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BM 출하량 85% 증가·범용 D램 가격 상승 효과
전체 메모리 시장 584억 달러, 분기 기준 최대치
[서울=뉴스핌] 김아영 기자 = 삼성전자가 올해 3분기 글로벌 D램 시장에서 매출 기준 1위 자리를 되찾았다.
19일 시장조사기관 차이나플래시마켓(CFM)에 따르면 삼성전자는 3분기 D램 매출에서 139억4200만 달러를 기록했다. 이는 전 분기 대비 29.6% 증가한 수치다. 시장 점유율은 34.8%로 확대되며 1위 자리를 되찾았다.
![]() |
| 삼성전자 평택캠퍼스 전경. [사진=삼성전자] |
같은 기간 SK하이닉스는 137억9000만 달러로 점유율 34.4%를 기록하며 2위, 마이크론은 89억8400만 달러로 점유율 22.4%로 3위에 올랐다.
CFM 측은 삼성전자의 고대역폭메모리(HBM) 출하량이 전 분기 대비 85% 증가한 데다 범용 D램 가격 상승 효과가 더해지며 매출이 사상 최고치를 기록했다고 분석했다. 삼성전자는 올해 초 HBM 사업 부진으로 SK하이닉스에 1위 자리를 내줬으나 최근 가격 상승과 실적 회복으로 선두를 회복한 바 있다.
글로벌 낸드 시장에서도 삼성전자가 매출 53억6600만 달러, 시장점유율 29.1%로 1위를 기록했다. SK하이닉스는 35억3600만 달러(19.2%), 키옥시아 20억4600만 달러(16.5%), 웨스턴디지털 23억800만 달러(12.5%), 마이크론 22억5200만 달러(12.2%) 순이었다.
올해 3분기 전체 D램 시장 규모는 400억3700만 달러로 전 분기 대비 24.7% 증가했으며 지난해 같은 기간 대비 54% 성장했다. 낸드 시장은 184억2200만 달러로 전 분기보다 16.8% 늘었지만, 전년 동기 대비로는 3.1% 감소했다. 전체 메모리 시장 규모는 584억5900만 달러로 분기 기준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
CFM은 AI 데이터센터 수요 증가와 클라우드 서비스 투자 확대로 메모리 수요가 급등하고 있다고 분석했다. PC·스마트폰· 가전용 D램과 낸드가 일부 대체되면서 가격 상승을 유발했고, 공급 부족과 재고 감소가 지속되고 있어 4분기에도 시장 규모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할 것으로 전망했다.
aykim@newspim.com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