배후단지 개발·경제 활성화 방안
추천권 확대 및 명칭 변경 제안
[창원=뉴스핌] 남경문 기자 = 경남도는 21일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해 송상근 부산항만공사 사장과 만나 진해신항 주요 현안과 협력 방안을 논의했다고 밝혔다.
총사업비 15조1000억 원이 투입되는 진해신항은 지난 8월 착공해 본격적인 개발에 들어갔다.
![]() |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오른쪽)가 21일 부산항만공사를 방문해 송상근 사장을 만나 진해신항의 주요 현안과 협력 방안을 논의하고 있다. [사진=경남도] 2025.10.21 |
진해신항이 전 구역 경남도 관할로 추진되면서 경남은 대한민국 해양물류의 새로운 중심축으로 부상하고 있다. 이에 도는 항만개발과 운영 주체인 부산항만공사와의 협력 강화를 핵심 과제로 제시했다.
도는 부산항만공사에 항만배후단지를 정주와 산업이 공존하는 글로벌 항만배후도시로 조성하는 사업에 직접 참여해줄 것을 요청했다. 지역 건설업체와 장비, 인력의 참여 확대를 통해 지역 경제 활력을 높이는 방안도 함께 제안했다.
이날 회의에서는 진해신항의 랜드마크로 조성 중인 '연도 해양문화공간'의 적기 완공과 북극항로 거점 연계 비즈니스센터 건립, 동남권 트라이포트 물류체계 조기 구축을 위한 협력 방안이 함께 논의됐다.
경남도는 항만위원 추천권 확대와 기관 명칭 정상화를 최우선 과제로 강조했다. 진해신항이 완공되면 신항만 전체 선석의 61%가 경남에 속하는 만큼, 현재 부산 2명·경남 1명으로 되어 있는 항만위원 추천권을 균등하게 조정하고, 공사 명칭을 '부산경남항만공사'로 바꾸는 방안을 제시했다.
도는 이러한 제도적 조정이 신항과 진해신항의 기능적 연계와 시너지 확대에 기여할 것으로 보고 부산항만공사의 적극적인 협조를 요청했다.
박명균 경남도 행정부지사는 "진해신항은 경남의 새로운 성장 동력이자 국가 해양물류의 미래"라며 "부산항만공사와 긴밀히 협력해 진해신항을 세계적 스마트 메가포트로 성장시키겠다"고 말했다.
news2349@newspim.co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