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문화체육관광부 국립한글박물관은 2025 내가 만난 한글 사진‧영상 공모 수상작 전시를 오는 10월 1일부터 30일까지 박물관 나들길에서 개최한다고 30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일상 속에서 만난 한글'을 주제로 진행된 '2025 내가 만난 한글 사진·영상 공모'를 통해 선정된 수상작 사진 20점, 영상 10점 총 30점으로 이루어진다.
2025 내가 만난 한글 사진·영상 공모에는 130개국이 참여했으며, 응모한 작품 수는 총 6,350점으로 작년보다 199점 증가했다. 올해로 5회째인 이번 공모를 통해 우리나라와 한글, 한글문화에 대한 관심과 사랑이 전 세계적으로 증가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 |
[서울=뉴스핌] 이지은 기자 = '2025 내가 만난 한글 사진.영상 공모' 수상작 전시 포스터. [사진=국립한글박물관] 2025.09.30 alice09@newspim.com |
대상을 수상한 사진은 공중전화와 아이들을 주제로 촬영됐다(인도네시아, 무하마드 미프타 수와르고). 이 사진은 '공중전화'라고 써진 한글 아래 아이들이 호기심 어린 표정으로 전화기를 만지는 모습을 담고 있다.
과거에는 흔했지만 지금은 보기 힘든 공중전화에서, 한글은 문자 이상의 역할을 하며 세대 간의 놀이와 경험을 이어주는 주요한 매개체가 된다는 의미가 담겨있어 심사위원 전원으로부터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금상으로는 한글의 자음이 외벽을 수놓은 건축물을 담은 사진(캐나다, 티모시 잭 실스트라), 한글이 새겨진 머리핀을 착용하고 이색적인 구도로 촬영된 사진(베네수엘라, 치킨키라 델 바예 나테라모야)이 선정됐다.
대상 수상작은 '가장 아름다운 한글'이 선정됐다(한국, 황인선). 한 어린이집 다섯 살 아이들이 함께 만든 이 영상은, 자음 순서를 따라 지어진 14행시를 아이들이 직접 낭독하며 한글의 아름다움과 따뜻함을 표현했다. 아이들의 순수한 모습과 목소리를 통해 전하는 한글의 의미와 소중함이 감동을 주어 심사위원들의 높은 점수를 받았다.
금상으로는 국어 시험을 앞두고 꿈에서 만난 한글을 통해 한글에 대한 이해와 소중함을 느끼는 모습을 연출한 '꿈에서 만난 한글, 일상을 바꾸다.'가 수상했다(한국, 이나은). 이 영상은 꿈속에서 '모음'들이 자신만의 소리와 매력을 뽐내는 오디션을 펼치는 모습을 통해 유쾌하게 한글의 구조를 보여주며 일상 속 한글의 소중함을 전한다.
국립한글박물관 측은 "많은 관심 속에 진행된 공모의 수상작 전시를 통해 세계 곳곳의 일상 속에서 발견할 수 있는 한글의 아름다움을 공유하고, 한글문화에 대한 관심과 그 가치를 공감할 수 있는 기회의 장이 되기를 바란다"고 전했다.
alice0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