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항셍지수, 11년래 최저치...'亞 금융허브'는 옛말

기사입력 : 2022년10월04일 14:21

최종수정 : 2022년10월04일 16:41

3일 장중 17000포인트 하회, 2011년 이후 최저치
글로벌 긴축 기조 더해 중국 본토 증시 휴장 여파
IPO 건수·규모 급감, 홍콩 증시 명성 '퇴색' 지적도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홍콩 증시가 연일 하락 중이다. 항셍지수가 장중 한때지만 11년래 최저치까지 내려가면서 홍콩 증시에 대한 전망을 어둡게 하고 있다. 증시 자체적 분위기가 밝지 않은 가운데 대내외적 불확실성까지 더해지며 홍콩 증시 상장을 포기하는 기업들도 늘고 있다.

홍콩 증시는 충양제(重陽節·음력 9월 9일)를 맞아 4일 하루 휴장한다. 

[사진=바이두(百度)]

◆ 1만7000P도 '아슬'...리카싱이 '원흉'?

직전 거래일인 3일 홍콩 항셍지수는 전 거래일 대비 0.83% 내린 1만7079.51포인트를 기록했다. 특히 장중 한때 1만6906.96포인트까지 미끄러지면서 충격을 줬다. 지난달 23일 1만8000포인트 아래로 밀려난 지 6거래일 만에 1만7000선마저 위협받고 있기 때문이다. 항셍지수의 1만8000포인트 붕괴는 지난 2011년 10월 이후 10년 만이다.

사실 이날에는 홍콩 증시 반등을 기대해 볼만 했다. 중국 정부가 지난달 29일과 30일 이틀에 걸쳐 '생애 최초 부동산 구매자의 주택공적금 대출 금리 0.15%p 인하' 등과 같은 부동산 구매 완화 조치를 발표하면서 중대형 종목이 많은 부동산 섹터가 급등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바오룽부동산(寶龍地產·01238.HK)이 13% 이상, 야거락부동산홀딩스(雅居樂·03383.HK)·벽계원(碧桂園·02007.HK)이 8% 이상 올랐고, 패각강고(貝殼·02423.HK), 용호부동산(龍湖集團·00960.HK) 등 다수 종목이 4% 이상 상승했다.

다만 부동산 개발 및 관리 섹터의 급등에도 항셍지수는 하락 마감했다. 은행·보험사 등 금융 섹터 전반이 급락하면서 지수를 끌어내린 것이다.

금융주가 폭락한 데에는 중국우정저축은행(01658.HK, 이하 중국우정) 급락이 결정적 영향을 미쳤다. 3일 중국우정은 장중 한때 12% 이상 밀려났다가 결국 전 거래일 대비 11.02% 내린 4.120HKD로 거래를 마쳤다. 중국우정 H주 주가는 2021년 1월 이후 최저가를 기록했다고 첸장완바오(錢江晚報)는 3일 전했다.

중국우정 폭락을 유발한 악재, 홍콩 최대 부호 리카싱(李嘉誠·리자청)의 주식 매각 소식이다. 중국 경제 전문 매체 디이차이징(第一財經)은 4일 홍콩거래소 공시를 인용, 리카싱기금회가 지난달 29일 주당 4.71HKD(약 860원)에 중국우정 5만 주를 매각했다고 전했다.

중국우정이 앞서 밝힌 상반기 보고서에 따르면 지난 6월 30일 기준 리카싱기금회가 보유 중인 중국우정 주식은 22억 6700만 주로 전체 H주의 11.42%를 차지했었다. 그러나 지난달 29일 5만주를 포함해 3분기에만 리카싱기금회가 8300만 주의 중국우정 주식을 처분하면서 지분율 역시 11% 이하로 감소했다고 매체는 짚었다.

리카싱 자본이 중국우정 지분을 처분한 것은 3년여 만의 처음이다. 업계는 기준금리 인하에 따른 중국 내 금융권의 예대금리차 축소가 리카싱 자본의 투자전략에 영향을 미쳤을 것이라고 분석한다.

[그래픽=텐센트 증권] 홍콩항셍지수 최근 5거래일 추이

◆홍콩 증시 IPO '위축'

홍콩 증시는 올들어 3일까지 26% 이상 급락했다. 미국의 기준금리 인상 여파로 글로벌 증시가 충격을 받은 가운데 홍콩 증시 또한 '대세'를 거스르지 못한 것이다.

