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뉴스핌]박공식 기자 = 중국의 희토류 통제 강화 조치에 맞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이 중국산 수입품에 100% 추가 관세를 부과하고 핵심 소프트웨어의 대중 수출도 규제하겠다고 밝히면서 미중 관계가 다시 긴장 모드로 돌아섰다.
트럼프 대통령은 현지시간 12일 다시 유화 제스처를 취하며 협상의 여지를 열어뒀지만 향후 협상 과정이 순탄할지는 미지수다. 그런만큼 시장내 불안감도 가시지 않았다.
☞ 트럼프 vs 시진핑, APEC 담판 전초전 치열...'불황이냐 타협이냐'
월가에서는 지난 4월 '해방의 날' 충격을 극복한 전력을 상기시키며 '이번에도 어떤 형태로든 타협점을 찾을 것'이라는 의견과 함께 '그간 부풀어 오른 증시 밸류에이션을 감안할 때 단기 충격은 감내해야 할 것'이라는 시각이 공존했다.
로이터통신에 따르면 아넥스 웰스 매니지먼트의 수석 이코노미스트인 브라이언 제이콥슨은 "관세 발효 시점을 11월 1일로 정해 쌍방이 추가 논의할 여지를 남겼다"면서 "성장 하방 압력과 인플레이션 악화 위험이 높아졌으나 현실화될지는 알 수 없다"고 평가했다.
엔젤 오크 캐피탈의 포트폴리오 관리 책임자인 클레이트 트릭은 "시장이 미국 연방정부 셧다운과 데이터 미 발표에도 불안감이 정말 낮았지만 이제 불안감이 높아질 것으로 본다"며 "시장은 촉매제가 필요했는데 그것은 주가 조정을 위한 촉매제다"라고 말했다.
이어 "훨씬 더 큰 매도의 시작은 아니라고 본다. 하락시 매수할 대기 현금이 많으며 낙폭도 크지 않을 것이다. 당분간 주가가 횡보해도 이상할 것 없다. 당장 시장이 침체(베어마켓)로 빠지지는 않을 것"이라고 예상했다.
사비 웰스의 수석투자책임자 안슐 샤르마는 "근본적으로 미국의 기업 이익과 대차대조표는 건실하지만 (관세로) 정책 불확실성이 높아져 투자자들은 재빨리 위험을 회피하려고 한다. (10일의) 주가 매도는 시장은 견실하나 심리적 요인에 의한 것"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무역 긴장이 지속돼 매출 가이던스나 자본지출 계획에 영향을 주기 시작하면 시장은 더 폭 넓게 조정에 들어갈 것"이라면서 "하루 밤 사이 버블이 꺼지지는 않을 것이나 기대 심리가 조정받고 정책 위험을 둘러싼 불안이 다시 커질 것"이라고 예상했다. 다만 "막후에서 양국간 긴장 완화나 대화 재개가 이뤄지면 위험은 순식간에 사라질 수 있다"고 했다.
스트라토스 웰스 매니지먼트의 말콤 폴리 전략시장 분석국장은 "시장 밸류에이션이 과하다는 불만이 팽배해 리스크를 줄이는 것은 물론 조정도 필요하다는 분위기가 존재한다"고 했다.
해리스 파이낸셜 그룹의 제이미 콕스 전무는 "그간 흐름을 되짚어 보면 모든 전문가들은 이번과 같은 하락장에서 우량주를 쓸어담았다. 관세의 달은 또 다른 매수의 기회다. 강세장은 지속된다"고 자신했다. '트럼프는 결정적인 순간 항상 겁을 먹고 도망친다(TACO)'는 경험칙에 근거한 분석이다.
매뉴라이프 존 핸콕 인베스트먼트의 공동 최고 투자전략가 매튜 미스킨은 "(지난 4월 저점에서 회복하는 과정에서) 시장이 지정학적 불확실성과 무역 전쟁에 둔감해졌지만 이것들은 여전히 위험 요소로 남아있다"고 말했다. 다만 "시장이 과도한 매수 상태이고 불안한 것도 맞지만 그렇다고 중대한 전환점에 진입한 것은 아니다"라고 진단했다.
그는 "우리는 이미 몇 달 동안 무역 전쟁을 견뎌왔다. 결국 경제가 중요하다. 기업들이 곧 어닝 시즌에 돌입하는 데 시장은 이를 주목할 것이다. 큰 장이 선 다음에는 견실한 조정이 뒤따른다"고 말했다.
![]()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과 시진핑 중국 국가주석.[사진=로이터 뉴스핌] |
kongsikpark@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