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자원공사, 전국 37개 댐 물관리…홍수조절 94% 담당
장마철 앞서 61억톤 규모 물그릇 확보…소양강댐 2.1배
'디지털 트윈' 최신 기술로 방류 시나리오 안전성 강화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지난 12일 오후 강변을 따라 버스를 타고 한참을 달려가자 웅장한 댐의 전경이 한눈에 들어왔다. 높이 72m, 길이 495m의 대청댐이다.
대청댐은 국내 다목적댐 가운데 세 번째 규모로 저수용량 14억9000㎥의 저수용량을 자랑한다. 대전과 청주를 경계로 하고 있어 대청댐이라 지었다. 대전쪽 시설물은 돌과 흙으로, 청주쪽 시설물은 콘크리트로 만들어진 복합구조 댐이다.
이날 오후 한국수자원공사 대청댐지사 직원들은 빗물 방류 작업이 한창이었다. 오는 21일 시작되는 올해 홍수기를 앞두고 댐 수위를 낮춰야 하기 때문이다.
◆ 24시간 돌아가는 '물관리 종합상황실'…"올해 빗물 61억톤 받겠다"
물을 '수자원'으로 부르는 이유는 말 그대로 물이 수돗물과 농업용수, 수력발전 등 다양한 자원으로 활용돼기 때문이다. 그만큼 소중한 자원이지만 장마철 홍수에 대비하기 위해서는 흘려보낼 수밖에 없다.
댐의 기능에는 물을 이용하는 이수(利水)만 있는 것이 아니다. 장마철 집중호우를 가둬 홍수를 대비하는 치수(治水) 기능도 중요하다.
대청댐의 경우 본댐은 초당 최대 1만t(톤)의 물을 방류한다. 2014년 극한홍수를 대비해 신설된 비상여수로는 초당 최대 8000톤의 물을 내보낸다.
대청댐 방류 모습(자료사진) [사진=한국수자원공사] 2024.06.13 sheep@newspim.com |
지난 12일 오후 4시 기준 대청댐 수위는 해발 표고 72.46m였다. 윤재찬 대청댐지사장은 "20일까지 수위를 71.3m 수준으로 낮출 예정이다"라며 "(수위를) 더 낮출지는 이후 기상 상황, 강우 상황 등을 감안해 판단할 것"이라고 말했다.
물을 가둬 하류 하천 범람에 대응하는 댐의 기능은 '홍수조절능력'이라고 한다. 전국 댐과 저수지 1만7000여 개 가운데 수자원공사가 관리하는 37개 댐이 전국 홍수조절능력의 94%를 차지한다.
수자원공사가 지난 4월 전사경영회의를 시작으로 5~6월 선제적 비상체계를 가동, 전 유역 주요 댐 예찰에 나서 다목적댐 시설물 안전을 확인하는 등 홍수기 대비에 전사적 노력을 기울이고 있는 이유다.
수자원공사의 홍수기 대응은 '빅보드'가 갖춰진 대전 본사 물관리 종합상황실을 중심으로 돌아간다.
공사 홍수 대응의 콘트롤타워인 종합상황실 화면에 위성데이터, 댐·보·녹조 상황을 보여주는 폐쇄회로(CC)TV 화면, 수자원공사가 담당하는 56개 수자원 시설의 모니터링 화면 등이 종합 반영된 실시간 홍수대응 시스템이 나타났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상황실 바로 옆에는 수량 및 수력발전 담당 직원 60명, 수질수환경 담당 60명이 근무하고 있다"고 설명했다. 이들은 365일 24시간 교대근무를 이어가며 홍수기 대비 업무를 수행 중이었다.
[대전=뉴스핌] 양가희 기자 = 한국수자원공사의 물관리 종합상황실 2024.06.13 sheep@newspim.com |
수자원공사는 올해 홍수기(6월 21일~9월 20일)에 앞서 전국적으로 약 61억톤의 홍수조절용량을 확보할 계획이다. 홍수기 전까지 전국 댐에 빗물을 채울 수 있는 빈 공간, 즉 '물그릇'을 확보한다는 의미다. 61억톤은 국내 최대 저수량을 자랑하는 소양강댐(29억톤)의 2.1배 수준이다.
