6개국 107개 갤러리 1천여 작가 작품 전시
세계적 거장에서 신예까지 폭넓은 스펙트럼
'한일수교 60주년 기념전',놓쳐선 안될 특별전
                        
                        [서울=뉴스핌]이영란 편집위원/미술전문기자=대구 사람들은 입을 모아 말한다. "대구는 미술에 강한 도시예요. 천재화가 이인성(1912~1950) 등을 배출하며 한국 근대미술의 발전을 견인했고, 1970년대 초부터는 실험미술, 현대미술운동을 적극적으로 펼친 도시입니다. 요즘도 대구엔 '찐팬' 미술애호가가 많답니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대구와 서울에 갤러리를 두고 있는 리안갤러리가 DIAF 2025에 출품한 이건용의 작품. [사진=DIAF, 리안갤러리] 2025.10.30 art29@newspim.com | 
대구광역시를 현대미술의 열기로 달굴 대구 유일의 국제아트페어 '디아프(DIAF·Daegu International Art Fair)'가 대구 엑스코(EXCO) 동관에서 10월 30일 VIP 프리뷰를 시작으로 개막했다. 디아프 2025는 오는 11월 2일까지 열린다.
|  | 
| [서울=뉴스핌] 올해로 18회를 맞이한 DIAF 2025의 페어 전경. 대구 유일의 국제 아트페어로, 올해에는 6개국에서 107개 화랑이 참가한 가운데 오는 11월 2일까지 엑스코 동관에서 열린다.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31 art29@newspim.com | 
(사)대구화랑협회(회장 이광호)가 주최하고 DIAF 운영위원회가 주관하는 올해 디아프에는 6개국, 107개의 국내외 화랑들이 참여해, 1000여 작가들의 작품을 선보인다.
DIAF 2025의 주제는 'CHALLENGE ART, SHARE THE EXPERIENCE'다. 예술의 본질적 가치를 되새기며 예술가·갤러리·관람객이 함께 도전하고, 예술의 향기를 나누자는 취지다. 이에 예술의 경계를 확장하고 새로운 시도를 이어가는 작가들의 다양한 작품들이 나왔다. 현대미술의 오늘과 내일을 관객들이 체험하는 동시에 미술 뿐 아니라 여러 장르의 예술을 '경험'할 수 있도록 현대무용 프로그램 등도 펼쳐진다.
|  | 
| [서울=뉴스핌] 대구 유일의 국제 아트페어로 올해 18회를 맞은 DIAF 2025의 페어 전경.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31 art29@newspim.com | 
금년도 DIAF에는 갤러리신라, 국제갤러리, 리안갤러리, 우손갤러리, 선화랑 등 국내를 대표하는 화랑들이 참가했다. 여기에 야리라거 갤러리(영국), 보데갤러리(독일), 갤러리 까르찌나(러시아 모스크바), 갤러리 브루노마싸(조지아), 세이야 파인 아트(일본), 갤러리 미즈(캐나다) 등 해외갤러리도 부스를 차리고 참여했다.
|  | 
| [서울=뉴스핌] DIAF 2025를 주최한 대구화랑협회 이광호 회장(갤러리신라 대표). "대구는 한국 근대미술 발상지이자 한국 실험미술 운동도 가장 먼저 펼친 도시"라고 하는 이 회장은 "대구에는 현대미술을 제대로 이해하고, 진심으로 향유하는 '눈 밝은 미술애호가'들이 많다"며 "이번 DIAF 2025는 풍성한 본전시와 함께 특별전과 다양한 프로그램이 곁들여졌으니 많이 찾아달라"고 밝혔다. [사진= 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31 art29@newspim.com | 
대구 지역을 대표하는 동원화랑, 갤러리 전, 021갤러리, 갤러리제이원, 키다리갤러리, 아트지앤지, 갤러리 CNK, 윤선갤러리, 갤러리분도, 갤러리이서, 갤러리오모크 등도 참가했다. 또 서울 등지에서 갤러리 박, 갤러리 가이아, 갤러리 일호, 갤러리 위, 데이트갤러리, 토포하우스 등이 부스를 조성하고 관객을 맞고 있다.
