잇단 지표 부진에도 강세 행진, 6400 근접
BofA "고객사 컨센서스 골디락스 시나리오"
소매업 큰 폭 강세, '연준만 믿는다' 사례
이 기사는 8월 11일 오전 10시46분 '해외 주식 투자의 도우미' GAM(Global Asset Management)에 출고된 프리미엄 기사입니다. GAM에서 회원 가입을 하면 9000여 해외 종목의 프리미엄 기사를 보실 수 있습니다.
[서울=뉴스핌] 이홍규 기자 = 미국 주식시장이 잇단 경제지표 부진에도 불구하고 강세 행진을 이어가고 있다.
경기가 뒷걸음질해도 결국 연방준비제도(연준)가 정책금리를 인하해 급격한 하강을 막아줄 것이라는 이른바 연준의 지원 사격을 전제로 한 '골디락스 시나리오' 베팅이 열기를 더하고 있다.
◆골디락스 기대 고조
지난주 미국 주식시장은 주가지수 S&P500 기준 6월 이후 최고의 주간 성과를 냈다. S&P500은 한 주 2.4% 올라 6400선에 재차 다가섰고 나스닥종합주가지수는 3.9% 상승해 신고가를 경신했다. 다우존스 산업평균지수는 1.4% 올랐다.
![]() |
미국 주요 주가지수 및 자산군별 주간(WEEK) 성과 [자료=에드워드존스] |
![]() |
미국 S&P500 각 업종의 기간별 성과(1W은 주간, 관련 ETF 기준) [자료=코이핀] |
한 주 동안 8월1일의 '고용통계 쇼크'를 딛고 투자자들의 위험선호 심리가 크게 고조된 게 전문가들의 눈길을 끌었다. 고용통계에 이어 경제 우려를 가중한 지표들이 잇달아 발표됐음에도 불구하고 나타난 현상이다.
예를 들어 지난주 공개된 미국 서비스업 체감경기 지표에서는 스태그플레이션 위험이, 주간 실업수당 청구건수 통계에서는 고용시장 악화 신호가, 소비자 기대조사에서는 인플레이션 기대치 상승 등이 파악됐다.
골디락스 내러티브가 다시금 주도적인 시각이 된 금융시장에서는 위험선호 심리가 광범위하게 확산됐다. 비트코인 시세는 단기 하락세를 멈춰선 한편 하이일드 채권 스프레드는 5거래일 연속 축소됐다.
연준의 정책금리 인하 기대감에 더해 미국 기업의 실적 호조와 인공지능(AI) 테마의 열기가 침체 염려를 압도하고 있다. 현재 연방기금 금리 선물시장에 반영된 9월 정책금리 인하 확률은 90%가량으로 올해 총 예상 인하 횟수는 2차례다.
뱅크오브아메리카(BofA)는 자사 고객 기관투자자들의 시장 전망이 '골디락스' 시나리오에 집중돼 있다고 했다. 또 고객의 60%가 '금리 하락=주가 상승' 시나리오를 예상 중이라고 했다.
◆"경제 위험 무시"
전문가들은 주식시장이 침체 우려를 '완전히 무시'하는 형국이라고 했다. 침체 염려를 시세에 반영 중인 국채시장과의 대조가 두드러진다는 지적이 나온다.
![]() |
연초 이후 미국 하이일드 회사채 스프레드 추이 [자료=코이핀] |
미국 장기금리 지표인 국채 10년물 금리는 지난 주 소폭 반등했지만 '고용통계 쇼크' 전보다 10bp 낮은 수준을 기록 중으로 최근 한 달 들어 하락세다. 반면 S&P500은 고용통계 발표 당일 낙폭 1.6%를 완전히 회복한 뒤 재차 신고가를 경신할 기세다.
밀러타박플러스의 맷 말리 전략가는 "비싼 주식시장에서 장기금리가 하락하는 현상은 주식에 약세 신호"라면서 "주식시장과 국채시장 사이 괴리가 발생할 때 경제 전망에 관해서는 국채시장이 거의 항상 맞다"고 했다.
리서치어필리에이츠의 크 응우엔 최고투자책임자(CIO)는 침체가 평균적으로 5년마다 발생한다는 사실은 현재 상황에 견줘볼 때 낙관론자들에게 불리한 확률이라고 했다.
지난주 소매주의 강세가 연준의 금리 인하에 대한 주식시장의 과신을 보여준다는 해석도 나온다.
미국 소매업 상장지수펀드(ETF) 'XRT(종목코드)'는 4%가량 상승했다. 통상적이라면 고용통계 악화를 의식한 소비 염려발 하락세가 나타날 법하지만 되레 연준의 금리 인하가 소비를 뒷받침할 것이라는 기대가 작동했다는 거다.
낙관론의 고조와 함께 주가 조정 관측도 부쩍 늘었다. 밸류에이션 지표에서 파악되는 시세 부담이나 변동성이 유독 큰 8월의 계절적 특징이라는 점에서다. 데이터트렉리서치의 니콜라스 콜라스 창업자는 "S&P500 PER(주가수익배율, 포워드)가 약 22배로 자신감이 최고 수준"이라고 했다.
![]() |
XRT의 최근 5일 변동률 추이 [자료=코이핀] |
▶②편에서 계속
bernard0202@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