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도 재생에너지 아바다그룹, 토렌트 파워 인터뷰
"에너지는 안보…기업과 정부가 같이 만드는 생태계"
수출엔 가격 경쟁력이 우선…정부 인센티브 8% 이상
[서울=뉴스핌] 조수빈 기자 = "에너지는 안보의 영역입니다. 그만큼 국가와 정부가 관여해야 하는 부분이 많죠. 어떤 것이 그린수소인지 정의하고, 인증하고, 생산하고 소비하는 것까지 정부와 기업이 협의해 만들어 나가야 할 하나의 생태계입니다. 특히 수소 사업은 나라별로 인증 체계가 다르고 가격도 달라서 국가 간의 협의도 필요한 일이라 개별 기업이 할 수 있는 일은 아닙니다."
디팍 아그라왈라 아바다 그룹 부사장. [사진=기후솔루션] |
지난 21일 한국을 찾은 인도의 재생에너지 기업 아바다 그룹, 토렌트 파워는 에너지 안보 차원에서 정부의 역할을 강조하며 이같이 말했다.
그린수소는 생산 과정에서 이산화탄소를 배출하지 않는 수소를 말한다. 재생에너지로 생산한 전기로 물을 전기분해(수전해)해 만들어 낸 에너지원이다. 재생에너지원이 다량 투입되어야 만들 수 있는 청정 원료인 만큼 수소 사업 진출을 준비하는 기업들은 재생에너지 단지부터 구축하고 사업에 나선다.
인도는 이미 비축량 없이도 수소 생산의 6~70%를 감당할 수 있는 태양광, 풍력에너지의 생산량을 보유하고 있는 국가다. 대표적으로 구자라트, 마하라슈트라, 카나타카 3개 주를 꼽을 수 있다. 아바다 그룹과 토렌트 파워 등 여러 그린수소 생산 기업들은 3개 주를 비롯한 여러 지역에 발전 단지를 구축하고 그린수소 생산을 준비하고 있다.
니사르 샤 토렌트 파워 부사장. [사진=기후솔루션] |
◆정부 지원으로 수소 가격 8~10% 이상 보조
정부의 전폭적인 지원 역시 인도의 그린수소 전망이 긍정적인 배경으로 작용한다. 정부가 제공하는 정책 지원은 주간전력요금 송신비용 면제, 에너지뱅킹 시스템 등 크게 두 가지다. 재생에너지의 생산지와 소비지가 달라서 발생하는 주(state)간송전비용은 기업엔 큰 부담이다. 정부는 2030년 이전에 설립된 수소 공장에 한해 송전비용을 25년간 면제하는 혜택을 제공하면서 기업의 비용 부담을 줄였다.
에너지뱅킹 시스템은 간헐적이고 가변적인 재생에너지의 특징을 이용해 잉여 전력을 저장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 특정 시간에 생산된 잉여 전력을 계통에 공급하면서 신재생에너지 발전이 적은 시간이나 환경에 전기가 끊기지 않도록 하는 시스템이다.
정부의 이러한 정책들은 결국 수소 생산가와 직결된다. 일례로 토렌트 파워는 그린수소와 그린암모니아 인프라를 1단계로는 100 KTPA(연간킬로톤), 2단계로는 2030년까지 400 KTPA를 달성하기로 했다. 생산을 위해 토렌트 파워는 정부로부터 3년 간 생산 관련 인센티브를 받는다.
니사르 샤 토렌트 파워 부사장은 "이 인센티브는 수소 가격의 8% 이상을 보조할 것이다. 정부가 그린수소 생산을 위해 제공하는 직접적인 보조금 외에도 주 정부의 인센티브가 있기 때문에 국제 시장에 공급에 상당한 경쟁력이 있을 것"이라고 전망했다.
이들 기업이 생산하는 그린수소는 80% 가량이 수출용이다. 에너지를 구입하는 외국 기업 입장에선 결국 수소 구매 결정에 '가격'이 큰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정부의 인센티브가 필수적이라는 설명이다.
특히 한국은 국제재생에너지기구(IRENA)가 인정한 수소가 '비싼' 나라이기에 한국 기업들도 인도 시장을 주의깊게 보고 있다. IRENA 추정 2050년 한국의 그린수소 생산비용은 최대 ㎏ 당 4.1달러에 달할 전망이다. 이에 포스코, 현대자동차 등도 인도 시장에 진출하며 수소 공급망 구축에 나서고 있다.