특히 홍콩달러(HKD) 환율을 미 달러당 7.75~785HKD 범위에서 움직이도록 하는 달러페그제(고정환율제)를 시행하고 있는 홍콩은 미국의 긴축 기조에 발맞춰 이달까지 3회 연속 '자이언트 스텝(기준금리를 한 번에 0.75%p 올리는 것)'을 밟았고, 이것이 증시 변동성을 키웠다.

이와 함께 중국 본토가 1일부터 국경절 연휴에 돌입, 중국 증시가 7일까지 휴장함에 따라 강구퉁(港股通·중국 내국인들의 홍콩 주식 투자) 거래가 중단된 것도 최근 홍콩 증시 약세의 원인으로 꼽힌다.

대내외적 악재 속에 홍콩 증시가 향후 수 주간 조정 국면을 이어갈 것이라는 전망에 무게가 쏠린다. 중진공사(中金公司)는 "중국 본토 투자자들이 국경절 장기 연휴를 맞이한 가운데 시장 거래가 상대적으로 부진할 것으로 예상된다"며 "투자자들이 중국 공산당 제20차 전국대표대회(당 대회)에서 나올 정책 시그널을 기다릴 것으로 보인다. 향후 수 주간 시장이 조정장을 이어갈 것"이라고 진단했다.

중국 공산당 20차 당 대회는 16일 개막 예정으로 역대 당대회가 일주일 동안 열렸던 관례에 따라 오는 22일 폐막할 것으로 예상된다. 22일까지 20여일 남은 만큼 최소 3주 간은 약세장이 지속될 것이란 의미로 해석할 수 있다.

◆ '아시아 금융허브' 명성 퇴색

한편 일각에서는 '아시아 금융허브'라 불렸던 홍콩 명성이 퇴색하고 있다고도 지적한다. '제로 코로나'라는 중국 지도부의 초강경 방역 대책에 홍콩을 오가는 관문에 빗장이 채워졌고, 홍콩의 국가보안법 시행으로 홍콩의 경제적 자유도가 예전 같지 않을 것이라는 인식이 확산했기 때문이다.

실제로 영국계 싱크탱크 지옌(Z/Yen)과 중국종합개발연구원(CDI)이 지난달 22일 공동 발표한 국제금융센터지수(GFCI)에서 싱가포르가 홍콩을 제치고 아시아 1위에 오른 반면, 홍콩은 한 계단 밀려난 4위에 그쳤다.

홍콩 증시 상장을 준비했던 기업들의 기업공개(IPO) 계획 철회 소식도 잇따르고 있다. 애초에 조달자본 규모가 크지 않은 데다가 증시 부진 속 주가가 발행가 밑으로 하락하는 경우가 많다는 이유에서다.

쥐펑투자고문(巨豐投顧) 소속 딩전위(丁臻宇) 선임투자고문에 따르면 올해 상반기 홍콩 증시에 신규 상장한 기업은 26개에 그친 것으로 나타났다. 전년 동기의 46개 대비 43.48% 감소한 것이다.

조달액은 197억HKD, 전년 동기의 2143억 HKD 대비 90.79% 줄어들면서 최근 5년래 최저치를 기록했다. 조달액이 1억 달러(약 1428억 6000만 원) 이상인 상장사는 11개, 지난해 같은 기간의 절반 수준에 머물렀다.

쥐펑투자고문 소속 또 다른 투자고문인 리밍진(李名金)은 "올해 8월까지 48개 기업이 상장했지만 주가가 공모가 아래로 떨어진 경우가 80%를 넘어섰다"며 "부진한 시장 분위기 속에 홍콩 증시 상장 준비 기업과 투자자들이 계획을 변경하고 있다"고 지적했다. 

홍콩을 대신해 싱가포르가 아시아의 새로운 금융허브로 부상했다. 발행시장에서부터 거래시장까지 홍콩이 주춤한 사이, 미국 증시에서 철수한 일부 중국 기업들이 싱가포르 상장을 추진하고 있다.

싱가포르 거래소 (SGX)의 로 분 체(Loh Boon Chye) 대표는 "웨이라이(蔚來·Nio)가 싱가포르에서 2차 상장한 이후 다른 기업들이 모방하고 있다"고 설명한 바 있다.

