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최현민 기자 = 국토교통부는 공간정보를 이해하고 분석하는 인공지능 기술인 공간정보 AI(Geo-AI)의 기반기술 개발을 완료하고 오는 8월부터 이를 상용화하기 위한 연구개발(R&D)에 본격 착수한다고 29일 밝혔다.
![]() |
공간정보 인공지능(Geo-AI) 설명자료 [사진=국토부] |
Geo-AI는 공간정보에 특화된 인공지능 기술로서 텍스트 분석을 넘어 공간적(지도·건물·교통 등), 시간적(과거·현재·미래 등) 요소까지 AI가 이해·분석해 최적의 응답을 제시하며 챗봇형 AI와는 크게 3가지 차별성이 있다.
Geo-AI는 '3차원 지도 기반 시각화 응답 기술'이다. 지역의 유해시설이 없는지 물으면 공공데이터를 분석해 해당 시설 위치를 3차원으로 지도 위에 시각화해 보여준다.
'공간적 맥락과 관계를 이해하는 추론 능력'도 갖추고 있다. '출근 시간에 왜 이 구간이 막히냐'는 질문에 거리·방향·시간 및 실시간 교통 정보 등을 종합 분석한 객관적 자료에 기반한 논리적 응답을 제시한다.
'다양한 공간데이터를 융합 활용하는 지능형 기술'도 탑재돼 공공 중심의 도시개발 계획, 도시인프라(SOC, 건물 등), 교통, CCTV, 기후 데이터까지 각각 다른 형식의 공간정보를 분석해 정확하고 신뢰성 높은 답변을 제공한다.
Geo-AI 기술은 스마트기기·내비게이션 등에서 인터넷이나 앱으로 접속만 하면 언제 어디서든 바로 이용이 가능하다.
일반 국민은 Geo-AI를 활용해 노부모를 위한 병원이 가까운 아파트나, 반려견과 함께 살기 좋은 인프라(공원 등)가 잘 갖춰진 지역 등 개인의 생활조건에 맞는 최적의 매물을 쉽게 확인할 수 있다.
국토부는 Geo-AI 기술의 상용화를 앞당기기 위해 현재까지 개발된 기술성과(자연어 기반 검색, 지도 시각화 기능)를 공간정보오픈플랫폼(V-World)에 시범운영하기 위한 방안을 마련할 예정이다.
min7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