반구천의 암각화'가 유네스코 세계유산에 등재됐다. 제47차 세계유산위원회는 12일(현지시간) 프랑스 파리에서 열리는 회의에서 한국 정부가 신청한 '반구천의 암각화'를 세계유산 목록에 등재하기로 최종 결정했다. 2010년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15년 만의 결실이다. 이로써 대한민국은 총 17건(문화유산 15건·자연유산 2건)의 유네스코 세계유산을 보유하게 됐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세계유산으로 등재된 '반구천의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반구천의 암각화'는 국보로 지정된 울산 '울주 천전리 명문과 암각화'와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를 포함하는 유산이다.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에는 작살 맞은 고래, 새끼를 배거나 데리고 다니는 고래 등이 생동감 있게 표현돼 선사시대 사람들의 생활상화 생태계를 엿볼 수 있다. 국가유산청은 지난 2010년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계유산 잠정 목록에 등재된 후 지난해 1월 세계유산 등재 신청서를 유네스코에 제출했다. 이후 서류 및 현장실사 등 심사를 거쳤다. 세계유산위원회는 '반구천의 암각화'에 대해 "탁월한 관찰력을 바탕으로 그려진 사실적인 그림과 독특한 구도는 한반도에 살았던 사람들의 예술성을 보여주고, 다양한 고래와 고래잡이의 주요 단계를 담은 희소한 주제를 선사인들의 창의성으로 풀어낸 걸작"이라고 평했다. 이어 "선사시대부터 약 6000년에 걸쳐 지속된 암각화의 전통을 증명하는 독보적인 증거이면서 한반도 동남부 연안 지역 사람들의 문화 발전을 집약해 보여준다"고 덧붙였다.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울주 대곡리 반구대 암각화. [사진=국가유산청] 2025.07.12 alice09@newspim.com 세계유산위원회는 등재 결정과 함께 사연댐 공사의 진척 사항을 보고할 것과 더불어 반구천 세계 암각화센터의 효과적 운영을 보장하고, 관리 체계에서 지역 공동체와 줌니들의 역할을 공식화하고, 유산의 '탁월한 보편적 가치'에 영향을 줄 수 있는 모든 주요 개발 계획에 대해 알릴 것을 권고했다. 국가유산청 관계자는 "이번 '반구천의 암각화'의 세계유산 등재는 국가유산청과 외교부, 주유네스코대한민국대표부, 해당 지자체가 모두 힘을 합쳐 이뤄낸 값진 결과"라며 "이번 등재롤 계기로 '반구천의 암각화'가 가진 세계유산으로서의 가치를 충실히 보존하는 한편, 지역주민과의 긴밀한 협력을 이어가는 적극행정으로 지역사회와의 상생을 위한 정책적 노력을 지속할 것"이라고 약속했다. 최응천 국가유산청장은 "'반구천의 암각화'가 세상에 알려진 지 50여 년이 지났지만, 세계유산 등재까지는 쉽지 않은 긴 여정이었다"며 "앞으로도 국가유산청은 '반구천의 암각화'를 인류 공동의 유산으로서 가치를 지키고 잘 보존·활용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하겠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 2025-07-12 18:02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