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계로 본 한국경제 50년 연구 발표
기업이 경제성장 일등공신...성장기여도 높아
[서울=뉴스핌] 김신정 기자 = 한국 경제가 지난 50년 전과 비교해 국내총생산(GDP) 규모가 지난 1974년 195.4억 달러('74)에서 지난해 1조6643억 달러로 85.2배 상승한 것으로 나타났다. 같은 기간 1인당 GDP도 563.3 달러에서 3만2 236.8달러 로 57.2배 상승했다.
대한상공회의소는 15일 '상공의 날 50주년 기념 주간'을 맞아 한국경제와 우리기업의 50년 변화와 미래준비 연구보고서를 발표했다.
이번 연구는 한국은행, 통계청, OECD 등 국내외 경제 데이터를 통해 '제1회 상공의 날'이 개최된 1974년 당시와 현재의 한국경제의 달라진 변화상을 도출하여 비교분석했다. 1970년대는 삼성전자, 현대차, 포스코 등 대표 기업들이 본격 성장한 시기로 산업화의 원년이라는 의미가 크다.
분석결과는 △국가경제 성장 △산업구조 고도화 △수출·무역 △투자· 일자리 창출의 네 가지 영역으로 구분했다. 전문가 의견을 모아 우리 경제와 기업이 나아갈 방향을 함께 제시했다.
[서울=뉴스핌] 그래프=대한상의 |
한국 경제의 규모는 지난 50년 전과 비교해 괄목할 만한 성장을 이뤘다. 1974년 국내총생산(GDP) 규모는 195.4억 달러에서 1조6643.3억 달러로 85.2배 상승했고, 1인당 GDP도 563.3 달러('74)에서 32,236.8달러('22)로 57.2배 상승했다. 전세계 GDP 순위도 30위에서 10위로 크게 올랐다. 1974년 당시 대한민국의 GDP 순위는 베네수엘라(25위), 인도네시아(26위), 나이지리아(29위)보다 낮았다.
조동철 한국개발연구원장은 "지난 50년간 한국 경제 성장의 중심에는 국제경쟁력을 강화하고자 부단히 노력한 기업들이 있었다"며 "올해 한국 경제의 성장률이 1%대로 전망되는 등 쉽지 않은 상황이지만, 이럴 때일수록 기업들은 새로운 성장동력을 만들어갈 기술개발과 효율적인 투자를 이어가야 한다"고 말했다.
지난 50년간 한국 경제의 산업구조는 농림어업 중심에서 제조업 중심으로, 제조업 중에서는 경공업 중심에서 반도체 및 금융·서비스 중심으로 바뀌었다.
산업화 초기인 1970년대 초반(1971~75년) 주력산업은 농림어업(13.8%), 종합상사 등 도소매업(13.6%), 섬유(11.6%), 백색가전(4.2%) 등이었으나, 최근 5년(2017~21년)의 산업구조는 반도체, 휴대폰 등 컴퓨터전자업종(23.9%), 금융보험(13.7%), 정보통신 및 사업서비스(8.5%) 등으로 바뀌었다.
조성훈 연세대 교수는 "향후 진정한 선진 경제에 진입하기 위해서는 친환경 및 첨단산업분야를 중심으로 혁신적 민간기업이 경제를 이끄는 패러다임의 변화가 절실하고 정부는 규제시스템의 근본적 변화를 통해 그러한 환경조성에 나서야 할 시점"이라고 진단했다.
대한민국의 글로벌 시장점유율도 1974년 0.53%(세계 39위)에서 2021년 2.89%(7위)로 크게 올랐다. 특히 반도체 9.8%(세계 4위), 조선 17.7%(2위), 자동차 5.3%(5위), 석유화학 9.9%(2위), 디스플레이 8.8%(3위), 철강 4.7%(4위) 등 수출 주력산업이 세계무대에서 선전하고 있었다.
지난 50년간 주요수출 대상국과 수출상품은 크게 바뀌었다. 1974년 주요 수출 대상국은 미국(33.4%), 일본(30.9%), 독일(5.4%) 등 냉전시대 우방국에 편중됐으나, 지난 2022년 중국(22.8%), 미국(16.1%), 베트남(8.9%) 등으로 다양해졌다. 주요 수출상품도 섬유(36%), 가전(10%), 철강(5%) 등에서 반도체(13%), 자동차(11%), 석유(9%) 등으로 고도화됐다.
송의영 서강대 교수는 "지정학적 리스크에 대응해 원자재 수입처 다변화와 신시장 개척을 시도하고, 반도체, 의약품 산업의 업그레이드와 전기차-태양광-원전 등 친환경 산업 및 컨텐츠-헬스케어 등 서비스 산업에서의 수출 확대에 노력해야 한다"고 말했다.
우리 기업은 지난 50년간 기업 본연의 역할로 꼽히는 투자와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성과를 냈다. 먼저 혁신투자가 크게 늘었다. 국가 전체의 투자총액이 1974년 21조3000억원에서 지난해 568조4000억원으로 26.7배 오르는 동안, 민간부문이 1974년 지식재산생산물에 투자한 금액은 2545억원에서 지난해 120조7000억원으로 474배 증가했다. 전체 투자액 대비 민간 지재물 투자 비중은 50년 전 1.2%에 불과했으나, 현재는 21.2%를 차지한다.
GDP 대비 R&D 투자비중은 1974년 0.42%에서 2021년 4.96%로, 이스라엘에 이어 세계 2위를 차지했다. 2021년 R&D 투자액 102조1000억원 중 민간이 투자한 비중은 76.4%(78조원)였다. 기업 등 민간 부문에 의해 연구개발 투자가 주도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기업은 일자리 창출에도 많은 힘을 보탰다. 1974년 임금 근로자수는 444.4만명이었으나, 지난해 2150.2만명으로 늘었다. 이를 단순계산하면, 기업이 지난 50년간 1706만개, 매년 평균 34만개의 새로운 일자리를 창출했다는 의미다.
우태희 대한상의 상근부회장은 "국민들은 기업이 단순히 세금을 잘 내고 일자리를 많이 만드는 것이 아니라, 기업의 역량을 발휘하여 사회문제 해결에 적극 나서주길 바라는 만큼, 우리 기업인들도 새로운 기업가 정신을 발휘하여 다가올 100년을 열어야 한다"고 말했다.
az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