수자원공사는 "최근까지 국내외 각지에서 이례적인 폭우가 지속된 만큼 선제적 수위조절을 통해 올해 홍수조절용량을 설계 홍수조절용량 21.8억톤의 3배 수준으로 늘리고 극한 홍수에 대비할 계획"이라고 설명했다.
◆ 수자원공사, '디지털 가람 플러스'로 방류 결정·홍수 대응 체계 갖춰
댐에 빈 공간을 만들기 위해서는 기존 저장된 물을 차근차근 방류해야 한다. 댐 방류 결정은 수자원공사가 1차 분석하고 홍수통제소가 최종 승인해 이뤄진다.
상류 댐에서 물을 내보내면 하류 하천이 범람해 인근 주민 등이 피해를 입을 수 있어 사전에 얼마나 정확하게 방류 영향을 파악할 수 있는지가 중요하다.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대청댐 방류 시나리오를 한국수자원공사 '디지털 가람 플러스'로 시각화한 화면 2024.06.13 sheep@newspim.com |
방류 분석에 활용되는 기술이 공사 자체 디지털트윈 플랫폼 '디지털 가람 플러스'다. 환경부가 운영하는 디지털트윈 플랫폼과는 일부 자료를 공유하지만, 완전히 다른 시스템이다.
두 플랫폼 간 차이에 대해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디지털 가람 플러스는) 공사가 관리하는 댐과 이런 댐의 영향을 받는 하천만 관리할 수 있다"며 "환경부는 전 국토 하천을 포함한 플랫폼을 별도 구축했다"고 설명했다.
디지털 트윈은 가상세계에 실제 사물을 3차원 모델로 구현해 실제 의사결정을 내리기 전 모의실험이 가능하 만든 기술이다.
방류된 물이 하류 하천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확인할 때 디지털트윈을 통해 하천의 수위가 얼마나 높아질지 등을 예상하고 시각화할 수 있다.
또 과거 홍수 상황을 재현하거나 기존 홍수 위험지역 정보를 3차원 고해상도 화면에 덧입혀 보여주는 기능도 마련됐다. 그간 일어났던 홍수 피해의 원인, 후속 대처 진행 상황 등의 정보도 플랫폼에 표시돼 빠른 홍수 대응이 가능하도록 만반의 준비를 갖춘 환경이었다.
'디지털 가람 플러스'에는 공사가 관리하는 댐·하천 인근 전국 CCTV 화면도 연결돼 있었다. 플랫폼에는 CCTV 화면을 인공지능(AI)이 분석해, 사람이나 차량이 홍수기 수위 상승으로 출입 통제가 이뤄지는 하천 인근 구역에 출입하면 이들의 움직임을 자동 감지하고 담당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 마련될 예정이다.
한국수자원공사 디지털트윈 물관리 플랫폼 '디지털 가람 플러스'의 CCTV 연결 화면 [자료=한국수자원공사] 2024.06.13 sheep@newspim.com |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팝업 형태로 이 같은 정보를 알려주게 되면 업무 담당자는 육안으로 한 번 더 확인하고 필요한 조치를 할 수 있다"며 "(객체분석은) 아직 기술 개발 마무리 단계다. 내년 홍수기부터 현업에서 사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어 이 관계자는 "도심지 골목길에 물이 차오를 경우 이를 보여주는 CCTV가 있다면 AI 화면 분석을 통해 침수 자동 감지 기능도 갖출 수 있다"며 "이는 각 지방자치단체 CCTV를 활용해야 하기에 지자체가 먼저 적용 희망 의사를 밝혀야 기술지원 등 협업할 수 있다. 희망 지자체가 있어 현재 관련 부분을 검토하고 있으나 확정된 바는 없다"고 덧붙였다.
수자원공사의 이 같은 CCTV 화면 분석 기능은 사우디에 수출할 예정인 디지털플랫폼에 적용될 계획이다. 공사는 현재 사우디 제2의 도시 제다시의 물관리 디지털트윈 플랫폼 구축사업 진행을 앞두고 있다.
수자원공사 관계자는 "세계 전역에서 물 재해가 늘어나고 있다. 한국도 올해 강수량이 평년보다 높은 만큼 전과 다른 수준의 홍수기 대비가 필요하다"며 "올해 디지털트윈 기술을 본격 활용하고, 관계기관과 공조를 강화해 홍수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안전하게 지키겠다"고 밝혔다.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