올해는 국내외 유명 거장들의 작품이 대거 출품돼 주목되고 있다. 일본이 배출한 세계적 아티스트 쿠사마 야요이(약 50호, 10억원대)를 비롯해, 박서보(약150호, 7억원대), 윤형근(100호, 5억원대), 데이비드 호크니(약50호, 2억원대), 이강소(100호, 2억원대), 이건용(30호, 3억원대) 등의 작품을 만날 수 있다. 또 다니엘 보이드, 코라크릿 아룬나논차이 등 해외에서 두각을 보이는 작가들의 작품도 출품됐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 DIAF 2025에 갤러리신라가 출품한 성능경의 작품 '신문 읽기'. 2024. [사진=갤러리신라] 2025.10.31 art29@newspim.com | 
DIAF 2025에서 가장 눈길을 끄는 부스 중 하나인 갤러리신라 부스에는 서승원 성능경 윤형근 최명영의 작품과 함께 니콜라 샤르동, 스가 키시오, 박두영, 김용익, 윤상렬 김치앤칩스의 작품들이 내걸렸다.
대구와 서울에 갤러리를 운영 중인 리안갤러리는 이번 DIAF에 이강소, 이건용의 작품을 전면에 내세우고 남춘모, 김춘수, 이진우, 윤희, 신경철, 윤종숙의 작품으로 부스를 꾸몄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DIAF 2025에 국제갤러리가 출품한 이희준(b.1988)의 작품 'Eternity'. 2025, Acrylic and photo collage on canvas 50x50cm Courtesy of the artist and Kukje Gallery 사진: 전병철, 이미지 제공: 국제갤러리. 2025.10.31 art29@newspim.com | 
국제갤러리 부스에는 역시 가장 많은 관람객이 운집해 있었는데 김홍석의 일그러진 'LOVE' 조각을 필두로 박찬욱 박찬경 형제 작가의 작품과 안규철, 홍승혜, 김영나, 장파의 작품이 출품됐다. 국제갤러리는 30,40대 젊은 작가들의 작품도 함께 내걸었는데 임영주, 이희준, 김세은의 페인팅을 대구 미술팬들에게 소개하고 있다.
우손갤러리는 최근 이인성미술상을 수상한 대구 미술가 이명미의 회화로 한 쪽 벽면을 강렬하게 꾸몄다. 또 최근 서울과 대구 우손갤러리에서 '정적의 소리'라는 개인전을 개최한 김혜련의 대형 유화와 최병소의 검은 회화 등도 함께 선보이고 있다.
올해 DIAF에서 놓쳐서는 안될 전시는 특별전으로 기획된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한·일 현대미술전'이다. 통상의 아트페어 특별전이 규모는 커도 전시내용은 짜임새가 덜 했던 것과 달리, DIAF 2025의 한·일 현대미술 특별전은 규모는 작지만 기획의 의미와 전시의 완성도 측면에서 점수를 받을만 하다.
|  | 
| [서울=뉴스핌] DIAF 2025의 특별전으로 기획된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한일 현대미술전'의 전경.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31 art29@newspim.com | 
이번 교류전은 단순한 한일 수교 60주년을 기념하는 것을 넘어, 한·일 현대미술의 흐름을 통시적으로 조망하며 두 나라가 쌓아온 예술적 교류의 역사를 재조명한다. 이같은 시도를 통해 지역 미술계의 외연을 확대하고, 한국 미술계의 국제적 위상을 강화하는 전환점이 될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전시는 1970년대부터 2000년대까지 한국과 일본 현대미술의 중요한 시기를 대표하는 작가들의 작품을 통해 시대적 맥락 속에서 양국의 미술이 어떻게 발전하고, 상호 소통했는지 살펴보는데 촛점을 맞췄다.
