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터리셀·팩·시스템 등 요인 다양...先원인규명 필요
전기차 산업 초기 관련 데이터 부족 문제도
[서울=뉴스핌] 이윤애 기자 = 전 세계적으로 전기차 보급이 늘면서 전기차 화재, 리콜 문제가 새로운 과제로 떠올랐다. 특히 정확한 원인이 규명되기도 전에 '전기차 화재 = 배터리 결함'으로 몰아가는 분위기가 조성되면서 배터리 산업의 발전을 저해한다는 우려도 나온다.
전문가들은 전기차 산업이 초창기인 만큼 내연기관차, 반도체 등 성숙된 다른 산업과 달리 화재 발생 관련 축적된 데이터가 없어 생기는 문제라며 시간이 해결해 줄 부분이라고 입을 모은다. 객관적인 원인 규명을 위한 기구를 마련할 필요가 있다는 제언도 나왔다.
16일 관련업계에 따르면 최근 스텔란티스가 미국과 캐나다 등에서 크라이슬러 퍼시피카 플러그인하이브리드(PHEV) 2만여대를 리콜한다고 발표했다. 리콜 사유는 퍼시피카 PHEV는 2017~2018년 모델 연식의 차량 12대에서 화재가 난 때문이다. 스탈린티스는 "화재 원인을 파악중"이라고 밝혔다.
이탈리아 튜린 공장에 설치된 스텔란티스 깃발 [사진=로이터 뉴스핌] |
하지만 관심은 퍼시피카에 배터리를 납품한 LG에너지솔루션에 쏠렸다. 스탈린티스가 "해당 차량들은 화재 발생 시 모두 주차돼 있었고, 시동도 꺼져 있었다"고 언급한 때문이다. LG에너지솔루션은 이에 "리콜 대상인 스텔란티스 차량에서 화재의 근본적인 원인이 확인되지 않았다. 배터리와 직접적으로 관련돼 있다는 증거도 없다"고 했다. 정확한 원인 규명이 선행돼야 한다는 것이다.
지난 달에는 삼성SDI가 미국에서 포드와 스텔란티스 PHEV 100여대에 탑재된 고전압 배터리를 자발적 리콜 신청하면서 대규모의 배터리 결함 문제 아니냐는 따가운 시선을 받았다.
SDI 관계자는 이에 대해 "배터리 모듈 일부가 조립 과정 중에 문제가 있었던 것으로 확인 됐다"면서 "배터리 셀 자체 문제가 아닌 모듈 조립 문제로, 이로 인한 안전 사고는 없었지만 자발적으로 선제적 리콜을 실시한 것"이라고 설명하고 나섰다.
[사진=셔터스톡] |
물론 지난해 현대차 코나EV와 GM 볼트EV 등 대규모 리콜 이슈도 있었다. 하지만 최근 일련의 과정에선 화재 원인이 밝혀지지 않은 상태에서 전기차 화재 발생, 리콜 등 만으로 성급하게 배터리 결함으로 몰아가는 분위기가 조성되고 있다는 지적이 나온다. 일각에서는 중국, 일본 등 경쟁국에 악용될 수 있다는 우려도 나온다.
실제 몇해 전까지만 해도 LG화학과 삼성SDI이 글로벌 ESS(에너지저장장치) 시장의 80% 이상을 점유하며 주도권을 쥐고 있었으나 화재 사건 이후 급격히 위축된 바 있다. 당시 정부가 화재 원인으로 배터리 결함을 지목했지만 전문가들은 해외에서는 화재 건수가 현저히 낮은 점을 비교하며 ESS를 운영하는 국내의 '가혹한 환경'을 원인으로 지적하기도 했다.
전기차 화재 역시 마찬가지다. 전기차를 구성하는 다양한 장치, 시스템을 살펴 정확한 원인을 찾고 그에 따른 책임을 묻고, 개선책을 모색해야 한다는 것이다. 객관적으로 책임을 규명할 수 있도록 전문가들로 구성된 기구를 마련하는 것도 제안됐다. 정확한 원인을 규명되지 않는 부분에서는 갑을 관계인 자동차OEM과 배터리 업체 간에 상대적으로 힘 있는 측의 주장이 보다 더 반영되는 측면도 있다는 지적이다.
조재필 울산과학기술원 에너지화학공학과 교수는 "화재의 원인은 다양하다. 전기차 내에 배터리 셀, 배터리 팩, 배터리 관리시스템, 냉각시스템 등 다양한 장치와 시스템이 있다"면서 "전기차를 구동하는 환경도 영향을 줄 수 있는데 정확한 원인 규명 이전에 배터리 만의 문제로 몰고 가는 것은 위험하다"고 말했다.
조 교수는 다만 "전기차 시장이 성장과정에 있기 때문에 어느 정도 안정기에 들어서면 배터리 이슈에 대한 문제는 해결될 것"이라며 "시간이 화재 관련 사례가 축적되면 정확한 원인 규명이 가능할테고 배터리기술도 발전되면서 문제점들이 다음 버전에 다 개선, 반영될 것"이라고 덧붙였다.
선양국 한양대 에너지공학과 교수는 "석유화학 공정 등 역사가 오래된 산업은 대부분의 화재 원인이 규명됐는데 아직 전기차는 그렇지 않다"면서 "반도체의 경우는 화재가 나도 전소하지 않아 조사가 가능한데 전기차는 그렇지 않아 정확한 원인 규명이 어려운 측면이 있다"고 말했다.
선 교수는 "전기차 소비자 입장에서 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정확한 환재 원인 규명을 통한 사고 재발을 막는 게 필요하다"면서 "배터리, 자동차OEM 사 등 이해관계자를 배제한 전문가들을 모아 조사하는 기구를 만들어 결과에 대한 신뢰성을 높이는 것도 방법"이라고 제안했다.
yunyu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