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 오상용 기자 = 중국이 국가통신망 보안과 기술 자립을 명분으로 노키아와 에릭슨 등 유럽산 통신장비의 중국 내 사용을 억제하고 있다고 영국 파이낸셜타임스(FT)가 2일 보도했다.
소식통에 따르면 중국 당국은 국영 이동통신사 등 네트워크 관련 기업의 해외 통신장비 사용에 제약을 가하고 있는데, 최근 들어 그 강도가 더 세졌다. 특히 스웨덴의 에릭슨(종목코드: ERIC)과 핀란드의 노키아(종목코드: NOK)가 참여하는 장비 납품 계약의 경우 당국의 별도 보안 심사를 거치도록 했다.
이들 두 회사는 자사의 통신장비들이 어떤 종류의 보안 점검을 받는지에 대해 통보를 받지 못하는 것으로 전해졌다.
이러한 심사에 걸리는 기간은 3개월 이상 소요될 수 있다고 한다. 소식통은 설령 당국의 최종 심사를 통과한다 해도 납품 지체로 인해 별도 검증 절차를 밟지 않는 중국 토종 기업에 비해 불리한 위치에 놓이게 된다고 설명했다.
이 관계자는 "국가 안보를 이유로 중국이 이런 조치를 취한 것이라면 왜 유럽은 동일한 잣대를 중국산 통신장비에 적용하지 않는지 의문"이라고 했다.
다만 신문은 중국이 유럽산 통신장비에 취하고 있는 이러한 제약은 그간 유럽 내 일부 국가들이 화웨이와 ZTE의 장비를 자국 통신 인프라에서 제거하려는 시도와 짝을 이룬다고 했다.
유럽산 통신장비에 대한 중국의 한층 강화된 보안 심사는 시진핑 주석이 외국 기술을 국내 기술로 대체하는 자립 강화 정책을 추진하는 것과도 궤를 같이 한다.
지난달 시 주석은 러시아의 블라디미르 푸틴 대통령 그리고 북한의 김정은 국무위원장과 함께 한 자리에서 "중국은 힘과 강압을 두려워하지 않는다. 우리는 자력갱생으로 굳건히 설 것"이라고 강조한 바 있다.
큰 틀에서 중국의 해외 통신장비 배제 움직임은 지난 2022년 사이버 보안법 개정 이후 지속·강화하고 있는데, 이 법에 따르면 핵심 데이터 인프라 운영자는 잠재적 보안 위험이 있는 구매 계약건의 경우 반드시 인터넷정보판공실(CAC)의 심사를 받도록 했다.
한편 지난 2020년 중국 이동통신망 장비 시장에서 12%를 차지했던 에릭슨과 노키아의 점유율은 지난해 약 4%로 쪼그라들었다.
![]() |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 [사진=뉴스핌 DB] |
osy75@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