빗썸, NH농협은행서 KB국민은행으로 제휴 변경 파장
하나·우리, 케이뱅크와 계약 만료 앞둔 업비트 주목
여전한 거래 안전 의문점은 변수, 보안 시스템 개발 관건
[서울=뉴스핌] 채송무 기자 = 올해 하반기 법인의 투자가 허용되면서 가상자산 시장의 확대가 전망되는 가운데 은행들은 가상자산 거래소와의 제휴 경쟁을 가속화하고 있다.
당초 은행들은 안전성 문제 때문에 가상자산 거래소와의 협력에 다소 소극적이었다. 그러나 최근에는 분위기가 달라지고 있다. 법인들의 가상자산 투자가 허용되는 하반기 이후 가상자산 시장이 크게 성장할 가능성이 높기 때문이다.
![]() |
비트코인 등 암호화폐 [사진=블룸버그] |
자금력이 큰 법인이 가상자산 거래에 참여할 경우 새로운 유동성이 공급되고 이는 은행들에 저비용 자산을 늘려 새로운 가능성이 될 전망이다. 거래소의 이용자가 증가할수록 은행의 수신액과 고객도 확대되는 장점도 있다.
현재 가상자산거래소 1위인 업비트는 케이뱅크와 계약하고 있고, 코인원은 카카오뱅크, 코빗은 신한은행, 고팍스는 전북은행이 맡고 있는 가운데 2위인 빗썸이 제휴은행을 NH농협은행에서 KB국민은행으로 변경한 것은 이같은 은행의 입장 변경을 상징한다.
가상자산거래소와 제휴를 하고 있지 않은 하나은행과 우리은행은 오는 10월 업비트와 케이뱅크의 계약 만료에 주목하고 있다.
물론 업비트가 현재 제휴 관계인 케이뱅크와의 계약을 종료하고 새로운 협력 관계를 선택할지 여부는 미지수다. 업비트와 하나은행이 제휴관계를 맺을 것이라는 일부 보도와는 달리 구체적인 사항은 없는 것으로 확인됐다. 업비트와 하나은행, 케이뱅크 모두 이에 대해 부인했다.
두 은행은 아직은 제휴관계에 대해 내부 검토 초기 단계지만, "가상자산 거래소와의 다양한 협력을 검토하고 있다"고 의지를 보이고 있다.
빗썸과 더불어 가상자산 거래에 절대적 위치를 차지하고 있는 업비트와의 협력 관계를 맺는 것은 비은행 분야의 성장이 절실한 하나·우리은행에 적지 않은 도움이 될 수 있어 경우에 따라 하반기에 업비트와의 제휴를 놓고 케이뱅크와 함께 세 은행이 경쟁일 벌일 수 있다.
업비트가 은행 제휴를 바꿀지 여부는 향후 본격화될 법인 투자에 얼마나 적합한 능력을 갖췄는지에 따라 달라질 전망이다. 기존 은행은 전통적으로 법인과의 거래에 강세를 보이지만, 케이뱅크도 만만치 않은 능력을 갖고 있다.
케이뱅크 관계자는 "케이뱅크는 거래하고 있는 법인의 수가 지난해 말 6000개를 넘겼고, 예치된 법인 예수금도 6000억원에 이른다"라며 "지방검찰청과 세무서 등 국가기관 49개도 케이뱅크에 가상자산 법인 실명계좌를 운영하고 있다"고 말했다.
업비트 측은 현재 관행으로 이어지고 있는 1은행-1거래소 제휴 제재가 풀리기를 기다리는 모습도 보인다.
한편, 은행들의 가상자산거래소와의 협력 관계가 더 본격화되려면 거래 안전성이 높아져야 한다는 과제도 있다.
한 금융기관 관계자는 "아직은 출처가 불분명한 자금이 세탁용으로 들어올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다"며 "이 경우 금융기관이 책임을 져야 하는 상황이고, 이는 은행의 신뢰도를 꺾을 수도 있다. 가상자산과의 제휴를 배제하지는 않지만, 아직은 신중한 입장"이라고 말했다.
dedanhi@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