무인운반차·지게차 등 자율주행 로봇 도입해 전 공정 자동화 실현
AI 물류정보시스템·AMR 제어시스템으로 생산·물류 통합 제어
생산라인 특화형 아키텍처 기반 현장 대응력 및 효율성 제고
[서울=뉴스핌] 양태훈 기자 = SK AX가 11일 북미 지역의 글로벌 자동차 부품 생산 공장에서 AX 물류 자동화 구축을 성공적으로 완료했다고 밝혔다.
SK AX는 반제품 이송부터 완제품 출하 공정까지의 물류를 자동으로 연결하는 AX 물류 체계를 구축했다. 무인운반차(AMR)와 무인지게차(AFR)를 투입해 인력 개입 없이 공장이 24시간 가동될 수 있는 '스스로 움직이는 물류 체계'를 구현했다.
무인운반차와 무인지게차에는 동시적 위치 추정 및 지도 작성 기술이 적용돼 GPS가 닿지 않는 실내 환경에서도 스스로 위치를 파악하고 최적 경로를 찾아 이동한다. 공장 구조물 기반으로 지도를 구성하기 때문에 이동식 선반이나 화물 위치가 변경되더라도 문제없이 작동하며, 로봇 간 위치 정보를 공유해 충돌 없이 협업 작업이 가능하다.
![]() |
| SK AX 로고. [사진=SK AX] |
SK AX는 자율주행 로봇 운용 안정성을 넘어서 공장 전체 물류 흐름을 통합 제어하는 AI 기반 물류정보시스템과 AMR 제어시스템도 도입했다. 해당 시스템은 생산라인 가동 상태, 재고 위치, 주행 상황을 실시간 분석해 가장 효율적인 물류 경로를 자동으로 배분한다. 생산량 변동에도 AI가 즉시 물류 투입량과 순서를 조정해 공정 지연을 최소화한다.
또한, 자동차 부품 제조공장 특성에 맞춘 전용 아키텍처를 적용해 반제품 생산, 조립, 완제품 출하 등 실제 생산라인 단위로 모델링했다.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기반으로 설계돼 담당자가 생산설비, 무인운반차 상태, 재고 정보 등을 실시간 확인할 수 있다. 상위 제조실행시스템과 하위 제어시스템이 양방향 연동돼 자재 투입부터 제품 출하까지 일원화된 관리가 가능하다.
특히 물류 흐름이 디지털 기반으로 완전히 연결되면서 부품 위치, 이동 경로, 출하 시점이 공장 내부뿐 아니라 본사와 고객사까지 실시간으로 공유된다. 이를 통해 불필요한 재고를 줄이고 납기 예측 정확도를 높이는 동시에, 에너지 사용을 수요 기반으로 조절해 탄소 배출 저감과 지속가능성 확보에도 기여할 수 있다.
김광수 SK AX 제조서비스부문장은 "이번 사업은 SK AX가 보유한 AX 물류 기술력을 실제 현장에 구현한 사례로서, 미국 내 대형 공장들이 겪고 있는 인력 부족과 비용 부담을 해결하는 데 실질적인 해법이 될 것"이라며 "글로벌 자동차 부품사는 물론 완성차 기업과도 협력을 확대해 AX 기반 제조 운영 혁신을 더욱 확산해 나가겠다"고 말했다.
dconnect@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