GDP는 국가경제의 거울…4개 구성요소로 성적 읽는다
대공황 이후 최악의 금융 위기로 급격한 침체 국면에 빠졌던 세계경제가 회복되고 있지만, 정상적인 성장국면으로 진입하지 못하고 있다. 강력한 통화정책 상의 부양 노력 덕분에 미국을 중심으로 경기가 개선되고 있지만 그 변화를 제대로 읽기가 쉽지 않다. 세계 주요 경제지표를 인내심을 가지고 다시 들여다 볼 때다. [편집자 註]
[뉴스핌=주명호 기자] 미국의 지난 1분기 국내총생산(GDP;Gross Domestic Product)은 2012년 마지막 분기의 부진한 성적에 비하면 분명히 크게 뛰어 올랐다. 하지만 본격적인 회복 궤도에 들어섰는가에는 의문이 남는다.
지난 4월 26일 공개된 미국 GDP 예비치에 따르면 미국 경제는 1분기 2.5% 성장했다. 전분기 0.4%에 비하면 괄목할 만한 성장이다.
그럼에도 우려의 목소리는 끊이지 않는다. 원인은 이번 상승을 주도했던 개인소비부문에서 찾을 수 있다. 성장을 주도한 소비는 늘었지만 소득세 인상으로 1분기 개인 수입은 감소했다. 그만큼 소비자들의 저축이 줄었다는 뜻이다.
수입과 저축이 줄면 지속적인 소비 또한 어려워지게 마련이다.
기업수익도 늘어났지만 이 또한 해외시장에서 벌어들인 수익이 높아진 결과다. 이런 부분들을 종합해보면 이번 미국 GDP는 향후 전망이 어둡다는 점을 미리 던져준 셈이다.
개인수입은 오랫동안 정체를 보이고 있다. 작년 연말 상승은 배당세 상승을 앞두고 기업들의 배당금 지급을 늘렸기 때문이다. |
이렇게 GDP를 뜯어보면 한 국가의 경제상황을 거울처럼 알려줄 뿐만 아니라 그 나라 경제의 방향성을 예측할 수 있는 이정표 역할도 수행한다.
수많은 기관에서 국가별 GDP 전망을 줄기차게 쏟아내는 것도 그런 이유다. 해당국가의 국책기관 및 은행뿐만 아니라 국제통화기금(IMF), 세계은행(WB), 심지어 신용평가사들까지 GDP 전망을 끊임없이 내놓고 있다.
◆ '국내'총생산…실질(Real), 명목(Nominal)으로 나뉘어
과거에는 경제규모를 나타내는 기준으로 국민총생산(GNP;Gross National Product)를 사용했다. 하지만 세계교역이 점점 활발해지고 기업들의 해외진출이 늘어나면서 GNP로는 국내의 경제활동 상황을 정확하게 반영하기 어려워졌다.
이 때문에 '국내'를 기준으로 하는 GDP가 새로운 경제규모지표로 각광 받게 되었다.
GDP를 적용하면 국내에 진출한 외국기업의 생산활동도 우리나라의 GDP에 포함된다. 비록 외국기업이 생산한 재화라 할지라도 이들로 인해 발생되는 소비활동은 곧 우리나라의 경제상황과 연결되기 때문이다.
재화의 생산량에 가격을 곱한 값인 GDP는 '실질(Real)GDP'과 '명목(Nominal)GDP'으로 나뉜다.
실질 GDP는 기준연도를 미리 정해놓은 뒤 이때의 가격에 해당연도의 생산량을 곱해 계산한다.
생산량의 실질적인 증가는 그만큼 소비자들이 더 많은 상품이나 서비스를 구매할 여력이 있다는 것을 의미하기 때문에, 실질 GDP의 변화를 통해 해당 국가의 경제규모가 어떻게 달라지는지 한눈에 살펴볼 수 있다.
명목 GDP는 그해 가격을 그대로 적용해 계산한다. 이때문에 명목 GDP를 '현재 달러 GDP(Current-dollar GDP)'라 부르기도 한다.
생산량이 중요한 척도라는 점에서 명목 GDP는 쓸모없는 수치처럼 보일 수도 있다. 하지만 명목 GDP는 해당연도의 국민경제구조 및 구성요소의 변화를 살피는 데 용이하다.
◆ GDP, 4가지 구성요소를 종합해 산출…지출 항목이 가장 비중 높아
실질 GDP는 총 4가지 항목으로 구성된다.
미국 GDP의 약 70%를 차지하는 '개인소비지출(Personal comsumption expenditures)'은 말그대로 상품과 서비스에 대한 소비자의 총지출을 의미하며 경제에 가장 큰 영향력을 미친다.
소비지출은 다시 '내구재', '비내구재', '서비스'로 나뉜다. 이중 가장 주목해야 할 항목은 '내구재'다. 내구재지표 변동을 통해 소비자의 소득 및 심리변화를 읽을 수 있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소득감소나 경제에 대한 불안심리가 높아지면 소비자들은 자동차, TV, 냉장고 등 내구재 상품의 구매 계획을 가장 먼저 바꿀 가능성이 크다. 반대라면 소비자들의 내구재 구매지출은 당연히 증가하게 된다.
'민간투자(Gross private domestic investment)'는 쉽게 말해 기업들의 투자지출을 뜻한다. 기업지출은 경제전망에 따라 좌우되는 경향이 크며 GDP 15% 가량을 차지한다. 하위항목으로는 '고정투자'와 '민간재고 변화'가 있다.
해외무역과 연관성이 깊은 '상품 및 서비스 순수출(Net exports of goods and services)' 항목은 계속해서 그 비중이 확대되고 있어 눈여겨 볼 만하다.
마지막으로 '정부소비지출 및 투자(Government consumption expenditures and gross investment)' 연방정부 지출과 주정부 지출로 구분된다. 연방정부의 경우 국방부문 지출을 따로 표기하고 있어 국방비 변화 흐름도 여기서 찾아볼 수 있다.
이외에도 지표는 '추가항목(Addenda)'을 마련해 '국내생산최종판매', '국내총구매', '명목 GDP' 수치 등을 제공하고 있다.
GDP를 구성하는 4개 요소. |
◆ 분기별 GDP, '잠정치','수정치','최종치' 내놓아…매달 발표되는 셈
1930년대 말 이후부터 계속해서 작성, 발표되고 있는 미국 GDP는 상무부 경제분석국이 담당해 조사하고 있다.
경제분석국은 GDP지표 작성을 위해 매달 수천 개에 달하는 정부·민간 경제자료들을 수집해 분류, 취합한다. 여기에는 소매판매, 자동차판매, 주택구매 등 지출 관련 주요 지표들이 포함된다.
분기별 GDP는 세 차례에 걸쳐 발표된다.
맨 먼저 나오는 '예비치(advance estimate)'는 보통 해당분기 종료 후 4주 뒤에 공개되며 웹사이트(http://www.bea.gov/newsreleases/national/gdp/gdpnewsrelease.htm)를 통해 해당일 오전 8시 30분(미국 동부기준)에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예비치에 포함되지 않았던 정보들을 추가한 '잠정치(second estimate)'가 한 달 후에 제공되며 GDP '수정치(third estimate)'는 보다 완성된 자료들을 토대로 다음 분기말 경 나오게 된다.
분기 GDP 결과는 매년 여름 연례 수정작업 및 5년마다 이루어지는 포괄적인 수정작업을 거쳐 확정된다.
[뉴스핌 Newspim] 주명호 기자 (joomh@newspim.com)