북한, 17일 '신형 유도무기 발사 성공'
정성장 "7차 핵실험 전술핵탄두 가능성"
한반도 4월·5월 대형 이슈 줄이어 촉각
[서울=뉴스핌] 김종원 국방안보전문기자 = 북한이 17일 한‧미 연합훈련 시작을 하루 앞두고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 발사에 성공했다고 북한 매체들을 통해 대대적으로 보도했다.
전문가들은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이 직접 신형무기 시험발사를 참관하고, 북한이 이를 노동신문 1면 상단에 대대적으로 보도한 것은 군사전략상 매우 중요한 의미를 갖는다고 분석했다.
북한이 4월 자신들의 대형 기념일과 함께 5월까지 줄줄이 예정된 남측의 외교‧안보 이슈들을 계기로 한반도의 긴장을 끌어 올릴지 주목된다. 일단 북한이 한‧미 연합훈련에 반발하는 명분으로 신형 전술유도무기 시험발사에 성공했다고 발표했다.
조선중앙통신이 17일 "김정은 국무위원장의 참관 아래 신형 전술유도무기를 시험발사했다"면서 "시험발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됐다"고 밝혔다. 사진은 17일 조선중앙통신이 공개한 발사 장면. [사진=조선중앙통신] |
올해 들어 벌써 13번째 무력시위를 이어가면서 한‧미 당국을 압박하고 있다. 북한이 지난 3월 24일 '화성-17형''이라고 주장하며 발사한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이후 23일 만이다.
무엇보다 북한은 이날 발표에서 "신형 전술 유도무기체계는 전선장거리포병부대들의 화력 타격력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키고 조선민주주의 인민공화국 전술핵 운용의 효과성과 화력 임무 다각화를 강화하는 데서 커다란 의의를 가진다"고 발표했다.
이에 대해 정성장 세종연구소 북한연구센터장은 17일 "향후 북한이 이번에 발사한 신형 전술 유도무기에 전술핵탄두를 탑재해 전방 부대에 실전 배치할 것으로 전망된다"고 분석했다.
특히 정 센터장은 "북한이 전술핵탄두를 갖고 핵실험을 진행해야 할 필요성이 더욱 커지고 있고, 북한의 7차 핵실험은 전술핵탄두 실험이 될 가능성이 높다"고 내다봤다.
당장 18일부터 한‧미 연합훈련이 예정돼 있고, 대규모 열병식 개최가 예상되는 25일 조선인민혁명군 창건 90주년, 오는 5월 10일 윤석열 대통령 취임식, 5월 21일께 한‧미 정상회담 등 외교‧안보 이슈들이 줄줄이 대기하고 있어 한반도의 군사적 긴장은 높아질 것으로 예상된다.
한‧미 군과 정보 당국은 이런 주요 일정을 계기로 핵실험 등 북한 도발 가능성이 크다고 판단하고 감시와 대비태세를 강화했다.
무엇보다 조 바이든 미국 대통령이 오는 5월 21일께 취임 후 처음으로 한국과 일본을 찾을 예정이어서 북한 도발의 최대 변수가 될 것으로 보인다. 바이든 대통령은 5월 24일로 예상되는 4개국 안보협의체인 쿼드(미국‧일본‧호주‧인도) 회의 참석을 계기로 5월 21~23일 방한을 조율하고 있는 것으로 전해지고 있다.
북한이 과거 사례에서 보듯이 자신들의 존재감을 극대화하기 위해 훈련 기간이나 미국의 주요 인사들이 한국, 일본, 중국을 방문하는 전후에 무력 시위에 나서기도 해 주목된다.
미국 해군의 핵항모 에이브러햄 링컨호(CVN-72·10만t급)가 13일 동해 공해상에서 일본 해상자위대와 미일 연합훈련을 하고 있다. [사진=미7함대] |
현재 북한의 도발 가능한 시나리오로는 ▲함경북도 길주군 풍계리 핵실험장에서의 전술핵 7차 핵실험이 예상되고 있다. 또 ▲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ICBM) 성능시험 ▲잠수함발사 탄도미사일(SLBM) 발사 ▲군사정찰위성 발사 등도 예견되고 있다.
현재 한‧미 당국과 전문가들은 북한이 어떤 핵실험을 하고 언제 할지만 예상이 다를 뿐 7차 핵실험을 기정사실화하고 있다. SLBM 시험발사 가능성도 유력하게 보고 있다. 우리 군의 최근 고체연료 우주발사체 시험발사 성공에 맞대응으로 신형 ICBM 엔진을 활용한 군사정찰위성 발사 가능성도 나온다.
정 센터장은 "기존의 핵보유국 사례를 보면 고위력 핵무기는 확실하게 억제 효과가 있지만 극단적인 상황이 아니고는 실전에서 사용하기 어렵기 때문에 전술핵 개발로 나아갔고 북한도 같은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고 진단했다.
정 센터장은 "북한의 군사전략은 계속 핵과 미사일을 중심으로 진화하고 있는데 한국의 군사전략은 아직도 이를 충분히 따라가지 못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북한의 이러한 '핵전투 무력'에 대비하기 위해 정 센터장은 "한국군은 문재인 정부가 국정과제로 추진하다가 '미완의 과제'로 끝난 전략사령부 창설을 완성해 한국의 미사일 전력과 정찰자산 등을 통합적으로 운용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제언했다.
정 센터장은 "미국의 확장 억제과 핵우산만으로 한국이 북한의 전략핵과 전술핵 실전배치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응할 수 있을지 치열한 고민이 필요하다"고 조언했다.
kjw861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