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KYD 디데이
중국 경제일반

속보

더보기

中 소비 이끄는 '여성', 렌트카 업계서도 '쉬코노미' 파워

기사입력 : 2023년03월09일 16:03

최종수정 : 2023년03월09일 16:03

[서울=뉴스핌] 홍우리 기자 = 세계 여성의 날을 보낸 중국에서 '쉬코노미' 파워가 또 한 번 화제다. 화장품 등 잡화 구매 뿐만 아니라 여행과 자동차 구매 등과 같은 고액 소비에서도 여성의 주도권이 강화되고 있다고 디이차이징(第一財經) 등이 8일 보도했다.

온라인 여행 플랫폼 퉁청여행(同程旅行) 자료에 따르면 여성이 가족 여행을 주도하는 특징이 두드러졌다. 여성의 결정에 따라 여행 상품을 예약하는 경우가 전체의 70%를 넘어선 것으로 나타났다. 온라인 여행 플랫폼 투뉴뤼여우왕(途牛旅遊網) 역시 지난해 여행 예약자 중 여성 비중(51%)이 남성을 앞질렀다고 밝혔다.

시장조사기관 퀘스트모바일(QuestMobile)는 온라인에서 고가(2000위안, 약 38만원) 상품을 구매하는 소비자 중 여성 비중이 22.3%로 남성(30.7%)과의 격차가 좁혀졌다고 지적했다.

남성이 주고객이었던 '렌트카' 업계 분위기도 달라지고 있다. 가정 내 영향력이 커지고, 여행을 떠나는 여성들이 늘어나면서 렌트카 업계에 '쉬코노미' 훈풍이 불고 있다고 중궈징지왕(中國經濟網) 등이 전했다.

중국 시장 점유율 1위 렌트카 업체인 '선저우주처(神州租車)'는 지난해부터 여성 고객이 빠르게 늘었다며, 여성의 매출 기여도가 큰 폭으로 확대됐다고 밝혔다. 선저우주처에 따르면 여성 고객들은 특히 고급 차량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지난해 여성 고객의 다목적차량(MPV) 및 호화형 차량 예약 수요가 전년 동기 대비 각각 20%, 50% 가까이 급증했다.

싱투(星圖)금융연구원 푸이푸(付一夫) 고급 연구원은 "요즘의 여성들은 업무상의 성공과 경제적인 독립을 추구한다. 소득 수준이 높아지면서 사회 중상류층에 진입한 여성들도 늘어났다"면서 "그러한 여성들은 높은 수준의 생활과 품격 있는 소비에 관심을 갖기 때문에 가정 지출에서 절대적인 주도권을 갖게 되는 것"이라고 분석했다.

[사진=바이두(百度)]

'자기 만족(悦己)형' 소비가 중국 여성들의 주요 소비 특징으로 꼽힌다. 자신을 아끼는 방법으로 스스로에게 많은 돈을 투자하고, 소비와 상품으로 자신을 표현하고자 하는 여성들이 늘고 있다는 분석이다.

중국 대형 전자상거래 플랫폼 톈마오(天貓·티몰)는 최근 발표한 '타리량(她力量·여성의 파워)'에서 톈마오에 입점한 상위권의 신규 브랜드 중 80%가 여성 소비자에 주목하고 있다면서, 신규 브랜드 수용도가 높은(1년에 12회 이상 신규 브랜드 제품을 구매) 소비자의 70%도 여성이라고 설명했다.

전자상거래 플랫폼 핀둬둬(拼多多) 역시 최근 발표한 '신 전자상거래·신 여성 소비 보고'에서 '주링허우(1990년대 출생자)'와 '링링허우(2000년대 출생자)' 여성 가입자의 구매량이 절반을 넘어섰다며, 이들이 소비의 새로운 '주력군'이 됐다고 지적했다.

중국의 여성 소비자는 5억 명 이상. '쉬코노미'가 새로운 소비 트렌드를 이끌면서 많은 업계에 비즈니스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고 중궈상바오(中國商報)가 짚었다.

