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
일시 : 2025년 10월 24일(금) 오후 2시
장소 : 대구 북구 대구엑스코
[서울=뉴스핌] 박찬제 기자 =* 'AI MY 뉴스'가 제공하는 AI 어시스턴트로 요약한 내용으로 퍼플렉시티 AI 모델이 적용됐습니다. 상단의 'AI MY 뉴스' 로그인을 통해 뉴스핌의 차세대 AI 콘텐츠 서비스를 활용해보기 바랍니다.
이재명 대통령은 10월 24일 오후 대구 엑스코에서 열린 '대구의 마음을 듣다' 타운홀미팅에서 "대구의 재도약은 대한민국의 균형발전을 위한 핵심"이라며 "중앙과 지방이 함께 미래성장 기회를 나누는 새 시대를 열겠다"고 밝혔다. 이날 행사는 지역 주민 100여 명과 정책 제안자 200명, 정부 및 지자체 인사, 여야 국회의원 등이 참석한 가운데 진행됐다.
대통령은 "수도권의 과밀과 지방의 공동화는 국가적 위기"라며 "지방이 소멸하지 않도록 균형발전은 배려가 아니라 생존전략"이라고 강조했다. 이어 "대구가 과거 산업화의 상징이었다면 이제는 첨단기술 융합, AI·로봇·미래모빌리티 산업을 통해 스마트도시로 거듭나야 한다"고 덧붙였다.
![]() |
| 이재명 대통령이 24일 오후 대구 타운홀 미팅에서 발언하고 있다. [사진=KTV] |
◆ 대통령의 개회 발언과 대구 시민과의 소통 시작
이재명 대통령은 "대구 시민 여러분, 이렇게 직접 만나 뵙게 되어 반갑다"며 인사하며 타운홀을 시작했다. 주호영 국회부의장과 윤재옥 의원 등 참석자들을 앞자리에 앉히며 "국민과 대통령이 직접 소통하는 자리이니, 형식보다 대화를 중시하자"고 분위기를 풀었다. "대구는 내가 태어나 태를 묻은 곳이다. 오니 마음이 푸근하다"고 소회를 밝혔다.
◆ 수도권 집중 해소와 지방 균형발전 강조
대통령은 "서울 용산은 사람이 넘쳐서 집이 없고, 지방은 사람이 없어서 기업이 가려 하지 않는다"며 구조적 문제를 지적했다. "기업이 지방으로 이전하도록 세금감면, 전기요금 인하, 규제완화 등을 추진하지만, 일자리 감소와 생활 인프라 부족이 가장 큰 걸림돌"이라고 진단했다. 이어 "지역 인센티브를 강화하고 서울과의 거리에 비례해 추가 지원을 확대하겠다"고 밝혔다.
그는 "지방 발전은 단순한 보완정책이 아니라 국가의 지속 성장, 나아가 생존전략"이라고 규정하며 "앞으로 모든 정책에서 지역영향평가를 반영하고 입법도 추진하겠다"고 약속했다.
◆ 산업화의 역사와 균형성장론
"박정희 대통령 시절의 산업화는 효율적이었지만 재벌체제와 수도권 집중이라는 한계를 남겼다. 이제는 새로운 시대에 맞는 정책과 사회적 분배를 찾아야 할 때"라고 말했다. 또 "대구를 비롯한 전국의 도시들이 불균형의 피해자로 남지 않도록 균형발전 중심의 국가운영을 강화하겠다"고 언급했다.
◆ 지역의 목소리를 정책에 반영
이 대통령은 "현장에 답이 있다"며 "대구 시민 여러분의 제안을 모두 검토해 정책으로 반영하겠다. 개인적 사안들은 메모로 제출하시고, 공동 과제들은 공개 토론에서 함께 논의하자"고 당부했다.
◆ 유쾌한 대구 토크 — 지역산업과 생활문화 언급
대구의 안경 산업을 언급하며 "안경을 써보니 대구산 제품이 많더라. 지역의 자부심이 느껴진다"고 웃으며 말하자 시민들이 웃음과 박수로 화답했다. "국민 모두가 어디에 살든 공정하게 기회를 누려야 한다"고 말하며 행사장을 따뜻한 분위기로 이끌었다.
◆ 경제 전망과 세계 시장 회복 신호
발언 말미에 "오늘 주가지수가 3900포인트를 넘었다고 한다. 주식 가진 분 많지 않겠지만, 이는 한국경제의 미래를 희망적으로 본다는 신호"라며 "그 희망이 현실이 되도록 정부가 지역산업과 경제 활력을 함께 만들어가겠다"고 강조했다.
이날 타운홀미팅은 국민과 직접 대화하며 지역의 현안을 청취하고 정책을 설계하는 "참여형 국정운영"의 상징적 행보로, 대통령은 "대구가 대한민국 균형발전의 모델 도시로 거듭날 것"이라고 밝혔다.
pcjay@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