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관세 해결 위해 온 힘 다한 정부와 국회 노력에 감사"
한미 FTA '무관세' 효과 사라져..."한국산 車 경쟁력 제고가 중요한 상황"
[서울=뉴스핌] 김승현 기자 = 현대자동차와 기아는 31일 한미 정부의 한국산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 15% 합의 결정에 대해 "대미 관세 문제 해결을 위해 온 힘을 다한 정부 각 부처와 국회의 헌신적 노력에 깊이 감사드린다"고 밝혔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이날 관세 협상 결과 발표 후 "현대차·기아는 관세의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다각적 방안을 추진하는 동시에 품질 및 브랜드 경쟁력 강화와 기술 혁신 등을 통해 내실을 더욱 다져 나갈 계획"이라고 전했다.
![]() |
[워싱턴D.C. 로이터=뉴스핌] 24일(현지시간) 미국 워싱턴 D.C. 백악관 루즈벨트룸에서 정의선 현대자동차 그룹 회장이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마이크 존슨(공화루이지애나) 미국 연방 하원의장, 제프 랜드리 루이지애나 주지사가 자리한 가운데 연설하고 있다. |
트럼프 대통령은 30일(현지시간) 미국 백악관에서 한국 무역협상단을 접견한 뒤, 자신의 소셜미디어 '트루스소셜'에 "미국과 한국이 완전하고 포괄적인(Full and Complete) 무역합의를 했다"고 전했다.
트럼프 대통령은 "한국에 대해서는 15%의 관세를 부과하기로 합의했으며, 미국산 제품에는 한국 측이 어떤 관세도 부과하지 않기로 했다"라고 알렸다.
이날 협상 결과 상호관세가 아닌 품목별 관세를 적용받던 자동차에 대한 관세율도 15%로 최종 결정됐다.
한국은 지금까지 2.5%의 관세를 적용받았던 일본과 달리 한미자유무역협정(FTA)에 따라 무관세를 적용받아왔다. 이에 따라 한국은 일본이 적용받는 관세율 15%보다 2.5%p(포인트) 낮은 12.5%를 적용받아야 하는 게 아니냐는 목소리가 컸다.
김용범 대통령실 정책실장은 이날 브리핑에서 "12.5%를 마지막까지 주장했지만 거기까지였다"며 "(12.5%를 관철하려면) 여러 틀이 흔들려서 (타결했다)"고 말했다.
현대차·기아 관계자는 한미 FTA 관세효과가 사라진데 대한 대응에 "15% 관세가 적용됨에 따라 한국산 자동차의 경쟁력 제고가 중요한 상황"이라며 "현대차·기아는 다각적 방안을 추진해 관세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 최선을 다할 것"이라고 밝혔다.
kimsh@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