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상욱 기자 = 프로야구 LG 트윈스를 1994년 정규시즌·한국시리즈 통합 우승으로 이끈 '자율야구'의 선구자 이광환 전 감독이 2일 오후 3시 13분, 향년 77세로 별세했다.
고인은 지병인 폐 질환을 치료하기 위해 제주도에서 요양하던 중 폐렴 증세가 악화돼 병원에 입원 치료 중 세상을 떠났다. 중앙고와 고려대를 졸업한 그는 실업팀 한일은행과 육군 경리단에서 내야수로 뛰었으며 1977년 모교인 중앙고에서 지도자 생활을 시작했다.
![]() |
1994년 LG 통합우승 이끈 이광환 전 감독. [사진=LG] |
1982년 프로야구 원년 OB 베어스 타격 코치로 데뷔해 팀의 창단 첫 우승을 도왔다. 1986~87년 일본 세이부 라이온스와 미국 세인트루이스 카디널스에서 지도자 연수를 받으며 선진야구를 익혔다. 이 경험은 이후 '강압보다 자율'을 강조하는 그의 야구 철학에 결정적 영향을 끼쳤다.
1989년 OB 지휘봉을 잡은 뒤 1992년부터는 LG 사령탑에 앉은 그는 1994년 LG를 창단 첫 정규시즌·한국시리즈 통합우승으로 이끌며 '신바람 야구' 전성시대를 열었다. 당시 LG는 류지현·김재현·서용빈 '신인 3총사'를 중심으로, 한대화·노찬엽 등 베테랑과 이상훈·김용수 등 강력한 투수진이 조화를 이루며 팬들의 열광을 이끌었다.
특히 그는 선수 개개인의 자율성과 창의성을 강조하는 '자율야구'와, 투수 분업 체계인 '스타 시스템' 등 당시로선 획기적인 운영 방식을 도입해 KBO리그에 새로운 지평을 열었다는 평가를 받는다.
이후 한화 이글스, 우리 히어로즈(현 키움) 등을 이끌며 KBO리그 통산 608승을 거뒀다. 2010년부터는 생활체육 학생들로 구성된 서울대 야구부에서 10년간 순수 아마야구를 지도했다.
야구 발전을 위한 고인의 헌신은 지도자 경력을 넘어선다. 1995년 제주 서귀포에 사재를 털어 야구박물관을 세운 그는 소장하던 야구 관련 유물 3000여 점을 전부 기증했다. 또 KBO 육성위원장과 베이스볼 아카데미 원장을 맡으며 유소년·여자야구 발전과 지도자 양성에도 힘썼다. 올해 3월 LG 개막전에서 시구한 것이 그의 공식 석상 마지막 모습이 됐다. 생애 마지막까지 그는 야구와 함께였다.
빈소는 제주 제주시 부민병원 장례식장 6호실에 마련됐으며 발인은 4일 오전 9시다.
psoq1337@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