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용회복·직무역량 강화로 미래 설계
[서울=뉴스핌] 이경화 기자 = 서울시는 20일 올해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 지원 계획을 발표했다. 시는 공동작업장, 공공일자리, 민간 일자리 등 총 1860개 일자리를 지원하고 신용회복, 직무역량 강화, 생애설계 컨설팅 등을 통해 단단한 자활·자립의 토대를 놓아준다는 계획이다.
서울형 노숙인 공공일자리는 단계적 지원을 통해 민간 일자리(경비·서비스업 등)로의 진입을 목표로 한다. 초기에 공동작업장에서 일하는 습관과 의지 형성을 돕고, 이후 공공일자리 시간제로 넘어가 최종적으로 민간 일자리로 전환되는 구조다.
![]() |
2025년 노숙인일자리사업 취업지원우수사례공유회 [사진=서울시] |
지난해 노숙인 일자리 지원을 통해 1881명이 공공·민간 일자리 경력을 쌓았으며, 이 중 887명(47.2%)이 민간 일자리 취업에 성공했다. 이들 중 91명을 대상으로 조사한 결과, 85%가 공공일자리 사업이 대인관계 향상에 도움이 됐다고 답했다.
올해 노숙인 일자리는 공동작업장 280명, 공공일자리 680명, 민간 일자리 900명을 목표로 추진된다. 시는 근로 의지가 있는 노숙인을 발굴해 시간제·전일제로 일할 수 있도록 전환을 도와준다.
시는 내달부터 '찾아가는 일자리 이동상담 서비스'도 운영한다. 서비스는 서울역과 영등포역 일대를 중심으로 구직 상담, 이력서 작성·현장 연계를 제공할 예정이다.
서울노숙인일자리센터는 다양한 교육 프로그램을 제공해 안정적인 일자리를 확보하도록 지원하고 있다. 이를 통해 근속 유지·경력 개발을 돕겠다는 방침이다.
한편 지난 12일 시는 자립과 자활의 성공 사례를 공유하기 위한 '2025년 노숙인 일자리사업 우수사례 공유회'를 가졌다.
서울시 동부병원 입원 병동에서 일하는 윤 모 씨(57세)는 사업 실패로 노숙을 하게 됐지만 노숙인 자활시설 시립24시간 게스트하우스의 도움으로 공공일자리에서 일하게 됐다. 윤 씨는 이제 집을 마련하겠다는 목표를 가지고 저축 중이며 미용기능사도 취득, 답십리 요양원에서 정기적으로 미용봉사 활동도 하고 있다.
김미경 서울시 자활지원과장은 "공공일자리는 단순히 노숙인의 소득을 보전하는 것이 아니라 다시 사회로 걸어 나갈 용기를 키워주는 디딤돌 같은 사업"이라며 "단기 유휴일자리 발굴, 사례 공유, 취업지원․금융 유관 기관 등 연계를 통해 노숙인의 민간 취업 활성화, 자활을 지속적으로 지원하겠다"고 말했다.
kh9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