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정치 국회·정당

속보

더보기

[여론조사] 대선 캐스팅보트 중도층 23%...2030세대 보수화 뚜렷

기사입력 : 2022년03월04일 06:50

최종수정 : 2022년03월04일 06:50

뉴스핌·코리아정보리서치 여론조사
보수 35.2%·진보 36.5%·중도 22.9%

[서울=뉴스핌] 차상근 기자 = 20대 대통령 선거를 일주일 남겨둔 시점에 우리 국민들이 생각하는 정치적 성향은 대체로 진보와 보수가 엇비슷하지만 중도로 여기는 국민도 23%에 달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선거 막바지인데도 특정 성향에 쏠리지 않는 중도성향의 유권자들이 상당한 규모여서 박빙의 선거에서 캐스팅보트 역할을 할 수 있을지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여론조사 전문기관 코리아정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2002명을 대상으로 각 개인의 정치적 성향을 조사한 결과 보수 성향이라고 답한 비중이 35.2%, 진보성향은 36.5%로 비슷한 양상이었다.

중도성향 응답자는 지난달 21일 조사했을 때 20.8%보다 2.1%포인트 늘어난 22. 9%였고 '모른다'는 응답도 5.5%로 직전 조사보다 1.1%포인트 늘었다.

[서울=뉴스핌] 국회사진취재단 = 2일 저녁 서울 여의도 KBS 본관에서 열린 중앙선거방송토론위원회 주관 제20대 대통령선거 후보 초청 3차 법정 TV 토론회에서 대선 후보들이 토론을 준비하고 있다. 왼쪽부터 심상정 정의당, 윤석열 국민의힘, 안철수 국민의당, 이재명 더불어민주당 대선후보. 2022.03.02 photo@newspim.com

성별 정치적 성향을 보면 남성은 보수 38.5%, 진보 32.8%, 중도 24.5%였고 여성은 보수 34.5%, 진보 37.5%, 중도 21.3%로 여성에서 진보 성향 비중이 높았다.

연령별로는 만18-20대는 보수 36.4%, 진보 30.9%, 중도 27.7%, 30대는 보수 33.2%, 진보 31.3%, 중도 30.3%로 2030세대의 보수화 성향이 높았다.

40대는 보수 28.2%, 진보 42.2%, 중도 26.5% , 50대는 보수 36.7%, 진보 41.4%, 중도 17.9%로 4050세대의 진보적 성향이 비교적 뚜렷했다.

반면 60세 이상은 보수 43.2%, 진보 31.2%, 중도 17.3%로 고령층의 뚜렷한 보수화 경향을 보여줬다.

지역별로는 서울에서 보수 성향은 35.9%로 진보성향 39.3%보다 낮은 편이었다. 중도는 20.5%였다. 경기·인천은 보수 35.3%, 진보 35.1%, 중도 25.7%로 보수 대 진보 성향이 비슷했다.

충청·강원은 보수 34.9%, 진보 38.8%, 중도 20.4% 전라·제주는 보수 24.3%, 진보 46.2%, 중도 19.3%로 진보색채가 강했다. 대구·경북은 보수 51.7%, 진보 19.7%, 중도 23.2% 부산·울산·경남은 보수 40.1%, 진보 28.9%, 중도 24.7% 등으로 보수성향이 뚜렷했다.

지지 대선후보별로는 이재명 후보 지지층은 진보층이 62.0%, 보수층은 10.6%, 중도층은 22.2%였다. 반면 윤석열 후보 지지층은 보수층이 62.3%, 진보 13.4%, 중도 19.8%였다.

이번 여론조사는 뉴스핌의 의뢰로 코리아정보리서치(중부)에서 3월 2일, 전국 만 18세 이상 성인 남녀 2022명을 대상으로 휴대전화 RDD 자동응답 방식(100%)으로 진행됐다. 응답률은 4.7%이고 표본오차는 95%의 신뢰수준에 ±2.2%p다.

