소규모 현장은 민간기술지도사업 연계
[세종=뉴스핌] 양가희 기자 = 최근 화재와 도로·터널 붕괴 등 대형 사고가 잇달아 발생하면서 정부가 건설 현장 안전조치 집중 점검에 나섰다.
고용노동부와 한국산업안전보건공단은 23일 '제8차 현장점검의 날'을 맞아 건설 현장 안전조치를 집중 점검한다고 밝혔다.
이번 점검은 지방고용노동관서별 위험 현장을 선정해 감독·점검, 기관장 현장 방문, 캠페인·교육 등을 실시한다. 건설현장에서 안전에 대한 긴장감이 느슨해지지 않도록 집중적으로 관리한다.
![]() |
고용부는 "건설현장에서는 목재, 단열재 등 불에 잘 타는 물질들이 많으므로 용접‧용단 작업을 할 때는 항상 소화기를 배치하고 불꽃의 비산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를 설치해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면서 "굴착작업 시에는 토사, 암반 등의 붕괴위험이 있으니 지반의 상태를 꼼꼼히 조사하고 적합한 작업계획을 수립해야 한다"며 "철골구조가 대형화‧고층화 및 복잡화됨에 따라 추락위험을 막기 위해 안전대 부착설비 설치 및 안전대 체결, 추락방호망 설치 등이 이루어져야 한다"고 했다.
산업안전보건공단은 "1억원 미만 소규모 건설현장은 상대적으로 안전에 대한 관심과 투자가 미흡할 수 있다"며 "공단의 민간기술지도 사업과 연계해 민간 전문기관이 주요 위험요인에 대해 집중적으로 기술 지원하도록 한다"고 했다.
최태호 산재예방감독정책관은 "정부는 최근 건설현장에서 잇따라 발생하고 있는 사고들을 엄중하게 보고 있다"며 "이러한 사고를 막기 위해 현장 중심의 강력한 감독·점검을 이어 나갈 것"이라고 강조했다.
![]() |
sheep@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