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기사 최신뉴스 GAM 라씨로
KYD 디데이
글로벌 미국·북미

속보

더보기

[뉴욕 프리뷰] 미 주가지수 선물 혼조세...에너지주↑ VS 테슬라·WWE↓

기사입력 : 2023년04월03일 22:10

최종수정 : 2023년04월14일 14:35

[휴스턴=뉴스핌] 고인원 특파원= 2분기 첫 거래일 미 주가지수 선물이 혼조세다. 산유국 협의체 '오펙플러스(OPEC+)'의 주가 감산 발표에 셰브론을 비롯한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는 일제히 상승 중이다.

미국 동부 시간으로 3일(현지시간) 오전 8시 55분 기준 미국 시카고상업거래소(CME)에서 E-미니 나스닥100 선물은 전장 대비 114.75포인트(0.86%) 내린 1만3187.00달러, E-미니 S&P500 선물은 7.50포인트(0.18%) 빠진 4130.25달러에 거래 중이다. E-미니 다우 선물은 107.00포인트(0.32%) 전진한 3만3567.00달러에 거래되고 있다.

뉴욕증권거래소(NYSE)의 트레이더. [사진=블룸버그]

사우디아라비아를 비롯한 OPEC+ 산유국들이 2일(현지시간) 깜짝 감산을 발표하면서 이날 국제 유가는 5% 넘게 급등 중이다. 로이터 등 외신에 따르면 사우디를 비롯, 이라크, 아랍에미리트(UAE) 등 주요 산유국들은 5월부터 감산에 돌입한다고 밝혔다. 

또 올해 3∼6월 50만배럴(bpd) 감산을 예고한 러시아는 감산 기한을 연말까지 연장하기로 했다.

로이터는 이들 산유국들의 자발적 감산 규모가 총 116만bpd에 이른다고 추산했다. OPEC+가 합의한 올 연말까지 감산 규모까지 더하면 전 세계 수요의 3.7%에 해당하는 366만bpd의 생산량이 줄어드는 셈이라는 설명이다.

이에 공급 부족 우려가 커지며, S&P500 상장 에너지 기업들의 주가를 추종하는 ▲에너지 셀렉트 섹터 SPDR 펀드(종목명:XLE)의 주가는 개장 전 4% 넘게 뛰고 있다.

오펙(OPEC·석유수출국기구) 로고. [사진=블룸버그]

지난 1분기 실리콘뱅크은행(SVB) 파산에 따른 혼란에도 불구하고 뉴욕 증시의 3대 지수는 모두 오름세에 분기를 마감했다. 미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고강도 긴축에 대한 우려가 줄며 기술주 위주의 나스닥 지수는 1분기에만 16.8% 올랐다. 지난 2020년 2분기 이후 분기 기준으로 최다 오름폭이다.

S&P500 지수도 7% 오르며 2개 분기 연속 상승 장을 이어갔으며, 다우 지수는 0.4% 올랐다.

지난 주말 발표된 미국의 인플레 수치가 예상을 하회한 것도 시장에 훈풍을 불어넣었다. 연준이 선호하는 물가 지표인 2월 근원 개인소비지출(PCE) 가격지수는 전년 동기대비 4.6%, 전월 대비 0.3% 오른 것으로 집계됐다. 

블룸버그 통신이 사전 집계한 전문가 예상치(0.4%, 4.7%)를 각 0.1%포인트 하회했다. 전년 대비로는 1월과 동일한 상승률을 보였고, 전월과 비교해서는 1월 0.5% 올랐던 데서 상승세가 둔화했다.

헤드라인 물가 역시 전월 대비 0.3% 전년 대비로는 5.0% 오르며 월가 예상치(전월 대비 0.5%, 5.1%)를 하회했다. 다만 두 수치 모두 연준의 물가 안정 목표인 5%는 두 배 가까이 웃돌았다.

이와 관련해 수전 콜린스 보스턴 연방준비은행(연은) 총재는 인플레이션이 둔화하기는 했지만, 여전히 높으며 큰 진전은 아니라고 선을 그었다.

총재는 "약간의 추가적인 정책 긴축을 한 후 올해 말까지 동결할 것으로 예상한다"며 고금리를 장기간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언급했다.