충칭(重慶) 공상대학교 모위안밍(莫遠明) 교수는 "기업들은 여성의 디지털 소비 변화를 정확하게 파악하고 기술과 혁신을 통해 여성 소비자에게 가치를 만들어줄 수 있어야 한다"며 "소비 환경을 만들고 만족도를 높여 여성의 소비 잠재력을 발굴할 수 있다면 새로운 성장 공간을 갖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hongwoori84@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돌연 취소된 '2+2 통상협상' 왜? [세종 = 뉴스핌] 김범주 기자 = 25일(현지 시각) 미국 현지에서 열릴 예정이었던 '한미 2+2 재무·통상 협의'가 돌연 취소된 배경에 관심이 모아지고 있다. 미국 측이 한국 대표단에 '양해'의 뜻을 여러 차례 표명했다는 것이 우리 정부의 설명이지만, 외교상 결례에도 불구하고 협의를 미뤄야 했던 배경에는 한국 협상단을 길들이겠다는 의도가 있는 것 아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24일 기획재정부에 따르면 구윤철 부총리 겸 기재부 장관은 이날 오전 9시경 이메일로 미국 측으로부터 협의 취소를 통보 받았다. 이날 오전 구 부총리는 협의를 위해 미국으로 출발할 예정이었다. 당시 인천공항 대기실에 있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기재부는 이 같은 사실을 오전 9시 30분께 언론에 공개했고, 구 부총리는 정부 관계자들과 함께 오전 9시 50분께 공항을 빠져나갔다. 이날 회의가 취소가 된 배경에 대해 기재부 측은 "스콧 베선트 재무장관의 긴급한 일정 때문이었다"고 설명했다. 다만 '긴급한 일정'에 대한 설명은 없었던 것으로 파악됐다. 미국 측이 이메일을 통해 여러 차례에 걸쳐 사과 의사를 밝혔지만, 협상 관련 구체적 일정은 확정하지 않았다는 설명이다. 김정관 산업통상자원부 장관, 여한구 통상교섭본부장의 미국과의 협상은 예정대로 진행된다. 김 장관은 크리스 라이트 에너지장관 등을, 여 본부장은 제이미스 그리어 무역대표부(USTR) 대표와 각각 만난다. 하지만 양국 경제·통상 수장이 구체적 이유 없이 협의를 돌연 취소한 배경으로 한미간 협상이 난항을 겪은 것 아니니냐는 해석이 나온다. 앞서 지난 20일 미국으로 출국한 위성락 대통령실 국가안보실장은 이날 오후 귀국할 예정이지만, 고위급 협상에 진전이 없었던 것 아니냐는 관측도 나온다. 한국 정부는 1000억달러(약137조원) 규모의 미국 현지 투자 계획을 미국 정부에 제안할 예정인 것으로 전해졌다. 한국보다 먼저 관세협상을 타결한 일본 사례를 참고해 짠 전략으로 풀이된다. 일본은 5500억달러(약 757조원) 규모의 투자 펀드를 약속하고 미국과의 상호관세 15%부과에 합의했다. [영종도=뉴스핌] 김학선 기자 = 미국 측 요청으로 한미 2+2 통상 협의가 연기된 24일 구윤철 부총리 겸 기획재정부 장관이 출국 직전 취소 소식을 듣고 인천공항 2터미널을 나서고 있다. 2025.07.24 yooksa@newspim.com 다만 한국 정부가 제시할 투자 규모에 미국 정부가 만족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댄 스커비노 백악관 부비서실장이 최근 소셜미디어(SNS) 엑스(옛 트위터)에 공개한 일본 대표단과의 협상 사진을 살펴보면 트럼프 대통령이 직접 대미 투자액을 상향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투자액이 나온다. 애초 일본이 제시한 투자액 4000억달러는 펜으로 그어져 있고, 그 위에 5000억달러라는 숫자가 써 있었기 때문이다. 트럼프 대통령은 전날 일본의 대미국 투자액은 5500억달러라고 공개했다. 협상액보다 500억 달러가 높아진 셈이다. 촉박한 협상 일정을 무기 삼아 미국이 비관세 영역도 손보려는 의도가 아니니냐는 해석도 나온다. 2025년 미국 무역대표부의 비관세 장벽 보고서(NTE)에서도 한국의 방산·통신·원전 분야를 지적했다. 박기훈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방산과 통신은 미국 기업의 진입 장벽이라는 측면에서 구조 개선에 대한 압력을 가할 가능성이 크다"고 지적했다. wideopen@newspim.com 2025-07-24 18:42
사진
특검, 한덕수 자택·총리공관 압수수색"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내란특검팀이 24일 국무총리 서울공관에 대한 압수수색에 들어갔다. 국무총리실은 이날 문자 공지를 통해 특검팀의 수사에 적극 협조하고 있다며 이같이 밝혔다.   특검은 이날 한덕수 전 총리 자택 압수수색에도 나섰다. [서울=뉴스핌] 이형석 기자 = 한덕수 전 국무총리가 2일 오후 서울 서초구 서울고등검찰청에 마련된 내란 특검 사무실에서 조사를 마치고 차량으로 이동하고 있다. 2025.07.02 leehs@newspim.com 한 전 총리는 윤석열 전 대통령의 비상계엄 선포 계획을 알고도 이를 묵인 또는 방조했다는 의혹을 받고 있다. 특검은 압수물 분석을 마치는 대로 한 전 총리 등을 다시 조사한 뒤 구속영장 청구 여부 등을 검토할 전망인 것으로 알려졌다. sheep@newspim.com 2025-07-24 13:54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