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장관 "예술의전당 전속단체 필요" 소신발언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국립예술단체 지역 이전을 두고 확고한 구상을 밝혔다. 장기적으로 법인화해 각 단체의 성격을 고려해 지역으로 이전하고, 예술의전당 상주단체를 만들어 청년 일자리를 늘리겠단 계획이다.
유인촌 장관은 21일 경기도 가평군 음악역1939 기자들과 만나 국립예술단체 지방 이전과 관련해 이같이 밝혔다. 서울예술단의 광주 국립아시아문화전당 상주단체 이전을 둘러싼 잡음이 지속되는 중에 국립예술단체 운영에 대한 장기적인 계획을 직접 설명했다.
이날 유인촌 장관은 국립국악원장 내정 의혹을 둘러싼 예술계 논란을 언급하며 지역 이전에 반대하는 국립예술단체들 얘기를 꺼냈다. "국립단체 지방 보낸다고 그랬더니 지방을 키워야지 국립이 내려가 되냐 이게 정말 현실을 모르고 하는 얘기"라면서 안타까워했다.
![]() |
[서울=뉴스핌] 양진영 기자 = 유인촌 문화체육관광부 장관이 24일 세종 정부세종청사 15동 대회의실에서 열린 확대기관장회의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문화체육관광부] 2024.01.24 jyyang@newspim.com |
유 장관은 "지방 가봐야 사람이 없다. 그 지역에 있는 사람들이 하고 싶어도 사람이 없다. 지금은 내려가서 섞어주든가 그 외의 지역, 그나마 있는 데도 광역시밖에 없다. 좋은 인적 자원이 내려가서 그걸 중심으로 모인다고 생각하면 못내려갈 이유가 없다"고 말했다.
이어 "청년교육단원 발대식 때 어디서 왔느냐니까 목포에서, 전주, 광주, 남원에서 왔다고 하더라. 남원이 국악의 성지다. 거기서 하지 뭐 하러 힘들게 서울까지 왔냐고 했다. 거기서 학교 나온 애들인데 앞으로는 거기서 하게 해줄 거다. 서울 애들이 내려가게 해주고 거기가 본부가 될 거다. 안되면 청년예술단을 보내면 된다. 중심이 내려가면 나머지 있는 서울에 있는 애들도 가게 될 거다. 처음이라 힘들지 조금 지나면 괜찮다"고 했다.
지역 문화균형발전에 대한 아픈 현실도 꼬집었다. 유 장관은 "우리 입장에선 매번 말로만 지역 균형 발전, 지역 문화균형을 얘기하고 액션으로 한 적이 없다. 작년부터 올해 지역 대표 단체 벌써 40개 이상씩 계속 뽑았다. 시립, 도립 활동하는 친구들과도 섞을 거다. 남원에 국립창극단 하나 만들면 된다. 국립남원국악원이 거기 있다. 시립창극단 묶어 갖고 국립 붙이고 만들면 된다"면서 의지를 보였다.
각 지역의 대표극장에 상주단체를 두는 제작극장 시스템 확대도 강조했다. 유 장관은 "예술의 전당은 전속 단체가 없다. 원래 이 정도의 규모의 공연장들은 전속 단체가 있어야 한다. 유럽에도 다 있다. 국립극장이 전당에 들어가있지만 전속단체는 아니다. 국립단체를 지역으로 이전하면 국립 아닌 전당 소속 오페라단, 발레단, 합창단, 오케스트라를 새로 뽑게 할 것"이라며 파격적인 구상을 밝혔다. 예술의전당을 제작극장으로 발전시킨다는 내용은 지난 6일 발표한 '문화한국 2035'에도 포함된 사항이다.
무엇보다 진입장벽에 가로막힌 청년들의 일자리를 획기적으로 늘리겠단 취지다. 유 장관은 "진입을 하고 싶어 하는 젊은이들은 기존에 있는 단체는 정년까지 있으니까 자리가 없다. 오죽하면 청년예술단을 만들었겠나. 전당에 전속된 국립 아닌 프로젝트 베이스의 그룹이 만들어지면 그만큼 일자리가 생기는 거다"라고 강조했다. 더불어 예산을 협의할 때도 일자리 창출과 지역 소멸 방지와 같은 정책목표와 결합해 좋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다는 장점도 언급했다.
국립아시아문화전당이 있는 광주광역시로 이전을 앞둔 서울예술단에 대해서도 "국립아시아예술단으로 가면서 상주단체가 되는 것"이라며 "서울예술단은 지금 국립은 아니다. 국립화해서 가는 거고 다른 지역은 협의하고 있다. 국립예술단체가 가려면 지역에 공연장, 연습장, 사무실 이런덴 확보돼야 한다. 지자체와 의논이 필요하다"고 말했다.
국립예술단체 법인화 예고도 분명히 했다. 유 장관은 "법인으로 한다는 얘기는 지자체가 땅은 대고 말하자면 건축비의 일부 대고 우리가 사업비 혹은 제작되는 것들에 대한 비용을 국가가 대주는 형식으로 하는 거다. 대신 국립을 다 붙여서 하겠다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각 지역의 상주극장, 상주단체 시스템을 만들고 대표 작품을 만들게 된다는 계획이다.
jyyang@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