저성장·저출생·고령화 극복 위해 여성 경제활동 참여 확대 해야
李, 공약서 여성 취업지원 확대 및 채용 기업 세제 지원 강화 약속
[서울=뉴스핌] 지혜진 기자 = 정부와 정치권이 저성장·저출생·고령화 문제 해결을 위해선 여성의 경제활동 참여 확대가 핵심이라는 데 공감대를 형성했다.
이재명 대통령도 대선 과정에서 ▲여성벤처기업 투자활성화 ▲여성과학기술인의 일·가정 양립 ▲경력보유 여성 취업 지원 확대 및 채용 기업 세제 지원 강화 등을 공약하는 등 관련 국정과제 로드맵 설립에도 속도가 붙을 전망이다.
국회 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여·야당 간사인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과 김성원 국민의힘 의원은 2일 국회도서관에서 '저성장·저출생·고령화 극복을 위한 여성기업 역할 강화 방안 정책토론회'를 개최했다. 이 자리에는 정부 측 김성섭 중소벤처기업부 차관도 자리했다.
![]() |
김원이 더불어민주당 의원. [사진=뉴스핌DB] |
김원이 의원은 인사말을 통해 "우리 사회가 지속가능한 발전을 이루기 위해선 그동안의 해법과는 전혀 다른 시각에서 접근해야 하고 그 중심에 여성이 있다고 생각한다"고 했다.
김성원 의원도 "여성 기업인이 활기차고 활력 넘치는 기업활동을 할 수 있도록 핀포인트 지원을 하겠다"고 했다.
김 차관은 "2030년부터 경제활동 인구가 본격적으로 감소한다는 전망도 나오는데, 이런 위기를 극복할 핵심 전략으로 많은 전문가들이 여성기업을 꼽고있다"면서 "여성기업은 여성임원, 여성직원 등을 채용하는 비율이 남성이 CEO인 기업보다 평균 3배 이상 높다고 한다. 여성 CEO들이 대한민국 경제에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했다.
이어 "여성이 잘 할 수 있는 특화분야를 계속해서 중기부에서 발굴하겠다. 펨테크(여성의 건강에 초점을 맞추기 위해 사용하는 소프트웨어, 진단, 제품 및 서비스)뿐 아니라 AI(인공지능), 딥테크 분야에서도 기업이 성장하도록 여성 전용 펀드라든지 연구개발(R&D) 정책자금을 늘리겠다"고 했다. 그러면서 "경력단절여성이 임신·출산·육아 후에도 안정적으로 경영할 수 있도록 시스템도 보완하겠다"고 덧붙였다.
◆ "여성 지원 대부분 근로자에 집중...사업주 지원도 필요"
발제자인 김보례 여성기업종합지원센터 여성경제연구소장은 여성기업의 특성으로 "소상공인비중이 97.46%(남성 93.46%)로 상대적으로 높다"면서 "매출액도 남성중소기업보다 적고 투자가 현저히 낮고 초기투자에 집중돼 있다"고 지적했다. 또한 "저출산·고령화 정책의 대부분이 여성근로자를 대상으로 한다"며 "사업주에 대한 지원도 필요하다"고 짚었다.
김 소장은 여성기업이 많이 진출한 식품제조, 뷰티 기업 혹은 난임, 여성건강 등 여성들이 잘 아는 분야를 여성 특화사업으로 육성할 필요가 있다고 제언했다. 이외에도 경력단절 여성들의 창업지원, 여성기업인들에 대한 일·생활 균형 지원이 필요하다고 했다.
이날 토론자로 나선 강문영 해낸다컴퍼니 대표이사는 "저출생 개선을 위해서는 학령기 부모들의 근본적인 근로문제가 해결돼야 한다"며 "실제로 자녀 출산보다 자녀 초등 입학 때 퇴사율이 더 높다"고 꼬집었다. 김 대표이사는 "그런데 모든 저출생 정책은 출산과 미취학 아동 가정에 집중되어 있다"며 "그리고 정책의 수립에는 당사자의 입장을 꼭 반영해 주시면 좋겠다"고 제언했다.
heyjin@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