산불피해지역 재창조·APEC 정상회의 성공 바탕... 5대 핵심분야 중점 투자
국정 과제·공약 사업 연계... 미래 먹거리 사업 준비 '박차'
[안동=뉴스핌] 남효선 기자 = 경북도가 14조 363억 원 규모의 2026년도 세입·세출 예산안을 편성해 도의회에 제출했다.
13일 경북도에 따르면 내년 예산안은 올해 본 예산보다 7745억 원(5.8%) 증가한 규모이며 일반회계는 6328억 원(5.4%), 특별회계는 1417억 원(9.2%) 증가했다.
![]() |
| 경상북도청사 전경[사진=뉴스핌DB] |
경북도는 지방세 및 세외 수입 등 자체 수입은 4.1% 감소가 전망되나 적극적인 국가 투자 예산 확보와 정부와의 긴밀한 협력을 통해 국고 보조금 등 이전 수입이 7.8% 증가해 전체 예산 규모가 확장됐다고 설명했다.
경북도는 부동산 경기 침체, 내수 부진 등으로 내년에도 어려운 재정 여건이 전망되나, 건전 재정 기조를 유지하면서 국도정 주요 핵심 과제와 도민이 체감하는 민생 경제 활성화, 역동적인 성장을 견인할 미래 먹거리 창출에 중점 투자한다는 방침이다.
이번에 편성된 경북도의 2026 예산안 중점 투자 분야는 ▲민생 안정·경제위기 극복▲농정·산림·해양 대전환 확산▲저출산 대응▲포스트 APEC·K-한류 선도▲따뜻한 복지·안전 강화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경북도는 핵심 사업 추진을 위한 재원 마련을 위해 3년 이상 지원 지방 보조 사업은 일몰제를 적용하고 부진 사업은 축소 또는 폐지하는 등 성과 중심 재정 운용으로 재정 건전성과 효율성 확보에도 노력했다.
이철우 경북지사는 "올해 경북도는 초대형 산불 피해라는 큰 위기를 슬기롭게 극복하고 역대 가장 성공적인 'APEC' 개최를 기회로 경북의 힘을 세계에 알리는 이정표를 세웠다. 이러한 성과에도 어려운 경제와 위기에 처한 민생을 보살피고 챙기는 도정의 책임과 역할은 여전히 막중하다"며 "이번 예산을 민생의 어려움을 덜고, 지역 경제에 새 숨을 불어넣으며, 미래 세대가 꿈꾸고 살아갈 수 있는 경북 시대를 만드는 마중물로 삼아 도정 추진에 최선을 다하겠다"고 말했다.
경북도가 제출한 2026년도 예산안은 도의회 각 상임위원회와 예산결산 특별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오는 12월 10일 최종 확정될 예정이다.
nulcheon@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