다만 채권시장을 중심으로 한 금융시장은 한 차례 더 인상 후 연준이 금리를 인하하기 시작해 연말까지 최대 1%포인트 인하가 있을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현재 금리 선물 시장은 오는 5월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에서 금리가 동결될 가능성을 38.5%,  25bp(1bp=0.01%포인트) 인상 가능성을 61.5%로 보고 있다. 또 7월부터는 금리 인하에 돌입해 12월에는 금리가 4.25~4.5% 수준까지 내릴 것으로 전망했다. 

한편 이번 주에는 4일 미 노동부의 JOLTs (구인·이직 보고서)를 필두로 여러 고용 관련 지표가 발표될 예정이다. 고용은 물가와 더불어 연준이 통화 정책 결정과 관련한 핵심 판단 요소로 거론해왔다. 특히 7일 예정된 미국 노동부의 비농업 고용 보고서에 시장의 관심이 몰리고 있다.

월스트리트저널(WSJ) 사전 조사에서 전문가들은 3월 비농업 부문 신규 고용이 23만5000명 늘어났을 것으로 전망했다. 이는 전월치(31만1000명 증가)에 비해서는 증가세가 둔화된 수준이다. 3월 실업률은 3.6%로 전망됐다.

다만 7일은 '성 금요일의 날'로 미국 금융시장이 휴장하기 때문에 시장에 즉각적인 영향을 끼치지는 않을 것으로 보인다.

이날 국제유가가 오름세를 보이는 가운데, 에너지 관련주가 일제히 오름세다. 개장 전 ▲마라톤 오일(MRO) ▲옥시덴털 페트롤리움(OXY)▲할리버튼(HAL) 등이 일제히 6% 넘게 급등 중이다.

백화점 체인 ▲메이시스(M)도 주가가 4% 넘게 상승하고 있다. JP모간이 회사에 대한 투자 의견을 '중립'에서 '시장 수익률 상회'로 상향한 영향이다. JP모간은 상각전영업이익(EBITDA, '에비타')을 매출로 나눈 값인 에비타 마진율이 수년간 두자리 수에 머물 것으로 낙관하고 회사의 목표 주가를 상향 조정했다.

미국 프로레슬링 기구 ▲월드레슬링엔터테인먼트(WWE)가 미국 이종격투기 대회 UFC 모회사인 엔데버 그룹과 곧 합병할 것이라는 보도에 WWE의 주가는 6% 넘게 하락하고 있다. CNBC에 따르면, 엔데버 그룹은 UFC를 분사하고 UFC와 WWE를 합병해 새로운 상장회사를 구성할 계획이다. WSJ은 이 계약으로부터 WWE와 UFC가 각각 93억 달러(12조 2500억원), 121억 달러(15조 9332억원) 가량의 기업 가치를 얻게 될 것이라고 분석했다.

보관 시설을 임대를 전문으로 하는 부동산 투자 신탁 기업인 ▲엑스트라 스페이스 스토리지(EXR)가 ▲라이프 스토리지(LSA)를 주당 145.82달러, 지난 주말 종가에서 11.2% 프리미엄 인수한 가격에 인수한다는 발표에 엑스트라 스페이스의 주가는 7% 넘게 밀리고 있다. 반면 라이프 스토리지의 주가는 2% 가까이 상승 중이다. 이번 합병으로 시총 360억달러 규모의 보관 기업이 탄생할 것으로 CNBC는 관측했다. 해당 합병은 올해 2분기 마무리될 전망이다.

미국 전기차 기업 ▲테슬라(TSLA)의 주가는 개장 전 3% 넘게 하락 중이다. 주말 발표된 올해 1분기 인도 대수(42만2875대)는 1년 전에 비하면 36% 증가한 수치이며 예상에 대체로 부합했지만, 깜짝 서프라이즈를 기대했던 시장은 실망했다. 팩트셋 전망치인 43만2000대도 하회했다. 일론 머스크(테슬라 CEO)는 연간 성장률 목표로 50%를 제시했는데 성장률도 여기에 못 미쳤다.

koinwon@newspim.com

[뉴스핌 베스트 기사]

