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중·EU 데이터 패권 경쟁 가속화 속 한국 '추격자' 위험
개인정보·저작권 규제 혼재로 기업 AI 학습데이터 활용 난항
산업별 맞춤 가이드라인·데이터 거버 플랫폼 구축 시급
조준희 KOSA 회장 "데이터 전략 없이는 AI 전환 불가능"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KOSA)는 2일, 산하 초거대AI추진협의회가 'AI 산업전환을 위한 데이터 전략 보고서'를 발간했다고 밝혔다. 협의회는 "AI 시대의 승부수는 데이터 전략"이라며 통합적 데이터 정책 마련이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보고서는 국내 기업들이 개인정보 보호와 저작권 규제로 인해 AI 학습데이터 확보와 활용에서 큰 어려움을 겪고 있다고 진단했다. 산업별로 상이한 규제와 지침이 혼재하면서 기업 혼란이 심화되고 있다는 분석이다.
또한 미국은 오픈 정부 데이터법과 미국인 데이터 보호법으로 개방과 보안을 강화하고, EU는 유럽 데이터 전략과 AI법으로 표준을 선점했으며, 중국은 국가 차원의 빅데이터 산업 발전 계획을 추진 중이라고 소개했다. 보고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한국이 '데이터 추격자'에 머물 수 있다는 위기감을 드러냈다.
![]() |
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로고. [사진=한국인공지능·소프트웨어산업협회] |
보고서는 ▲AI 학습데이터 처리 정책 개선 ▲산업별 데이터 활용 활성화 ▲데이터 거버 플랫폼 구축 ▲AX MAP 구축 등 정책 제안을 제시했다. 특히 데이터 거버 플랫폼은 사전 컨설팅부터 품질 검증까지 원스톱 서비스를 제공해 기업의 전처리 비용 절감과 글로벌 경쟁력 강화에 기여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조준희 KOSA 협회장은 "AI 데이터 경쟁에서 뒤처지면 산업 생태계 전체가 무너질 수 있다"며 "게임체인저 전략으로 데이터 주도권을 확보해야 한다"고 말했다.
한편, 이번 보고서는 한국소프트웨어산업협회와 초거대AI추진협의회 홈페이지에서 확인할 수 있다.
dconnect@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