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뉴스핌] 박진형 기자 = 광주시의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 지원금을 두고 전국 하위권으로 실효성이 떨어진다는 주장이 제기됐다.
1일 광주시의회에 따르면 최지현 시의원(더불어민주당)은 지난달 30일 광주여성가족재단 대표이사 인사청문회에서 "광주시 여성농업인 정책 중 가장 대표적인 복지성 사업인 행복바우처 금액이 연 10만원에 불과하고 자부담률도 20%에 달해 농촌 현장의 불만이 꾸준히 제기되고 있다"고 말했다.
![]() |
최지현 시의원. [사진=광주시의회] |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는 문화·여가 활동 접근성이 낮은 여성농업인에게 문화, 스포츠, 여행비용 일부를 지원하는 제도다.
광주시는 여성농업인을 대상으로 ▲연 10만원(본인부담률 20%) 수준의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특수 건강검진(850명)▲농업인 안전보혐료 일부지원(6730명)▲청년 농업인 영농정착 지원(46명) 등 사업을 추진 중이다.
최 의원은 "광주 여성농업인 행복바우처는 전국 평균 17만 5000원에도 못 미치는 수준이다"며 "본인부담률도 20%로 높아 여성 농업인들이 바우처를 이용할 유인이 줄어들어 정책 체감 효과가 떨어질 수 밖에 없다"고 지적했다.
그는 "인천, 경기, 대전, 전남 등은 바우처 지원액이 20만원 수준이고 전남, 전북 등 일부 지역은 자부담률을 폐지했다"며 "지원금 상향과 자부담 완화를 통해 현장 체감도를 높이고 농촌의 지속가능성을 뒷받침해야 한다"고 말했다.
bless4ya@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