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런던=뉴스핌] 장일현 특파원 = 스위스 국회의원들이 이달 초 미국 백악관에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에게 시계와 골드바 등 고가의 선물을 제공한 기업인들을 뇌물공여 혐의로 고발했다고 로이터 통신 등 외신이 27일(현지 시간) 보도했다.
보도에 따르면 스위스 녹색당 소속의 그레타 귀진, 라파엘 마하임 의원은 전날 트럼프 대통령에게 제공한 선물이 국제적으로 통용되는 수준을 훨씬 넘어선 뇌물에 해당하는 것 아니냐며 연방검찰청에 고발장을 냈다.
![]() |
| 지난 4월 2일(현지시간) 백악관 로즈가든에서 국가별 상호관세율 패널 들어 보이는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의 모습. [사진=로이터 뉴스핌] |
두 의원은 "39% 관세가 스위스 대표단에 속한 기업들의 사업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 게 확실해 보인다"며 "기업인들의 선물이 스위스 형법을 위반했는지 여부를 검찰이 판단해야 한다"고 말했다. 이들은 "목적이 모든 수단을 정당화하는 것은 아니다"라고 말했다.
스위스 형법에 따르면 외국 공무원에게 결정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 '부당한 이득'을 제공하는 경우 최대 5년의 징역형 또는 벌금형에 처해질 수 있다.
앞서 지난 4일 시계업체 롤렉스의 장프레데릭 뒤푸아 최고경영자(CEO)와 금 제련·거래업체 MKS팜프 그룹의 마르완 샤카르치, 명품회사 리치몬트의 요한 루퍼트, 파트너스 그룹의 공동 창립자 알프레드 간트너 등 스위스 기업인들은 백악관을 방문해 트럼프 대통령을 만났다.
이 자리에서 기업인들은 '맞춤형' 황금 탁상시계와 골드바 등 수억원 대의 선물을 준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기업인들은 공동 성명을 통해 해당 선물이 "양국 간 우정과 지속적 유대의 정신을 반영한 상징적인 감사의 표시"라고 밝혔다.
미국과 스위스는 이로부터 열흘 후인 14일 관세를 기존 39%에서 유럽연합(EU) 수준인 15%로 낮추기로 합의했다. 스위스는 2000억 달러 규모의 미국 투자와 시장 개방을 약속했다.
간트너 파트너스 공동 창업자는 이날 로이터 통신의 논평 요청에 "공공·민간 협력을 통해 스위스와 미국의 관세 분쟁에 절실히 필요한 해결책이 마련됐다"고 말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