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일 오후 박진 전 인권위 사무총장 참고인 조사
[서울=뉴스핌] 홍석희 기자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일 "송창진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부장검사의 국회 위증 고발 사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자 지난달 29일 공수처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정민영 특별검사보는 이날 오전 서울 서초구 특검 사무실에서 진행된 정례 브리핑에서 "송 전 검사 등 주요 관계자의 휴대전화와 공수처 내부 자료를 확보할 필요성이 있다고 판단했고 공수처 처장실, 차장실 등 사무실과 부장검사들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며 이같이 말했다.
![]() |
순직해병 사망사건 관련 의혹을 수사하는 이명현 특별검사팀이 1일 "송창진 전 고위공직자범죄수사처(공수처) 부장검사의 국회 위증 고발 사건 관련 자료를 확보하고자 지난달 29일 공수처에 대한 압수수색을 진행했다"고 밝혔다. 사진은 정민영 특검보가 지난 7월 8일 오전 서울 서초구 순직해병 특검 사무실 브리핑룸에서 언론 브리핑을 하는 모습. [사진=뉴스핌 DB] |
송 전 부장검사는 지난해 7월 국회 법제사법위원회의 '윤석열 전 대통령 탄핵청원 청문회'에서 임성근 전 해병대1사단장 구명 로비 의혹 관련 이종호 전 블랙펄인베스트먼트 대표에 대한 위증을 한 혐의를 받는다. 그는 당시 공수처 임용 전 이 전 대표의 변호인을 맡았던 점과 공수처 차장 직무대행을 맡은 점 등으로 국회 청문회에 출석했다.
송 전 부장검사는 당시 "공수처 수사 과정에서 언제 이종호 대표가 이 사건에 연루되었는지 알았냐"는 장경태 의원의 질의에 "공익신고자가 와서 조사를 받기 전엔 해병대 관련 수사 외압 등에 이 전 대표가 연루된 사실을 알지 못했다"고 답했다.
송 전 부장검사는 2024년 7월 10일에야 이 전 대표가 채해병 사망 관련 구명로비 의혹에 연루된 사실을 인지하고, 이틀 뒤 공수처가 수사 중인 사건에 대해 회피신청을 했다고 주장했다. 당시 청문회 이후 민주당 의원들은 송 전 부장검사의 증언이 허위일 가능성이 있다고 보고 위증 혐의로 공수처에 고발했다.
정 특검보는 "본인(송 전 부장검사)은 이 사건(수사외압 의혹)이 이 전 대표와 관련된 걸 알게 된 시점이 (2024년) 7월 10일 이후라고 하는데, 당시에 그런 주요 사건들은 내부 규정에 따라 공수처장이나 차장에게 보고하게 돼 있다"며 "그런 보고가 당시에 있었다면 (송 전 부장검사도 이 전 대표와의 연관성을) 알 수 있는 입장이라고 볼 수 있는 정황이 되는 것"이라고 설명했다.
한편 특검팀은 이날 오후 박광우 전 국가인권위원회(인권위) 군인권조사국장을, 오는 2일 오후 박진 전 인권위 사무총장을 각각 참고인 신분으로 불러 조사한다. 특검팀은 인권위가 박정훈 해병대수사단장(대령)에 대한 긴급구제 등을 기각한 의혹 등을 이번 주부터 본격 조사할 방침이다.
특검팀은 오는 2일 오전 10시에 박 대령을 소환해 6차 참고인 조사를 진행한다. 또한 같은 날 오후 1시에 이시원 전 대통령실 공직기강비서관을 직권남용권리행사방해 혐의 피의자 신분으로 세번째로 불러 조사한다.
hong90@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