한국 측에서는 곽인식, 이우환, 윤형근, 김구림, 이강소, 박현기, 최병소, 김창영, 이명미 등 한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9명 작가의 작품이 나왔다. 이들은 모두 대구와 인연이 있는 작가들로 한국현대미술의 형성과 전개과정에 핵심적인 역할을 해왔다.
일본 측에서는 사이토 요시시게, 스가 키시오, 아키오 이가라시, 스즈키 타카시, 에비즈카 고이치 등 5명 작가의 작품들이 출품됐다. 이들 중 사이토 요시시게를 제외한 4명의 작가는 과거 대구를 방문해 전시를 가진 경험이 있어, 대구가 일찍이 동아시아 현대미술 교류의 중심지였음을 보여준다.
|  | 
| [서울=뉴스핌] DIAF 2025의 특별전인 '한일 수교 60주년 기념: 한일 현대미술전'에 출품된 에비즈카 고이치의 작품 [경계표식-8월 17일'. 2024. 목재, 철, 페인트, 밀랍. [사진=이영란 미술전문기자] 2025.10.31. art29@ne wspim.com | 
이번 교류전의 기획은 한국 측에서는 황인, 일본 측은 야마구치 타카시가 공동으로 맡았다. 두 기획자는 양국 작가들의 예술적 궤적을 통시적으로 조망하며, 그 속에서 공유된 예술적 고민과 차별적 지점을 동시에 드러내는 전시를 구성했다. 다양한 장르와 시각을 통해 현대미술의 현재적 흐름을 조망하는 본 전시는, 한일 양국 미술계의 지속가능한 예술교류의 한 모델로 자리잡을 것으로 기대되고 있다.
일본 작가 중 사이토 요시시게는 일본 내에서 '모노하의 스승'이라 불릴 정도로 일본의 전후 추상회화의 기반을 닦은 작가다. 색과 형태의 해방을 통해 회화의 근원을 탐구한 작품을 볼 수 있다. 대구 갤러리신라에서 2019년 개인전을 가졌던 스가 키시오는 모노하의 중심인물로 자연과 인공의 긴장을 드러내며 사물의 존재방식을 예술로 제시하는 작가다.
또 이가라시 아키오는 구조와 물질성에 대한 탐구를 지속해온 작가이며, 스즈키 타카시는 조각과 회화를 결합한 조각적 회화로 일본 현대미술의 실험성을 드러내는 작가다.
기획자로 참여한 미술평론가 황인은 "1970년대부터 오늘날까지 대구와 일본을 오가며 저마다 동시대 미술의 언어를 개척해온 작가들의 작품을 한자리에 모아 그 미술사적 의미를 되짚어봤다. 대구를 중심으로 의외로 양국 작가들의 교류가 적지 않아 기획자로서 흥미로왔다"며 "양국 작가들의 다양한 장르와 예술적 시각을 통해 한일 현대미술의 흐름을 단편적으로나마 조망할 수 있었다"고 밝혔다.
|  | 
| [서울=뉴스핌]이영란 미술전문기자= DIAF 2025에 대구 화랑인 갤러리 전이 출품한 이상용의 작품 'Fate'. 2025. 54x80cm [사진=갤러리 전] 2025.10.31 art29@newspim.com | 
올 DIAF는 미술과 현대무용의 만남도 시도한다. 서울 툇마루무용단의 현대무용 페포먼스가 페어장 내에서 펼쳐진다. 현대무용을 다원예술의 일환으로 인식하고 전시기법을 무용에 접목, 국내 최초로 아트페어 현장에서 무용공연이 열린다. 또 도슨트 프로그램이 하루 3회 이어지며, 온라인을 통해 DIAF 2025의 참가화랑과 출품작을 살필 수 있는 OVR(온라인 뷰잉룸)도 시행되고 있다. 올해 디아프운영위는 대구미술관, 인당미술관 등 지역 미술관의 적극적인 지원과 후원을 이끌어내 상생의 계기도 마련했다. DIAF 2025는 오는 11월 2일까지 계속된다.
art29@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