다만 하반기 이후 홍콩 IPO 시장이 활기를 되찾을 것이란 관측도 있다. 홍콩거래소가 과학기술기업의 상장 조건(매출)을 대폭 완화하는 방안을 마련했고 빠르면 연내 시행할 것으로 예상되는 만큼 요건에 부합하는 인공지능기업 및 전기차 업체들의 상장이 줄을 이을 것이라는 설명이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갑질 의혹' 강선우 살린 까닭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이재명 대통령이 20일 이진숙 교육부 장관 후보자에 대한 지명을 철회하고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는 살리기로 했다. 장관 후보자들에 대한 도덕성 논란이 심각한 상황에서 낙마자 없이 넘어갈 수는 없다는 판단에 따라 상징적인 낙마자로 이 후보자를 선택한 것이다. 야당이 강력히 요구한 두 명 중 한 명을 낙마시킴으로써 야당의 체면을 세워주는 모양새를 취하는 동시에 독주한다는 부정적 이미지를 피하려 한 것이다.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이 후보자 낙마가 측근인 강 후보자에 비해 부담이 상대적으로 덜했다. 강 후보자가 낙마할 경우 현역 의원 낙마 1호라는 불명예를 안게 돼 의원직을 수행하기도 여의치 않은 상황이었다. 이 후보자 낙마로 강 후보자를 구제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이길동 기자 =강선우 여성가족부 장관 후보자가 26일 서울 종로구 수송동에 마련된 마련된 인사청문회 준비 사무실로 출근하며 취재진의 질문에 답하고 있다.2025.06.26 gdlee@newspim.com 이 대통령과 여권 핵심은 지난주 이미 한 명 낙마 쪽으로 가닥을 잡았다. 우상호 정무수석이 "일부 후보자의 경우 청문회 이후에도 논란이 계속돼 여론이 악화하고 있다"고 말했다. 낙마를 사실상 기정사실화한 것이다. 특히 주말 여야 원내대표를 만나 의견을 구한 것은 최소한 한 명의 낙마를 전제로 한 것이었다. 야당 대표까지 만나고 모든 후보자를 밀어붙일 경우 독주한다는 비판을 피하기 어렵기 때문이다.   더불어민주당이 주장한 낙마자 제로는 이 대통령의 결단을 부각하기 위한 전술이었다. '낙마자는 없다'는 여당의 강경론에도 이 대통령이 지명 철회를 요구하는 야당과 민심을 수용하는 모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자진 사퇴가 아니라 지명 철회라는 강수는 야당의 요구를 수용하는 모양을 취한 것이다. [서울=뉴스핌] 정일구 기자 = 이진숙 부총리 겸 교육부 장관 후보자가 16일 오전 서울 여의도 국회 교육위원회에서 열린 인사청문회에서 모두발언을 하고 있다. 2025.07.16 mironj19@newspim.com 관심은 낙마자가 한 명이냐, 아니면 두 명이냐였다. 두 후보자 모두 낙마 1순위였다. 한 명을 살리기 어려울 정도로 막상막하였다. 논문 표절과 자녀 불법 조기 유학 의혹이 불거진 데다 전문성도 결여돼 있다는 지적을 받은 이 후보자의 낙마는 사실상 결정된 상태였다. 여기에 강 후보자까지 포함시킬지 여부가 초미의 관심사였다. 파상 공세를 취하는 야당이 문제가 아니었다. 두 후보자에 대해 진보색이 강한 시민 단체마저 낙마를 요구했다. 여론을 중시하는 이 대통령 입장에서는 곤혹스러운 상황이 아닐 수 없었다. 자칫 지지 세력이 등을 돌릴 수 있어서다. 이런 상황에서 이 후보자 낙마와 강 후보자 구제는 여당 기류에서 그대로 나타났다. 대통령실 주변에서 "이 후보자는 외부에서 추천했다"는 얘기가 흘러나온 것은 낙마자가 나올 경우 1순위는 이 후보자가 될 수 있음을 강하게 시사한 것이다. 낙마하더라도 부담이 덜할 수 있다는 의미로 받아들여진 것이다. 당 분위기는 더 노골적이었다.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입단속이 이뤄진 것으로 알려졌으나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특별한 지침이 없었다고 한다. 이를 반영하듯 강 후보자에 대해서는 지난주 중반까지 여론이 싸늘했지만 그 이후 당 주변에서는 더 이상 얘기가 나오지 않았다. 