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지막 변수 친한계와 강성 보수층 표향배
누가 돼도 험로...반탄에 중도층 공략 난망
'윤 어게인' 프레임 땐 출구 찾기 어려워
[서울=뉴스핌] 이재창 정치전문기자 = 반탄(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 반대) 김문수냐, 장동혁이냐. 두 사람 중 한 사람이 국민의힘 차기 당 대표가 된다. 탄핵에 찬성한 다수 국민 정서와는 거리가 먼 그들만의 리그였던 만큼 누가 되든 중도층 등 국민의 지지를 받기는 어려울 것으로 보인다.
두 사람은 우열을 가리기 어려울 정도로 박빙의 게임을 벌이고 있다는 관측이 나온다. 당초 김 후보가 여론 조사에서 10%포인트(p) 이상 앞섰으나 막판 일부 조사에서는 장 후보가 오차범위 내에서 역전한 것으로 나타났다.
![]() |
[청주=뉴스핌] 정일구 기자 = 김문수, 장동혁 국민의힘 대표 후보가 22일 오후 충북 청주 오스코에서 열린 국민의힘 제6차 전당대회에서 결전 진출에 성공한 뒤 손을 들어 인사하고 있다. 2025.08.22 mironj19@newspim.com |
26일 결선의 승부를 가를 마지막 변수는 두 가지다. 결선 진출에 실패한 친한(친한동훈)계 등 찬탄파 표가 어디로 향할지와 강성 보수층의 지지가 한 후보에 쏠릴지 여부다.
이는 두 후보의 전략과 맞닿아 있다. 김 후보는 통합을 고리로 친한계에 러브콜을 보내고 있고, 장 후보는 '내부 총질자 정리'를 앞세워 강성 보수층 결집에 사활을 걸고 있다. 김 후보는 친한계 표, 장 후보는 강성 보수층 표 결집에 승부를 건 것이다. 장 후보 지지를 선언했던 전한길 씨의 강성 보수 지지층에 대한 영향력이 발휘될 수 있을지도 관전 포인트다.
김 후보는 '대통합'을 강조하며 찬탄파를 포용하겠다는 입장이다. 김 후보가 결선 진출에 실패한 안철수 후보와 오찬 회동을 한 데 이어, 조경태 후보와 통화를 한 것은 이런 맥락에서다.
김 후보는 24일 발표한 입장문에서 "지금 우리에게 절실히 필요한 것은 모든 당원과 의원들을 설득해 하나의 단일 대오를 세우는 일"이라며 "단결하면 승리하고, 분열하면 패배한다"고 말했다. 친한계 등 찬탄파 의원을 모두 포용하겠다는 입장을 거듭 확인한 것이다.
장 후보는 "당에 계속 분열을 야기하거나 당의 에너지·전투력을 떨어뜨리는 분들은 결국은 함께 갈 수 없다"고 강경한 입장을 거듭 확인했다. 대표가 되면 친한계를 정리하겠다는 의미다. 물론 강성 보수 지지층을 결집하기 위한 선거 전략 차원일 가능성이 높다. 만약에 대표가 돼 친한계 축출에 나설 경우 당이 심각한 내홍에 빠질 것은 불을 보듯 뻔하다.
찬탄파에 대한 두 후보의 입장이 갈린 상황에서 한동훈 전 대표가 입장을 내 주목된다. 한동훈 전 대표는 지난 23일 페이스북에 "민주주의는 최악을 피하기 위한 최선의 제도다. 결선 투표에 적극 투표해 국민의힘이 최악을 피하게 해달라"고 했다.
당 안팎에서는 김 후보 지원을 의미하는 것이라는 해석이 나왔다. 장 후보가 한때 한 전 대표의 최측근이었으나 윤 전 대통령 탄핵 과정에서 갈라서 한 전 대표와는 대척점에 서 있다는 점에서다. 장 후보가 언급한 내부 총질자는 사실상 친한계라는 해석이 지배적이다.
장 후보가 "사실상 김 후보 지지"라고 반발한 것도 이런 해석에 힘을 싣는다. 장 후보는 지난 23일 결선 토론회 직후 기자들과 만나 "그것이 당원들에게 어떻게 비칠지 모르겠다"고 했다. 이어 "김 후보는 전당대회 내내 한 전 대표든, 조경태 후보든, 안철수 후보든 다 품고 가야 한다고 말씀하셨다"며 "이해할 수 없는 여러 말을 하면서 끝까지 안고 가야 한다고 말했는데 결국 결선을 염두에 둔 것"이라고 주장했다.
물론 한 전 대표가 언급한 최악이 김 후보라는 시각도 없지 않다. 김 후보는 대선에서 당 후보로 나가 실패했고, 혁신과는 거리가 있는 과거 인물이라는 시각도 적지 않다는 점에서다. 물론 소수의 견해다.
결국 누가 대표가 되느냐는 친한계가 과연 김 후보에게 표를 몰아줄지와 강성 보수층이 선명성을 앞세운 장 후보로 결집할 것이냐 여부에 달렸다. 물론 두 후보 전략의 파급력이 크지 않을 것이라는 시각도 있다. 결선 진출에 실패한 친한계 당원 일부가 투표에 불참할 것이라는 관측도 나온다. 김 후보를 지지한 강성 보수층이 장 후보를 지지할지도 불투명하다.
두 후보 중 누가 대표가 돼도 국민의힘이 국민의 지지를 회복하는 돌파구를 찾기는 어려울 것이라는 시각이 많다. 무엇보다 반탄은 다수 국민 정서와는 괴리가 크다. 자연 중도층 공략이 쉽지 않을 것이고, 지지율 회복도 기대하기 어렵다.
자칫 내란 정당이라는 따가운 시선 속에 '윤 어게인' 프레임이 갇힐 가능성도 적지 않다. 당장 여당은 국민의힘을 '윤석열당'이라며 공격하고 있다. 정청래 민주당 대표는 24일 의원총회에서 "'윤어게인'을 외치거나 주장하는 세력들이 국민의힘의 지도부로 구성이 될 모양"이라며 "국민의힘이 사실 '국민의짐'이 되어버린 지가 오래된 일이지만, 국민의힘이 '국민의 적'이 되진 않을지 진짜 걱정된다"고 했다.
지도부 구성상 무력감을 떨치고 대안정당으로 자리 잡기 위한 단일 대오의 대여 강경 투쟁도 여의치 않다. 지도부는 반탄 대표에 최고위원은 반탄파(신동욱·김민수·김재원)와 찬탄파(양향자·우재준)가 3 대 2다.
반탄파가 우세하지만 성향은 제각각이다. 김재원 최고위원은 김 후보와 가까운 반면 김민수 최고위원은 장 후보와 가까운 것으로 알려져 있다. 신동욱 수석 최고위원은 합리적 성향이 강하다. 일사불란한 목소리를 내기는 쉽지 않을 것으로 보인다. 게다가 원외가 3명이나 돼 원내의 민첩한 대응에도 한계를 보일 수도 있다.
국민의힘이 새 지도부를 구성하지만 앞날은 매우 불투명하다. 새 지도부 앞에 놓인 현실은 산 넘어 산이다. 여전히 출구를 찾기가 쉽지 않아 보인다.
leejc@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