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박공식 기자 = 이스라엘이 가자시티 점령을 위한 군사작전을 개시함과 동시에 팔레스타인의 독립 국가 설립을 가로막기 위한 'E1(East Area1) 이스라엘 정착촌 계획'을 최종 승인했다.
국제사회는 팔레스타인 국가 건설 예정 지역에 말뚝을 박아버리는 이스라엘의 이러한 계획을 즉각 비난하고 나섰다.
이스라엘 연립 정부내 강경 우익 인사인 베잘렐 스모트리치 이스라엘 재무장관은 현지시간 20일 성명을 통해 E1 프로젝트가 국방부 기획위원회로부터 최종 인가를 받았다고 밝혔다. 앞서 지난주 스모트리치 장관은 서안지구 E1 지역에 새로운 이스라엘 정착촌을 건설하는 계획이 승인됐다고 발표한 바 있다.
그는 "수년간 약속했던 E1 프로젝트를 실현할 수 있게 됐다"며 "팔레스타인 국가는 구호가 아니라 행동으로 협상 테이블에서 사라지게 됐다"고 환영했다.
E1은 마알레 아두밈 유대인 정착촌에 인접한 지역으로 2012년과 2020년 미국와 유럽 국가들의 반대에 봉착해 정착촌 건설이 실현되지 못했다. E1 프로젝트는 약 3,400채의 정착민 주택을 건설하는 계획이다.
서안지구 정착촌 활동을 알리는 이스라엘 단체 피스나우(Peace Now)에 따르면 정착촌의 기반 인프라는 수개월 내에, 주택 건설은 약 1년 안에 착공될 전망이다.
E1 프로젝트가 실현될 경우 이스라엘이 점령하고 있는 서안지구와 동예루살렘을 갈라놓기에 (서안의 북부와 남부를 완전히 갈라놓기에) 독립된 국가로서 팔레스타인의 영토적 영속성이 훼손된다.
이번 계획으로 이스라엘은 국제사회에서 더 고립될 가능성이 있다고 로이터통신은 분석했다. 이스라엘의 가자지구 군사작전 확대에 실망한 서방 동맹국들은 9월 유엔총회에서 팔레스타인을 국가로 인정하겠다는 계획을 발표한 바 있다.
![]() |
베잘렐 스모트리치 이스라엘 재무장관이 14일(현지시간) 요르단강 서안지구 마알레 아두임 유대인 정착촌 인근에서 E1 정착촌 건설 계획을 발표하고 있다. [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2025.08.21 kongsikpark@newspim.com |
유엔의 스티븐 두자리크 사무총장 대변인은 "정착촌 확대 결정은 2국가 해법의 심장부에 말뚝을 박는 것"이라며 이스라엘에 모든 정착 활동을 중단하라고 촉구했다.
데이비드 라미 영국 외무장관은 "계획이 실현될 경우 팔레스타인 국가를 두 개로 분리시켜 명백한 국제법 위반으로 2국가 해결책이 결정적으로 훼손된다"고 비난했다.
독일 정부 대변인도 정착촌 건설은 국제법 위반이며 "협상을 통한 2국가 해결과 이스라엘의 요르단강 서안 점령 종결 노력을 저해한다"고 했다.
팔레스타인 외교부 역시 "E1 정착촌은 해당 지역에 사는 팔레스타인 사회를 고립시키고 두 국가 해법을 결정적으로 훼손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중동 분쟁 종식을 위한 2국가 해법은 동예루살렘, 서안지구, 가자를 아우르는 지역에 팔렉스타인 국가를 창설해 이스라엘과 공존하도록 하는 방안이다.
서방 지도자들과 단체들은 정착촌 건설이 팔레스타인과의 평화 협정 체결을 어렵게 할 것으로 우려하고 있다.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