사진
LH, 올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공급 [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과 2만8000가구 규모 공공택지 공급에 나선다. 또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21조6000억원의 투자를 집행하고 재원조달 방식 등을 다양화해 재무여건 체질을 개선한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올해 21만 8000+α가구 규모의 주택 공급에 나선다. 사진은 이한준 한국토지주택공사(LH) 사장이 5일 서울 종로구 국립현대미술관에서 열린 서계동 복합문화단지 조성사업 업무협약식에서 인사말을 하고 있는 모습 [사진=뉴스핌DB] 23일 한국토지주택공사(LH)는 이같은 내용을 담은 '2025년도 업무계획'을 발표했다.  우선 핵심 업무인 주택 공급에 집중한다. 10만가구 사업승인과 매입·전세임대 9만가구 등 총 19만가구 이상의 공공주택을 공급한다. 동시에 민간 주택건설 활성화를 위해 2만8000가구 규모의 공공택지를 조성한다. 주택 착공물량은 지난해(5만가구) 대비 20% 증가한 6만가구를 추진하고 지난해 8·8 주택공급 활성화 방안에 포함된 서울서리풀 등 5만가구 규모의 사업지구 역시 인허가 일정을 최대한 단축해 안정적 공급 기반을 마련할 계획이다. 도심 내 신속한 주택공급과 비아파트 시장 정상화를 위해 신축매입임대 5만가구 이상을 공급하고 전세사기 피해자 회복 지원을 위해 피해 주택 7500가구를 매입한다. 올해 주택 승인물량의 37%를 청년·신혼·고령자에게 공급하고 출산가구 우선공급(통합공임)과 실버스테이 등 새로운 유형의 시니어 주택을 통해 가속화되는 저출산·고령화 문제에도 적극 대응할 계획이다. 아울러 쪽방·고시원·반지하 거주자의 주거 상향 지원을 지속하고 예술인 등 다양한 수요층에 부응한 특화형 매입임대도 확대한다. 공공주택은 합리적 가격의 고품질을 보장한다. 무엇보다 최근 급등한 주택 분양가격을 낮춰 국민들의 내 집 마련을 돕는다. 이를 위해 사업지구별 목표 원가를 설정해 관리와 검증을 강화하고 가처분면적 확대와 사업일정 단축으로 조성원가를 인하해 합리적인 가격에 공급한다는 계획이다. 공공주도의 기술개발을 통해 민간기업을 선도할 수 있도록 모듈러주택 표준평면 개발 등 OSC 공법을 올해부터 단계적으로 고도화하고 LH가 개발한 층간소음 1등급 설계기준과 국내 최대규모의 층간소음 시험시설(데시벨35랩)을 활용해 주택 품질 혁신을 추진한다. 관련 예산은 조기 집행한다. 전체 공공기관 투자계획(66조원)의 33% 수준인 21조6000억원을 차질 없이 집행할 계획이다. 특히 상반기 역대 최대 규모인 57% 이상의 투자를 집행한다. 지역 건설경기 회복을 위해 지방 준공 후 미분양 아파트 3000가구를 매입하고 1기 신도시 특별정비계획 수립, 용인 반도체 국가산단 조성 등도 차질없이 추진한다. 손실 최소화 등 재무여건을 안정적으로 관리하기 위해 재원조달 방식도 개선한다. 광명시흥 등 대규모 사업지구에 LH와 기금이 함께 출자하는 신도시 리츠를 설립해 사업에 따른 재무부담을 완화한다. 또 토지 패키지형 공모 등 지구별 특성과 시장 여건에 맞춘 다양한 매각 방식을 도입해 판매여건 개선과 대금 회수를 촉진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임금 직접지급 관리를 강화하고 설게 등 공모에 참여하는 외부 심사위원의 정성평가 비중을 축소해 업체 선정의 공정성을 제고한다. 이한준 LH 사장은 "국민의 삶과 국가 경제가 어려운 만큼, 올해도 신속한 주택공급과 투자집행 등 LH가 맡은 역할을 충실히 이행할 것"이라며 "선도적인 공적 역할을 통해 확실한 정책성과를 창출하여 국민 주거안정을 지원하고 국가 경제회복의 마중물 역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min72@newspim.com 2025-02-23 20:07
