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나영 기자= RF 전문기업 기가레인이 '서울역 5G 특화망 기반 오픈랜과 AI 융합 서비스 실증단지 조성' 사업에 핵심 장비 공급사로 참여했다고 25일 밝혔다.
이번 사업은 NIA(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가 주관하는 대규모 실증 프로젝트다. 국내 멀티벤더 오픈랜 장비와 AI 기반 응용 서비스를 결합해 개방형 5G 특화망 환경을 구축하고, 이를 통해 다양한 공공·산업 서비스 모델을 검증한다.
서울역은 교통과 물류, 관광이 집중된 초고밀 이용환경으로 이번 실증에서는 ▲딥러닝 기반 혼잡도 관리 ▲AI 화장실 환경 모니터링 ▲지능형 안전라인 감시 솔루션 등 AI 융합 서비스가 적용된다. 기가레인은 이러한 서비스들이 안정적으로 구동될 수 있도록 4.7GHz 대역 인도어(실내)형 O-RU를 공급해 5G 특화망 무선 인프라의 핵심 역할을 맡고 있다.
![]() |
기가레인 로고. [사진=기가레인] |
기가레인의 장비는 O-RAN 7.2x 인터페이스를 지원하며, 내장형 안테나와 저발열 설계로 설치 및 운영 편의성을 확보했다. 이미 국내 다수 산업 현장에 적용돼 성능을 검증받은 만큼, 이번 서울역 실증을 통해 공공 인프라와 스마트시티 분야까지 확장 가능성을 확인하게 될 전망이다.
기가레인은 글로벌 시장 대응에도 박차를 가하고 있다. 올해 ORIA, O-RAN Alliance, KANI 등 오픈랜 관련 단체에 잇따라 가입해 표준화 활동을 강화했으며, TTA, ETRI와 협력해 OTIC(Open Testing & Integration Centres) 인증시험도 준비 중이다.
내년 초까지 캐나다 ISED, 유럽 CE/UKCA 등 글로벌 인증을 완료하고 해외 통신장비사와의 PoC 협력도 확대할 계획이다. 향후 기가레인은 인도어 제품에서 아웃도어 고출력 O-RU와 6G 기반 RF 부품까지 라인업을 확장하는 연구에도 착수해 시장 영역을 넓혀갈 방침이다.
기가레인 관계자는 "서울역 실증사업은 기가레인 O-RU가 오픈랜 생태계 내에서 안정적인 성능을 제공하고 AI 응용 서비스의 기반 인프라로 활용될 수 있음을 보여주는 중요한 기회"라며 "국내 특화망 실증 성과를 바탕으로 글로벌 시장에서도 입지를 확대하겠다"고 전했다.
nylee54@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