◆"수소 무역국 사이 '청정 수소' 인증 체계 만들어야"
인증 측면에서도 정부의 역할이 크다. 인도는 유럽과 아시아를 진출할 수 있는 지정학적인 조건 덕분에 수출에 매우 유리한 국가다. 수출이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생산한 수소에 대한 청정성 인증이 필수적일 수밖에 없다. 인도는 수소 1kg 당 온실가스 배출량 2kg 이하를 그린수소로 규정하고 있다. 또한 그린수소를 생산하는데 사용된 '그린에너지(재생에너지)'가 어디서 생산됐고 사용됐는지를 검토하는 배치 작업도 이루어진다.
디팍 아그라왈라 아바다 그룹 부사장은 "수출을 위해서는 수출 관계에 있는 나라 사이에 청정수소에 대한 정의가 일치해야 한다"고 말했다. 인도가 한국에 그린수소를 수출하기 위해서는 한국의 청정수소 인증을 받아야 하고, 한국 역시 인도의 그린수소 인증을 만족해야 한다는 것이다.
디팍 부사장은 "인도는 다른 색깔의 수소가 아닌 오직 그린수소에만 초점을 맞추고 있으며 그에 대한 기준도 발표될 예정"이라고 말했다.
한국도 청정수소인증제 운영을 앞두고 있다. 이르면 올 3월부터 운영되는 청정수소인증제는 '수소 1㎏당 온실가스 배출량 4㎏ 이하'인 것을 청정수소로 보고 수소 등급을 1~4단계로 나눠 온실가스 감축을 유도한다. 6월에는 청정수소 발전입찰시장이 개설될 예정이다.
왼쪽부터 부샨 요게슈쿠마르 샤 토렌트 파워 대리, 하리쉬 자야람 하이젠코 그린에너지스 부사장, 니사르그 바임라 샤 토렌트 파워 부사장, 아난트 쿠마르 인도 신재생에너지부 과장, 켄지 코노 ACME 지역 헤드, 라비 칸트 베르마 SPDA 관리위원회 위원, 앙키트 굽타 SPDA 파워 부문 담당, 디팍 아그왈라 아바다 에너지 부사장. [사진=인도대사관] |
◆한국 시장과 녹색 무역 기대…"한-인도 상호작용 기관 필요"
인도 기업들은 이날 발표에서 모두 한국 기업과의 파트너십 모색, 동반 성장을 목표점으로 꼽았다. 디팍 부사장은 "당장은 양 국가 간의 산업별 협회나 기업을 대상으로 업무협약을 맺고 상호 교류를 통한 기회를 모색하는 것이 먼저다. 5월 인도 대선 이후 국가 간의 MOU를 기대해볼 수 있지 않을까 기대한다"며 "그 다음은 한국의 수소 입찰시장에 대한 참여 제한을 풀어주는 것이다. 인도 기업들이 입찰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해준다면 더 많은 일종의 '녹색 무역'을 진행할 수 있다"고 말했다.
두 기업은 인도 내 재생에너지 기업들이 모인 지속가능한 프로젝트 개발협회(SPDA) 회원사이기도 하다.
SPDA에는 40여개의 기업이 속해 있으며 인도 내 신재생에너지 프로젝트의 80%에 이 회원사들이 관여하고 있다.그린수소를 비롯한 재생에너지 개발사와 정부 간의 가교 역할을 하며 원활한 비즈니스의 진행을 돕는다. 해외기업과의 소통 창구 역할도 한다.
인도에는 수소(H2) 얼라이언스가 별도로 있지만 SPDA는 수소뿐 아니라 전기, 기술, 공급망, 인프라, 인증제도까지 총괄하는 역할을 하면서 차별점을 만들어 나간다. 한국에는 SPDA와 비교할만한 협회 수준의 프레임워크는 아직 없다.
디팍 부사장은 "SPDA는 시장 조성자이자 정부와 국가 등 여러 이해관계자들을 하나의 테이블에 모은 하나의 플랫폼"이라며 "에너지 사업에 수반되는 대부분의 어려움은 규제과 정부 승인에서 발생하기 때문에 참여 기업들이 정부와 협력해 정책 방향을 수정할 수 있도록 지원한다"고 설명했다. 이어 "한국에서도 에너지 생산 주체들끼리 상호작용할 수 있는 하나의 기관이 생긴다면 외국과의 튼튼한 매개체가 될 수 있을 것"이라고 조언했다.
beans@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