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산업 자동차

속보

더보기

지난해 전기차 판매 2배 '껑충'…中 주도 속 현대차 '선전'

기사입력 : 2022년04월05일 11:03

최종수정 : 2022년04월05일 11:03

전 세계 전기동력차 666만대 팔려…국내는 103% 증가

[서울=뉴스핌] 박준형 기자 = 지난해 전 세계에서 판매된 전기동력차가 전년에 비해 2배 이상 늘어난 것으로 조사됐다. 중국이 전체 판매의 절반을 담당하며 성장을 주도한 가운데 현대자동차그룹은 반도체 수급난에도 불구하고 판매량 순위가 한 계단 상승하며 5위 내 진입했다.

5일 한국자동차산업협회가 발표한 '2021년 주요국 전기동력차 보급현황 분석'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해 전 세계에서 전기동력차가 총 666만2759대 판매돼 역대 최다를 기록한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전년 대비 110.7% 증가한 것이며, 전체 자동차 판매 8455만대의 7.9%를 차지하는 것이다.

지난해 전기동력차 시장은 반도체 수급 차질 등 공급망 불안과 신종 코로나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변이바이러스 확산으로 인한 생산 위축에도 각국 정부의 환경규제 강화, 적극적 지원정책, 제작사의 고부가가치 차량 생산 집중 등에 따라 급격히 성장한 것으로 분석된다.

[서울=뉴스핌] 윤창빈 기자 = 국토교통부 '자동차 등록통계'에 따르면 올해 3월 말 기준 국내에 등록된 자동차 수는 총 2501만 5291대로, 이중 전기차는 24만 1182대로 집계됐다. 전체 등록 자동차 중 전기차의 비중은 0.96%로, 반올림할 경우 처음으로 1%를 기록하게 된다. 전기차 등록대수는 2017년 처음으로 0.1%를 넘긴 이후 2018년 0.24%, 2019년 0.38%, 2020년 0.55%, 2021년 0.93%로 꾸준히 오르고 있다. 사진은 31일 서울 시내의 한 전기차 충전소. 2022.03.31 pangbin@newspim.com

◆ 중국 시장 급속도 성장…전 세계 판매의 50%

순수전기차(BEV)는 전년 대비 119.1% 증가한 473만614대 팔렸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PHEV)는 92.6% 늘어난 191만6644대, 수소전기차(FCEV)는 86.3% 증가한 1만5501대 판매됐다.

순수전기차는 지난해 총 113개 브랜드에서 346개 모델이 출시 및 판매됐다. 이는 전년 대비 28.1% 늘어난 것이다. 플러그인 하이브리드차는 총 53개 브랜드에서 176개 모델을 선보였다. 반면 수소전기차는 2017년 이후 승용 부문에서 현대차와 토요타, 혼다 3개사의 3종 체제가 유지되고 있다.

국가별로는 아시아, 유럽, 미국 등 전 지역에서 고른 성장세를 보였다. 특히 중국에서 총 332만8301대가 팔려 전 세계 전기동력차 판매의 50% 이상을 차지했다. 이는 전년 대비 166.6%가 증가한 것이며, 중국 전체 자동차 판매에서의 비중도 전년 4.9%에서 12.7%까지 상승한 것이다.

독일은 69만4817대로 중국에 이어 전기동력차 판매량 2위에 올랐다. 이는 전년 대비 72.0% 증가한 것으로, 비중도 전체 승용차 판매의 26%에 달했다. 미국은 66만9931대로 3위에 자리했다.

이어 영국(32만1003대), 프랑스(31만6669대), 노르웨이(15만7999대), 이탈리아(14만2002대), 스웨덴(13만8273대) 등 순으로 집계됐다.

한국은 12만8629대로 9위에 올랐다. 국내 전기동력차 판매량은 전년 대비 103.8% 늘었다. 전체 자동차 시장에서 전기동력차 비중은 7.4%로, 전년 대비 4.1%p 증가하면서 역대 최다 판매를 기록했다.

순수전기차는 전년 대비 115.2% 늘어난 10만355대로 전기동력차 판매의 78%를 점유했다. 차종별로 승용차가 7만1000대, 화물차가 2만7602대, 버스가 1271대로 각각 조사됐다.

◆ 테슬라 굳건한 1위…현대차그룹, 5위로 상승

제작사별로는 테슬라가 캘리포니아 프레몬트 공장과 상하이 기가팩토리 공급 확대로 전년 대비 128% 증가한 104만5072대를 판매하면서 전년에 이어 1위를 유지했다.

[사진= 현대차]

폭스바겐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MEB를 적용한 ID.3, ID.4 등 모델 출시에 힘입어 전년 대비 84.2% 증가한 70만9030대 판매로 2위를 지켰다.

중국 전기동력차 전문 기업인 비야디(BYD)는 전년 대비 무려 232.2% 증가한 59만5089대 판매로 3위, GM은 전년 대비 132.1% 증가한 51만5584대 판매로 4위를 각각 차지했다.

현대차그룹은 전년 대비 98.1% 늘어난 34만8783대를 팔아 전년보다 한 계단 상승한 5위에 올랐다. 현대차그룹은 전기차 전용 플랫폼인 E-GMP를 채택한 현대차 아이오닉5와 기아 EV6, 제네시스 GV60 등이 성장을 이끌었다.

지난해 피아트크라이슬러(FCA)와 푸조시트로엥(PSA)이 합병해 출범한 스텔란티스는 전년 대비 162.8% 증가한 33만9375대를 판매하면서 단숨에 6위로 뛰어올랐다.

이어 BMW그룹(31만1513대), 지리홀딩그룹(29만4768대), 르노-닛산얼라이언스(27만9757대), 다임러그룹(24만9037대) 등 순이었다.

전기차 모델별로는 테슬라 모델3이 56만3266대로 1위를 차지했다. 모델Y는 43만5672대로 2위였다. 중국 상하이자동차(SAIC)와 미국 제너럴모터스(GM), 중국 울링자동차(Wuling) 등 3사가 합작한 홍광 미니는 42만6482대로 3위에 올랐다.

이어 중국 비야디의 한(8만7189대), 중국 체리의 eQ1!(7만7159대), 중국 장안기차의 베니(Benni)(7만6468대)가 나란히 자리했다.

현대차·기아의 전기차는 니로와 코나가 각각 5만8937대와 5만1838대로 15위와 18위를 차지했다. 반도체 수급 차질에 따른 출고 지연 여파가 컸다는 분석이다.

정만기 한국자동차산업협회 회장은 "지난해 전기동력차 시장 확대는 보조금과 인프라 구축, 세제지원 등 각국 정부의 지원정책에 힘입은 바가 크다"면서 "획일적 규제 위주 정책보다는 충전인프라 구축, 연구개발(R&D) 세제 지원, 부품업체들의 구조조정 원활화 등 인센티브 위주 정책이 필요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jun897@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