이 후보자에 대해서는 달랐다. 김상욱 의원에 이어 강득구 의원이 공개적으로 이 후보자를 비판하며 거취를 거론했다. 강 의원은 "연구 윤리 위반, 반민주적 행정 이력, 전문성 부족 등은 결코 가볍게 넘길 수 없는 중대 결격 사유"라고 말했다. 이 후보자 낙마로 분위기를 몰아가는 듯했다.   이 후보자는 논문 표절 문제가 컸지만 이재명 정부가 전면에 내세운 유능함도 보여주지 못한 게 결정적이었다. 여권이 갑질 논란이 심했던 강 후보자를 감싼 논리가 유능함이었다. 청문회 과정에서 유보 통합 등 교육 정책과 관련된 기본적인 사항조차 숙지하지 못해 전문성에 심각한 의구심이 제기됐다. 여당 의원들조차 "어떻게 그런 것도 대답을 하지 못하느냐"는 비판이 나올 정도였다. 우상호 대통령실 정무수석은 이날 오후 용산 대통령실에서 브리핑을 통해 인사청문회를 거쳤지만 임명이 안 된 11명의 장관 후보자 중 지명 철회는 이 후보자 한 명이라는 점을 분명히 해 강 후보자는 임명 절차를 밟을 것임을 시사했다. 강 후보자의 인사청문경과보고서가 채택되지 않은 상태에서 임명을 강행하려면 절차상 국회에 보고서 재송부를 요청해야 하는 만큼 이 대통령은 이른 시일 내에 관련 조치에 나설 것으로 보인다. 이 대통령이 강 후보자를 임명한다고 해도 부담은 남는다. 강 후보자의 사퇴를 요구한 상당수 민주당 보좌진들과 정서적으로 등을 지게 될 수밖에 없다. 강 후보자 사퇴를 요구한 시민단체의 입장도 부담이다. 야당은 여론을 돌리기 위한 파상 공세에 나서고 있다. 강 후보자도 갑질 장관이라는 낙인이 찍힌 상태에서 업무를 제대로 수행할 수 있을지도 의문이다. 향후 여론 추이에 관심이 쏠리는 이유다.    leejc@newspim.com 2025-07-21 06:45
사진
안세영,왕즈이 꺾고 日오픈 우승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배드민턴 여제' 안세영(삼성생명)이 시즌 6승을 달성했다. 세계랭킹 1위 안세영은 20일 일본 도쿄에서 열린 세계배드민턴연맹(BWF) 월드투어 슈퍼 750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왕즈이(2위·중국)를 42분 만에 2-0(21-12 21-10)으로 완파했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안세영(왼쪽)이 20일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우승한 뒤 중국의 왕즈이와 시상대에 올랐다. [사진=BWF 동영상 캡처] 2025.07.20 zangpabo@newspim.com 안세영은 이번 대회 5경기에서 한 게임도 내주지 않는 무결점 플레이를 펼쳤다. 이로써 안세영은 말레이시아오픈, 인도오픈, 오를레앙 마스터스,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일본오픈까지 올해에만 6번째 우승컵을 안았다. 지난해 파리 올림픽 금메달을 딴 뒤 부상으로 불참한 일본오픈에선 2023년 이후 2년만에 정상을 탈환했다. 안세영은 왕즈이와 상대 전적에서도 13승 4패로 격차를 벌렸다. 특히 올해는 말레이시아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일본오픈에서 왕즈이를 잇달아 꺾었다. [서울=뉴스핌] 장환수 스포츠전문기자= 안세영이 20일 왕즈이와 일본오픈 여자 단식 결승에서 마지막 게임 포인트를 올리고 있다. [사진=BWF 동영상 캡처] 2025.07.20 zangpabo@newspim.com 1게임 10-10으로 맞선 게 유일한 접전이었다. 안세영은 이후 8득점을 내리 따내며 승기를 잡았다. 2게임에서도 두 번 연속 5득점 하며 손쉽게 왕즈이를 꺾었다. 안세영은 22일부터 27일까지 열리는 중국오픈에서 시즌 7관왕에 도전한다. 남자복식 서승재-김원호 조(3위·이상 삼성생명)도 세계랭킹 1위인 말레이시아의 옹유신-테오예이 조를 2-0(21-16 21-17)으로 따돌리고 우승을 차지했다. 서승재와 김원호는 올해 말레이시아오픈, 독일오픈, 전영오픈, 인도네시아오픈에 이어 5번째 우승을 합작했다. zangpabo@newspim.com 2025-07-20 17:37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