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푸드 대미 수출 26개월 만에 감소
美 상호관세 직격탄…소비심리 위축
농식품부, 자금·보험지원 확대하기로
[세종=뉴스핌] 이정아 기자 = 도널드 트럼프 미국 행정부의 상호관세(15%) 여파가 본격화하면서 2년 넘게 이어⑴온 K-푸드 대미 수출 성장세가 26개월 만에 처음 꺾였다. 정부는 즉각 수출기업과의 긴급 간담회를 열고 자금 지원과 해외 판촉 확대 등 대응책 마련에 나섰다.
20일 한국무역통계진흥원에 따르면 지난달 농식품 대미 수출액은 1억3900만달러(약 1900억원)로, 1년 전보다 6.7%(1000만달러) 감소했다. 대미 농식품 수출이 줄어든 것은 2023년 5월 이후 2년 2개월 만이다.
대표 품목인 라면 수출액은 1400만달러로 17.8% 줄었고, 과자류도 2000만달러로 25.9% 감소했다. 소스류(-7.2%), 인삼류(-13.4%) 등도 뒷걸음쳤다. 상반기까지 대미 라면 수출이 전년 대비 40% 넘게 증가했던 것과 대비된다.
![]() |
송미령 농림축산식품부 장관은 1일 라면 수출 10억 달러 돌파를 기념해 라면 특화 편의점인 'CU 라면 라이브러리 1호점(홍대상상점)'에서 기업 관계자들과 만나 그간의 노고를 격려하는 한편 지속적인 우리 농식품의 수출 확대를 위해 외국인 소비자 등 현장 의견을 청취했다. [사진=농림축산식품부] 2024.11.01 plum@newspim.com |
올해 1~7월 누적 대미 농식품 수출액은 10억7300만달러로 전년 대비 21.3% 늘었지만, 증가율은 7월 들어 낮아졌다. 한국 농식품에 대한 관세 부과가 예고되자, 계약을 앞당긴 영향으로 풀이된다.
문제는 본격적인 관세 충격이 이제 시작이라는 점이다. 농식품부는 올해 K-푸드 수출 목표를 105억달러로 잡았다. 농식품부는 상반기 수출 실적을 발판 삼아 연말까지 수출 목표가 달성되도록 적극 지원한다는 계획이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이날 서울 양재동 aT센터에서 '제3차 K-푸드 플러스 수출확대 추진본부 간담회'를 주재했다. 삼양식품 등 주요 농식품 수출기업과 농산업 수출기업이 함께 자리했다.
농식품부는 수출기업 리스크 대응 완화를 위해 ▲추경 및 잔여자금 약 1660억원을 활용한 원료구매·시설자금 신속 지원 ▲농식품 글로벌성장패키지(수출바우처) 추가 지원 ▲환변동(엔·달러) 보험의 자부담률 완화(5%→최대 0%) 연장 등을 제시했다.
또 미국을 비롯한 주력시장 내 입지 확대와 중동·중남미 등 기업의 시장 다변화 노력을 지원하기 위해 대형유통매장(코스트코 등) 판촉, 구매업체(바이어) 초청 상담회 개최(10월), 재외공관 외교 네트워크 활용 K-푸드 홍보 등을 지원한다.
송미령 농식품부 장관은 "K-푸드 플러스 수출은 국가 경제뿐 아니라 국가 브랜드 제고에도 기여하는 핵심 동력"이라며 "문화·예술 등 다른 K-이니셔티브와 연계해 글로벌 넥스트 K-푸드를 발굴하고 수출 거점을 확충해 나가겠다"고 강조했다.
plum@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