사진
헌법재판관들 "공정" 49.3% "불공정" 44.9% [서울=뉴스핌] 이바름 기자 = 윤석열 대통령의 탄핵 심판을 맡은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공정하다' 49.3%, '공정하지 않다' 44.9%로 팽팽했다. 종합뉴스통신사 뉴스핌이 미디어리서치에 의뢰해 지난 18~19일 전국 만 18세 이상 남녀 1000명을 대상으로 진행해 20일 발표한 ARS(자동응답 시스템) 조사에서 윤 대통령 탄핵 심판 헌법재판관들의 공정성을 묻는 질문에 49.3%가 '공정하다'고 응답했다. '불공정하다'는 답변은 44.9%로 오차범위 내였다. 5.8%는 '잘모름'이었다. 연령별로 보면 30·40·50대는 '공정'이 우세했고, 만18세~29세·60대·70대 이상은 '불공정' 응답이 많았다. 만18세~29세는 공정하다 44.7%, 불공정하다 47.8%, 잘모름은 7.5%였다. 30대는 공정하다 52.2%, 불공정하다 40.4%, 잘모름 7.3%였다. 4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4.8%, 잘모름 3.9%였다. 50대는 공정하다 61.3%, 불공정하다 35.2%, 잘모름 3.6%였다. 60대는 공정하다 40.7%, 불공정하다 53.8%, 잘모름 5.5%였다. 70대 이상은 공정하다 31.6%, 불공정하다 60.4%, 잘모름은 8.0%였다. 지역별로는 서울과 경기·인천, 광주·전남·전북은 '공정'으로 기울었다. 대전·충청·세종과 강원·제주, 부산·울산·경남, 대구·경북은 '불공정'하다고 봤다. 서울은 공정하다 52.9%, 불공정하다 41.5%, 잘모름 5.6%였다. 경기·인천은 공정하다 50.8%, 불공정하다 44.0%, 잘모름 5.1%였다. 대전·충청·세종은 공정하다 41.8%, 불공정하다 50.7%, 잘모름은 7.4%였다. 강원·제주는 공정하다 44.6%, 불공정하다 48.6%, 잘모름 6.8%였다. 부산·울산·경남은 공정하다 43.8%, 불공정하다 49.3%, 잘모름 6.9%였다. 대구·경북은 공정하다 37.7%, 불공정하다 56.4%, 잘모름은 5.9%였다. 광주·전남·전북은 공정하다 28.2%, 불공정하다 67.6%, 잘모름 4.2%였다. 지지정당별로는 더불어민주당 지지자들은 88.7%가 공정하다고 답했다. 반면 국민의힘 지지자들은 90.0%가 불공정하다고 응답했다. 조국혁신당 지지자들은 84.4%가 공정하다고 봤다. 개혁신당 지지자들은 공정하다 48.0%, 불공정하다 46.9%로 팽팽했다. 진보당 지지자들은 59.5%가 공정하다, 잘모름 27.0%, 불공정하다는 13.5%였다. 무당층은 51.8%가 공정하다, 32.9%는 불공정하다. 잘모름은 15.3%였다. 성별로는 남성 53.6%는 공정하다, 42.1%는 불공정하다였다. 여성은 45.1%가 공정하다, 47.7%는 불공정하다고 답했다. 박상병 정치평론가는 "우리사회의 마지막 성역이었던 헌법재판관의 양심까지도 공격하는 시대"라며 "대통령 탄핵 인용 또는 기각 이후 다음 정권에도 이러한 갈등은 더 심해질 것으로 예상한다"고 전했다. 김대은 미디어리서치 대표는 "지지층에 따라 서로 상반된 입장이 나오고 있어 향후 헌재에서 대통령 탄핵 기각과 인용중 어떠한 판결을 내리더라도 상당한 혼란이 있을 것으로 보인다"고 말했다. 이번 여론조사는 무선 RDD(무작위 전화 걸기)를 활용한 ARS를 통해 진행됐다. 신뢰 수준은 95%, 표본 오차는 ±3.1%p. 응답률은 7.2%다. 자세한 조사 개요 및 내용은 미디어리서치 홈페이지와 중앙선거여론조사심의위원회 홈페이지를 참조하면 된다. right@newspim.com 2025-02-20 11:00
안다쇼핑
Top으로 이동