통계보정은 2022년 1월 말 행정안전부 발표 주민등록 인구 기준 성, 연령, 지역별 셀가중값을 부여했다. 보다 자세한 내용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http://www.nesdc.go.kr) 여론조사결과 등록현황을 참고하면 된다. 

skc8472@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공천개입 의혹' 윤상현 의원, 김건희 특검 출석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공천 개입 의혹을 받는 윤상현 국민의힘 의원이 27일 오전 소환 조사를 받기 위해 서울 종로구 KT광화문빌딩 웨스트에 마련된 김건희 특검 사무실로 출석하고 있다. 2025.07.27 mironj19@newspim.com   2025-07-27 09:41
사진
정부조직 개편 방식 '안갯속' [서울=뉴스핌] 윤채영 기자 = 이재명 정부의 조직 개편 발표가 오는 8월 13일로 정해진 것으로 확인됐다. 국정기획위원회는 이달 말 대국민보고를 할 계획이었지만 미뤄지면서 정부조직 개편의 구체적인 방식은 안갯속이다. 26일 뉴스핌 취재를 종합하면, 국정위는 정부 조직 개편안 등을 이재명 대통령에게 보고하며 막바지 정리 작업 중에 있다. 개편이 유력한 기획재정부와 검찰 조직 등에 대한 추가 검토가 이뤄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이한주 국정기획위원회 위원장.2025.07.22 gdlee@newspim.com 국정위는 당초 이달 중 대국민보고 등 주요 일정을 마칠 계획이었다. 국정위의 법적 활동 기한은 60일로 오는 8월 14일까지 활동할 수 있다. 1회 한해 최장 20일까지 연장할 수 있지만 국정위는 조기에 활동을 마무리 하겠다고 했다. 국정위의 속도전에 제동이 걸린 데는 정부의 첫 조직 개편인 만큼 조금 더 신중해야 한다는 목소리가 크게 작용한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와 산업자원통상부의 기후와 에너지 파트를 분리해 기후에너지부를 신설하는 과정에서 각 부처의 반발도 나오는 점 등이 대표적이다. 또 이 대통령이 이달 말에서 내달 초 방미 일정이 잡힐 수 있다는 점도 정부조직 개편이 늦어진 배경인 것으로 전해졌다. 1차 정부조직 개편안에는 기재부의 예산 분리 기능과 검찰청 폐지가 담길 것이 유력하다. 조승래 국정위 대변인은 앞서 "기재부 예산 기능을 분리하는 것과 (검찰청의) 수사와 기소 분리는 공약 방향이 명확하다"고 말했다. 기재부 조직 개편은 ▲예산 편성 기능을 분리해 과거의 기획예산처를 되살리고 나머지 기능은 재정경제부로 개편하는 안 ▲예산처가 아니라 재무부를 신설하는 안 ▲기재부 내에서 기능을 조정하는 안 등이 거론돼 왔다. 이 방안들을 놓고 국정위는 검토하고 있다. 현재는 기획재정부를 기획예산처와 재정경제부로 나누는 안이 유력한 것으로 알려졌지만, 국정위는 초안 등과 관련해서는 말을 아끼고 있는 상황이다. 검찰청 폐지 골자의 검찰 조직 개편안도 이번 조직 개편에 포함될 가능성이 높다. 이미 여당에서는 검찰의 수사권과 기소권을 분리하는 내용의 '검찰개혁 4법'을 발의했다. 김용민 더불어민주당 의원 등이 발의한 법안에는 검찰 권력의 핵심인 기소권은 법무부 산하에 공소청을 신설해 여기로 이관하는 내용이 담겼다. 수사권은 행정안전부 산하에 중대범죄수사청을 신설해 이곳으로 넘기기로 했다. 다만 수사권을 행안부 산하에 둘지 법무부 산하에 둘지를 두고는 여권 내에서도 이견이 있어 더 논의 중인 것으로 알려졌다. 금융위원회와 금융감독원 개편 방안을 놓고도 논의가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전해졌다. 당초 금융위 해체 차원의 '금융위 정책과 감독 기능 분리' 조직 개편안이 유력했다. 그러나 최근 여당에서 기획재정부 내 국제금융 업무를 금융위로 이관하는 내용의 법안을 발의하며 '금융위 존치론'이 급부상하고 있다. 금융위 해체론에 제동이 걸렸다는 목소리가 나오면서 이 역시도 오리무중인 상황이다. ycy1486@newspim.com 2025-07-26 07: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